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저희는 그날 밤 상황에 대해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지난해 12월 작성한 수사보고서도 확인했습니다.

이 보고서엔, 계엄 선포 직후 국민의힘과 민주당 국회의원들의 텔레그램 단체 대화 내용도 상세히 담겼는데요.

이를 두고 검찰은 내란 세력의 범행 실행 정황이 잘 드러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내용을 보고서에 적시 했습니다.

김현지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비상계엄 선포 직후, 경찰은 국회의원의 국회 진입을 막았습니다.

"국회의원들은 들어가게 해줘야죠!"

계엄 해제 의결이 무산될 수 있던 위기 상황에 국회의원 텔레그램 대화방도 분주해졌습니다.

검찰은 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 당일 텔레그램 단체 대화를 분석해, 지난해 12월 수사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M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계엄 선포 4분 뒤인 밤 10시 27분, 민주당에서는 천준호 의원을 시작으로 계엄 선포 소식이 전파됐습니다.

"국회로 모이자"는 의원들 반응이 쏟아졌고, 이재명 대표가 밤 10시 39분 "국회로"라는 메시지를 올렸습니다.

밤 11시, "국회 폐쇄" 소식이 전해지자 국회 진입 방법이 공유되기 시작합니다.

"국회경비대가 서울청 소속이라 컨트롤이 불가능하다, 담을 넘어라 한강변 쪽으로", "도서관, 헌정회쪽은 아직 들어갈 수 있다", "국회 뒤쪽으로 돌면 담을 넘을 수 있다" 같은 다급한 메시지가 이어졌습니다.

상황은 국민의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밤 10시 46분, 권영세 의원이 "비상으로 국회 해산이라도 하겠다는 건가"라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3분 뒤 박수영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라는 한동훈 당시 대표의 메시지를 전했고, 여러 의원들이 앞다퉈 긴급 의원총회를 요청했습니다.

밤 11시 24분 주진우 의원은 "즉시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 민주당은 담을 넘어서라도 국회에 들어가고 있다"는 한 전 대표 언급을 전달했습니다.

이후 우재준 의원은 "담을 넘어서라도 와달라"고 했고, 한지아 의원은 "군인들이 총을 갖고 진입했고 본청으로 들어오려 한다"는 국회 내부 상황을 전파했습니다.

당시 여야 대화방을 언론 보도 등을 통해 확인한 검찰은 "계엄 선포 이후 계엄군·경찰에 의해 국회가 통제·봉쇄돼, 의원들이 담이나 울타리를 넘어 국회 진입을 시도하는 상황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고 적었습니다.

특히 본 사건의 "범행 실행 정황이 잘 드러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군 국회 투입은 질서유지 목적"이라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아무도 없는데 의원들이 담을 넘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 반응만 보더라도 윤 대통령 해명은 설득력을 잃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현지입니다.

영상편집: 허유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36 "화장실 급해요" 휴게소에서 내려줬더니 사라져…도망간 이유 들어보니 '황당' 랭크뉴스 2025.04.05
44035 9개월, 누구보다 빨리 떴지만…31개월, 누구보다 빨리 졌다 [尹 파면] 랭크뉴스 2025.04.05
44034 애플이 삼성전자보다 트럼프 관세 충격 크다? "300만 원 아이폰 미국서 나올 수도" 랭크뉴스 2025.04.05
44033 [속보]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서 규모 7.2 지진…美 쓰나미 경보 랭크뉴스 2025.04.05
44032 광화문 앞 샴페인 터트리며 환호, 한남동선 성조기 떨구며 좌절 랭크뉴스 2025.04.05
44031 고공행진 은 가격, "수십년간 조작됐다"고? [공준호의 탈월급 생존법] 랭크뉴스 2025.04.05
44030 정부 부처, 줄줄이 尹 계정 '언팔'…포털 정보도 신속 수정[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05
44029 끝내, 시민이 이겼다…다시, 민주주의로 랭크뉴스 2025.04.05
44028 "누구든 후보 될 수 있다"…'원톱' 없는 국힘, 이젠 경선 전쟁 랭크뉴스 2025.04.05
44027 [2보] 무역전쟁 격랑에 S&P 500지수 6%↓…5년만에 최대낙폭 랭크뉴스 2025.04.05
44026 "12·3 계엄은 위헌·위법" 헌재 못박았다…4개월 만에 첫 사법 판단 랭크뉴스 2025.04.05
44025 해병대 간부라던 그 남자, 사기꾼이었다…제주서 '노쇼' 피해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05
44024 “납득 못할 정치적 결정…민주당 국헌 논란은 인정된 것” 랭크뉴스 2025.04.05
44023 이제는 자연인 윤석열…내란죄·공천개입 수사 속도 붙는다 랭크뉴스 2025.04.05
44022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 환호 대신 책임 내세운 野 대선 채비 랭크뉴스 2025.04.05
44021 탄핵선고 끝났지만…오늘도 도심 곳곳 찬반집회 랭크뉴스 2025.04.05
44020 尹 파면으로 불소추특권 사라져… 검찰·경찰·공수처 동시 수사 예고 랭크뉴스 2025.04.05
44019 내란 우두머리 혐의 ‘피고인 윤석열’ 14일 첫 형사 법정 선다 랭크뉴스 2025.04.05
44018 尹 파면 이유 명료했다 "헌법 수호 책무 저버리고, 국민 신임 배반" 랭크뉴스 2025.04.05
44017 한 대행 “대통령 탄핵 무겁게 생각…차기 대선 관리 최선”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