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폭력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사진)이 숨진 채 발견됐다. 장 전 의원은 부산 한 대학교 부총장이던 2015년 11월 비서 A씨를 상대로 성폭력을 한 혐의(준강간치상)로 고소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돼 경찰 수사를 받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31일 숨진 채 발견된 가운데, 나종호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교수가 5년 전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숨졌을 때 작성했던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다시 공유했다. “자살유가족을 위해, 자살이 명예로운 죽음으로 포장되고 모든 것의 면죄부인 것처럼 여겨지는 분위기는 지양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나 교수는 1일 자신의 SNS에 ‘그녀들에게도 공감해주세요. 故 박원순 시장의 죽음 앞에서’라는 제목으로 5년 전인 2020년 7월 직접 쓴 글을 요약해 공유했다.

나 교수는 “나는 자살유가족에 대한 낙인이 사라지는 날을 꿈꾼다. 하지만 동시에 자살이 미화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실제로 자살을 명예롭게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는 자살률을 높이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며 “자살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자살을 유일한 탈출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위해서라도 자살이 명예로운 죽음으로 포장되고 모든 것의 면죄부인 것처럼 여겨지는 분위기는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 교수는 해당 부분을 인용하고 전문 링크도 함께 공유했다. 전 박원순 서울 시장 사망 이틀 뒤 작성한 글에서 나 교수는 “정신과 의사로서 나는 걱정한다. 박 시장의 자살이, 그리고 우리 사회가 그의 죽음을 기리는 방식이, 고인을 고소한 피해자 여성에게 그리고 비슷한 경험을 가졌을 (남녀를 불문한) 한국의 수많은 성폭행·성추행 피해자들에게 미칠 영향을”이라고 썼다.

그는 이어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트라우마는 빈번하며 트라우마 희생자의 절대다수는 젊은 여성”이라며 “부탁드린다. 박 시장이 느꼈을 인간적 고뇌와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으로 피해 여성의 마음도 헤아려봐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소시민이 서울시장이라는 거대 권력을 고소하는 데에 얼마나 큰 용기가 필요했을지, 얼마나 많은 밤을 잠 못 이뤘을지에 대해서. 그리고 고소장이 접수되자마자 피고인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을 때 그녀가 느낄 충격이 얼마나 클지에 대해서 (헤아려봐 달라)”며 “우리가 그렇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묻어버리자고 했을 때 그리고 우리가 그의 죽음을 기리는 방식이 그녀에게, 그리고 모든 성추행 피해자들에게 주는 메시지에 대해서 (헤아려봐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장 전 의원은 지난달 31일 오후 11시40분께 서울 강동구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장 전 의원은 지난해 11월 부산의 한 대학교 부총장이었던 2015년 당시 비서 A씨를 상대로 성폭력을 한 혐의(준강간치상)로 고소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었다. 장 전 의원은 A씨의 주장이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강력히 부인해 왔다.

그러나 지난달 31일 A씨 측은 사건 당일 호텔에서 촬영한 동영상, 국과수 감정서, 문자 메시지 등을 수사기관에 제출하며 증거를 공개했고 이날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열어 고소 경위 등을 밝힐 계획이었으나 장 전 의원의 사망 소식이 나온 후 기자회견을 취소하겠다고 알렸다.

당사자인 장 전 의원의 사망으로 경찰 수사는 ‘공소권 없음’으로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도 지난 2020년 전직 비서 B씨를 성추행·성희롱했다는 혐의로 고소당했다. 당시 본격적인 경찰 수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박 전 시장이 스스로 세상을 떠나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이 종결됐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곤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전화 ☎109 또는 SNS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284 트럼프가 틀렸다...한국 상호관세, '25%' 아닌 '26%' 랭크뉴스 2025.04.03
43283 尹운명 가를 주문, 맨 마지막에 읽는다?…변수 된 생중계, 왜 랭크뉴스 2025.04.03
43282 中, “美상호관세 부과는 ‘일방적 괴롬힘’, 반격할 것” 랭크뉴스 2025.04.03
43281 "패배요? 우리 패배 아닙니다"‥참패 원인 묻자 '발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3
43280 “토허제 규제 틈새 노렸나” 강남3구 빌라 거래 늘어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3
43279 한투 이어 신한證도 회계 오류로 매출 부풀려져… 부랴부랴 사업보고서 정정 랭크뉴스 2025.04.03
43278 “가문에선 출마 말렸는데…” 탄핵 선고 하루 전, 파평 윤씨 집성촌은 랭크뉴스 2025.04.03
43277 산불진화대원들 “헬멧은 녹슬고 곰팡이… 영상 교육만 받기도” 랭크뉴스 2025.04.03
43276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검찰, ‘김건희 불기소’ 뒤집고 재수사할까 랭크뉴스 2025.04.03
43275 “손님이 심장마비” 신고…마사지 받던 60대 돌연 숨져 랭크뉴스 2025.04.03
43274 尹운명 가를 주문, 전원일치 여부 상관없이 마지막에 읽는다? 랭크뉴스 2025.04.03
43273 NBS "윤 대통령 파면 예상" 4%p 오른 55%‥'기각할 것' 34% 랭크뉴스 2025.04.03
43272 "베트남·태국·중국서 나와야 하나" 관세 폭탄 맞은 삼성·LG전자 랭크뉴스 2025.04.03
43271 트럼프 “韓, 미국산 쌀 관세 513% 부과” 팩트체크 해보니 랭크뉴스 2025.04.03
43270 철강·車는 품목 관세 25%, 기계·가전은 상호관세 25%… 수출 한국 ‘비상’ 랭크뉴스 2025.04.03
43269 [탄핵심판 선고 D-1] 尹 대통령 파면 여부 결정할 5대 쟁점… 위헌·위법 중대성 여부가 핵심 랭크뉴스 2025.04.03
43268 "日, 위안부 통해 한국에 좋은 유전자 줬다" 망언 유튜버…서경덕 "당장 추방해야" 랭크뉴스 2025.04.03
43267 '교제살인' 박학선 2심도 무기징역…"참혹 살해에 엄벌 필요" 랭크뉴스 2025.04.03
43266 尹 탄핵, ‘인용’이냐 ‘기각’이냐...챗GPT에게 물었더니 랭크뉴스 2025.04.03
43265 “부부합산 월급800만원” 연금 월500만원 따박따박 들어오네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