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경북 북부 5개 시군을 태운 의성 산불로, 영덕에서만 10명이 숨졌는데요.

산불 확산 속도가 워낙 빠르기도 했지만, 긴급재난문자가 늦게 발송되는 등 영덕군의 늦은 대응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장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25일 오후 5시 54분.

경북 영덕군으로도 의성 산불이 넘어왔습니다.

태풍급 바람을 타고 청송을 거쳐 영덕군으로 빠르게 확산한 겁니다.

영덕군은 6분 뒤인 오후 6시, 지품면과 달산면 등 2개 면에 대해서만 주민 대피 명령을 내리고 긴급재난문자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영덕군 서쪽으로 진입한 산불은 빠르게 동진해 두 시간여 만에 동해안에 접한 영덕읍 석리까지 도달했습니다.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주민 (음성변조)]
"8시 10분, 20분 사이는 이미 석동 동네 불 다 붙었어요. 불길이 확 차로 덮쳐버리는 거야. 그래서 길은 좁지 다시 돌려가 내려왔다고…"

주민들은 방파제로 몸을 피해야만 했고 여기서도 불길에 고립됐다 가까스로 해경에 구조됐습니다.

그런데 영덕군은, 전 주민에 대한 대피령의 경우 오후 7시 반, 긴급재난문자는 오후 9시에야 발송했습니다.

이때는 이미 인명피해가 속출하던 시간이었습니다.

영덕읍 매정리에선 9시쯤 노인요양시설에서 대피하던 차량이 불길에 휩싸여 3명이 숨졌고, 불길을 피해 뛰쳐나온 주민 2명은 집 앞에서 숨졌습니다.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리 주민 (음성변조)]
"마을회관에서 피난하려고 차에 태우는 순간 완전히 불꽃이 날아왔다니까. <그게 몇 시입니까.> 그게 8시 10분, 20분 됐어요."

그런데 산불이 영덕군 경계를 넘은 오후 6시쯤 군수가 개인 친목모임의 저녁식사 자리에 참석하느라 자리를 비웠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경북 영덕군 주민 (음성변조)]
"안이한 대처로 인해 우리 군민의 소중한 생명이 운명을 달리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선 안타깝습니다."

영덕군은, 군수가 식사 자리에 머무른 시간은 15분 정도라며, 산불 보고를 받고 바로 현장으로 이동해 재난 상황을 지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정전이나 통신 두절로 인해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던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경북 영덕군 담당 직원 (음성변조)]
"전기하고 통신하고 이런 게 다 죽어버리니까, 우리 군의 무전기하고 이런 것도 다 죽어버렸어요. 그때 통신이 안 되니까 우리가 군청 옥상에 가서 높은데 가서 확인을 하고…"

산불로 영덕군의 8천여 헥타르가 불타고 10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MBC뉴스 장성훈 입니다.

영상취재: 방창호 (포항)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123 [속보] 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경찰력 50% 동원 랭크뉴스 2025.04.03
43122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지시 랭크뉴스 2025.04.03
43121 4·2 재보선 민주당 거제·구로·아산서 승리…부산 진보교육감 당선 랭크뉴스 2025.04.03
43120 '트럼프 관세차트'에 한국 7번째…한국 차례 오자 설명 건너뛰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3119 美재무 "상호관세 순순히 받아들여라" 보복 악순환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3118 NH투자증권, 홈플러스 논란 ‘불똥’…“자본시장 이해 없는 비판” 랭크뉴스 2025.04.03
43117 美 해고 공무원 "출입구에 빨간불 떠…'오징어게임' 같았다" 랭크뉴스 2025.04.03
43116 [제주항공 참사 100일] ① 고통의 연속…무너진 유가족 일상 랭크뉴스 2025.04.03
43115 '파산'에서 '혁신기업'으로 …카탈로그는 어떻게 제이크루를 살렸나[케이스스터디] 랭크뉴스 2025.04.03
43114 한국서 행패부린 '외국인 유튜버' 논란…서경덕 "강제 추방해야" 랭크뉴스 2025.04.03
43113 [美관세폭풍] 美 FTA 체결국 중 韓 상호관세율 가장 높아…수출경쟁력 비상 랭크뉴스 2025.04.03
43112 [美관세폭풍] "가장 큰 피해자는 美 소비자"…미국 내에서도 '우려' 랭크뉴스 2025.04.03
43111 동물 학대 전력자도 5년 후면 재영업 가능···동물영업 허가갱신제 허점 랭크뉴스 2025.04.03
43110 iM證 “트럼프 상호관세, 최악의 시나리오로 현실화… 개별 협상이 관건” 랭크뉴스 2025.04.03
43109 [속보]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지시 랭크뉴스 2025.04.03
43108 한덕수 "자동차 등 美 관세 영향 업종 긴급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3107 한 총리, 미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회의‥"범정부 차원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3106 韓대행, 美상호관세 부과에 긴급회의…"모든 역량 쏟아부어야"(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3105 [투자노트] '지브리 프사' 늘어나면 조선주가 오른다 랭크뉴스 2025.04.03
43104 챗GPT 이미지 열풍에 올트먼도 '쩔쩔'…커지는 AI인프라 중요성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