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VOICE: 북파공작원(HID)을 말하다 "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 " 대북 관련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1951년 부대 창설 후 그 명칭은 지금껏 수시로 바뀌었다. 다만 군이 공식적으로 부대의 존재와 임무를 인정한 적은 없다. HID는 있어도 ‘없어야 할’ 부대, 없어도 ‘있어야 할’ 부대였다. 하지만 최근 HID가 12·3 계엄 사태에 동원됐다는 얘기가 나오며 본격 거론되기 시작했다. 국회 증언과 수사 과정에서 HID 임무가 드러나기도 했다.

중앙일보〈VOICE〉팀은 196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HID에 몸담았던 전직 요원 8명을 만나 이들의 이야기를 5편에 걸쳐 영상에 담았다. HID 요원들은 입대 날부터 수년간 이어진 혹독한 훈련, 사선(死線)을 넘나든 북파 임무에 관해 상세히 증언했다. 1983년 ‘부산 다대포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작전 최전선에 투입돼 간첩을 생포한 한 전직 HID 요원은 40년 만에 처음으로 사건의 막전막후를 털어놓기도 했다. 최근 12·3 계엄 사태에 동원된 전·현직 HID 요원들에게 부여된 구체적 임무가 무엇인지도 물었다.
그래픽 이승은
최첨단 첩보 위성이 적국 상공을 샅샅이 들여다보는 시대, HID는 왜 여전히 북한에 직접 침투해야 할까. HID 요원들은 어떤 마음으로 국가의 명령에 ‘절대복종’ 해왔을까. 훈련과 임무 수행 과정에서 이들은 말 못할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겪기도 했다고 했다. 전직 HID 요원들이 전한 ‘음지(陰地)’의 부대, HID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어떨까.

1편: HID, 특전사에 몰살될 뻔했다…40년 만에 깐 ‘간첩 X파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7048

2편: 계엄 투입된 前 HID 요원 20명…“진짜 무서운 건 그들의 임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677

3편: 1억 준다더니 “쏴 죽여버린다”…北인공기 휘날린 공포 입대식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4

4편: “北 목함지뢰, 맞불 보복하라”…노상원 ‘HID 폭사 지시’ 전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2

5편: “HID 훈련 본 국회의원 기절” 원빈 ‘아저씨’ 그 사건, 실화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9
① 북한말 쓰는 공작? “그 임무는 벌써 실패다” " ‘돼지부대’라는 그 말을 별로 안 좋아합니다. 거부감이 엄청 심해서···. (최인규·1990년 입대) " " 사람을 ‘일회용’으로 쓰겠다는 얘기인데, 모욕이라고 할까요? (이기건·1979년 입대) "
최인규 전직 HID요원은 1990년 입대했다. 인터뷰에서 최씨는 입대 과정부터 HID에서 경험한 기초·특수 훈련 과정에 대해 전했다. 시대는 바뀌었지만, HID의 훈련과 임무의 강도는 큰 틀에서 변함없었다.
HID 부대를 흔히 ‘돼지부대’라고 부른다. ‘혹독하게 훈련해(잘 먹여서) 완벽하게 임무 수행을 성공시킨다(잘 잡아먹는다)’는 뜻에서 붙여진 별칭(別稱) 혹은 멸칭(蔑稱)이다.
" 훈련대에 들어간 지 4주 만에 27㎏이 빠졌어요. 삼시 세끼를 어마어마한 양을 먹는데도 살이 계속 빠지더라고요. 부모님이 면회를 오셨는데, (저를 보더니) 대성통곡을 하며 울더라고요. (백경민·2004년 입대) " 196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HID에서 근무한 전직 요원 8명이 인터뷰에서 밝힌 HID 부대의 훈련 과정은 민간인이 쉽게 상상하기 힘든 극단적 경험이 상당히 많았다. 또 시대가 달라도, 이들이 전한 입대 당시 기억은 놀라울 만큼 비슷했다. “공포의 도가니”라던 입대 날, 부대에 도착한 이들 눈에 처음 보인 건 “국기 게양대에 펄럭이던 북한 인공기였다”고 했다.
" (입대날은) 생생하게 기억나죠. 아직까지 트라우마라고 말할 정도로 충격적인 현장이었기 때문에···.(백경민) "
지난달 20일 백경민 전 HID요원이 중앙일보 VOICE팀과 인터뷰하고 있다. 백씨는 2004년부터 약 4년간 HID요원으로 근무했다.
본격적인 훈련이 시작되면 HID 요원들은 작은 습관부터 생활 방식까지 철저하게 북한 방식을 학습했다. 특히 머리 스타일, 언어, 제식 훈련의 경우 “철저하게 북한식을 따랐다”고 했다. 머리를 길렀다. 단순히 위장 때문만은 아니었다. 북한 말도 배운다. 그저 흉내 내는 수준을 넘어서는 정교한 학습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숨소리마저 북한군처럼” 내기 위해 HID 요원들은 “기본·특수 훈련을 각각 3~4개월씩 받는다고 했다. 8명의 전직 요원이 전한 구체적인 훈련과정은 어땠을까.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1억 준다더니 “쏴 죽여버린다”…北인공기 휘날린 공포 입대식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4
② 자폭 조끼? 노상원 ‘HID 폭사 지시’ 사건의 전말 전직 HID 요원들은 늘 “진짜 북한을 갔다 왔느냐”란 질문을 받는다고 했다. 혹독한 훈련을 거쳐 북파 임무에 투입된 요원들은 실제로 북한의 어느 지역까지, 어떻게 침투했을까. 임무 수행 전 이들은 “유서와 함께 따로 남기는 것들이 있다”라고도 했다. 과거엔 “세 번 이상 임무 수행 후 복귀하면 이중간첩으로 의심받고 처형당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과연 사실일까.
지난 2월 20일 김정수(가명) 전 HID요원이 중앙일보 VOICE팀과 인터뷰하고 있다. 김씨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폭사 지시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온 그 작전에 실제 투입됐다고 전했다.
HID에게 임무 실패는 곧 죽음이다. “자폭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물론 임무 실패에 국한된 얘기다. 하지만 지난 2월 국회 ‘12·3 비상계엄 사태’ 국정조사에선 “2016년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임무 수행 후 복귀할 HID 요원들을 폭사시키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증언대로 임무에 성공한 요원을 자폭시키는 게 가능할까. 당시 작전에 참여했던 한 전직 요원은 인터뷰에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폭사 지시’ 사건 전말을 상세히 전했다. 당시 이 작전은 마지막 순간에 취소됐다. 이유는 뭘까.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北 목함지뢰, 맞불 보복하라”…노상원 ‘HID 폭사 지시’ 전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2
③ HID 맹목적 충성의 비밀, “세뇌” " 선배가 하는 말이 ‘법’이고, ‘선배가 하는 생각’이 ‘내 생각’이고… 일종의 ‘가스라이팅’이죠. (백경민·2004년 입대) " 인터뷰에 응한 전직 HID 요원 대다수는 “임무와 훈련 등 부대 실체를 모르고 입대했다”고 했다. 그런데도 이들은 “다시 입대하라면 또 갈 것”이라며 “이런 게 가능한 건 ‘세뇌’가 용이한 HID 특유의 부대 운용 방식 때문”이라고 했다.

‘외부 세계와의 단절’이 세뇌의 첫 단계다. 전직 요원들은 “입대 이후 가장 가까운 가족·친구 관계부터 대중교통 이용 방법까지 일상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고 했다. 인터뷰에서 이들은 뜻밖의 정신적·신체적 후유증들을 털어놓았다. 시간이 흘러 HID 부대는 점차 ‘양성화’ 됐다. 휴가도 가고, 출퇴근도 한다. ‘단절’에서 비롯된 고통은 이제 사라졌을까. 일각에선 ‘갇혀 살지 않는’ MZ세대 HID 요원의 정신력과 전투력을 우려하는데, 기우일까.
김재성(왼쪽) · 김용덕(오른쪽) 전 HID요원. 두 전직 요원은 인터뷰에서 HID요원들이 부대 안팎에서 겪은 정신적·신체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했다.
2002년 이후 입대한 20·30세대 북파공작원들은 국가유공자 지위를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1948~2002년까지 입대한 이들만이 법적으로 유공자에 포함된다. 왜 특정연도를 기준으로 유공자 자격을 끊었을까. 젊은 요원들의 불만이 쌓이면 2002년 ‘가스통’ 시위가 재현될 가능성도 있는 걸까.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HID 훈련 본 국회의원 기절” 원빈 ‘아저씨’ 그 사건, 실화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9
④ ‘부산 다대포 간첩 사건’ 40년 만의 첫 HID 증언 1983년 12월 3일 밤. 북한 원산에서 일본 간첩선을 위장한 북한 반잠수정에 탄 무장공비 5명이 부산 다대포에 침투했다. 침투 한 달 전, 간첩들이 다대포에 온다는 첩보가 이미 입수됐다. 생포 명령이 떨어졌다. 육·해·공군 가용할 수 있는 부대가 총동원됐다. 그리고 작전의 최전선엔 HID, 북파공작원들이 투입됐다. 결국 북한 무장간첩 2명은 다대포 인근에서 HID 요원들에게 생포됐고, 간첩들이 몰고 온 반잠수정은 해군에 격추돼 침몰했다.

이기건 전 HID 요원은 작전 당시 간첩들의 최근접 거리에서 생포에 참여해 최고 수준의 수훈을 인정받아 충무 무공훈장과 포상금 5000만원을 받았다. 이씨는 그간 단 한 번도 인터뷰에 나선 적이 없다고 했다. 사건 직후 공식 인터뷰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이기건 전 HID 요원은 '부산 다대포 간첩생포 작전' 직후 공식석상에서 육군 53사단 군복에 병장 계급장을 달고 인터뷰에 응했다. 이후 이씨는 40년간 이 작전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한 적이 없다고 했다.
이씨를 비롯한 HID 요원 약 50여명은 작전 한 달 전부터 강원도 고성에서 따로 모여 훈련을 받았다고 했다. 이들은 왜 미리 훈련을 받고 작전에 임했을까. 그리고 작전 목표는 왜 사살이 아닌 ‘생포’였을까. 이씨 등 전직 HID 요원은 40년 만에 처음으로 당시 작전의 구체적인 전개 과정과 생포 비화를 전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HID, 특전사에 몰살될 뻔했다…40년 만에 깐 ‘간첩 X파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7048
⑤ 12·3 계엄 그날 밤, HID의 임무 지난해 12월 3일 밤, 전·현직 HID 요원 20여 명은 경기도 판교 정보사에 집결해 작전 명령이 떨어지길 기다렸다. 김정수(가명) 전 HID 요원은 인터뷰에서 HID 요원 수십 명이 모여든 당시 상황을 두고 “아비규환”이라고 설명했다. 김씨는 “HID 계엄 동원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선 HID ‘전직 요원’을 투입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함인준씨는 1981년 HID에 입대했다. 12·3 계엄에 HID요원들이 동원된 것에 대해 최씨는 "HID는 요원들이 상부 명령과 상관없이 스스로 판단해서 임무를 수행하는 구조가 아니"라고 말했다.
계엄 과정에서 HID에게 부여된 임무는 실제로 ‘인민군 위장을 통한 사회 혼란 유발’이나 ‘북한 도발’ 유도, ‘요인 체포·납치·암살’ 등이었을까. 이런 임무 수행을 위해 '인민군복'과 케이블타이·포승줄·송곳·야구방망이와 같은 여러 도구가 준비됐다는 의혹도 제기됐는데, HID 요원에게 이 도구는 어떤 의미였을까.
비교적 최근까지 HID에 몸담았던 김정수(가명) 씨와 백경민 씨는 지난해 12월 3일 밤 HID 요원들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비교적 상세히 파악하고 있었다. 실제 명령이 떨어졌다면, 현장에 있던 요원들은 명령대로 움직였을까. 당시 이들은 뜻밖의 반응을 드러냈다고 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계엄 투입된 前 HID 요원 20명…“진짜 무서운 건 그들의 임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677
VOICE: 세상을 말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좋은 이름? 올해엔 최악이다…“을사년엔 이 한자 절대 금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997

“부모 말 절대 안 듣는 사주다” 박정희·전두환·윤석열 공통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688

정보원과 ‘깊은 연애’를 했다…20년 국정원 요원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9360

“호텔방 금고 절대 믿지마라” 전직 국정원 요원의 경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0829

탄수화물 더 먹고도 날씬했다…한국인의 밥상, 50년의 충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65

우유 마시면 뼈 튼튼해진다? “더 부러진다” 충격적 진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2

‘신내림’ 한국의 4대 저주술…욕해도 무속 찾는 이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7595

동양서 유독 기독교 퍼진 나라…한국의 비밀은 고인돌에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44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49 검찰, ‘경비함정 비리 혐의’ 김홍희 전 해경청장 구속 기소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8 ‘대미 협상 총력’ 한덕수…야당 “트럼프와 통화 한 번 못해”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7 ‘집에서 임종’ 14%뿐…“삶의 끝은 가족 품이어야”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6 ‘가짜 임신’ 사진 찍는 중국 Z세대… “날씬할 때 미리”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5 [속보] 尹 탄핵심판 선고 방청권 경쟁률 4818.5대 1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4 "산불이야" 고령 주민들 대피시키고 마지막에 탈출한 청년 농부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3 [단독]지난해 단 120만원…나경원 일가 운영 고교가 ‘찔끔’ 낸 이것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2 [단독] 명동 화교학교도 탄핵 선고일 휴업…16→27곳 문닫는 학교 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1 “美, 사람 0명인 남극 섬에도 관세 부과” BBC 등 보도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40 경쟁률 4818 대 1…‘윤석열 탄핵 선고’ 방청에 9만6370명 몰려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39 성인 둘 중 한 명은 "국가건강검진 항목 부족해"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38 파랗게 오염된 안산천... 누가 버렸나 추적해보니 ‘가정집’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37 이재명 '1만 명 학살' 발언에 尹측 "허위 사실로 극단적 선동" new 랭크뉴스 2025.04.03
48236 이재명, 尹선고 하루 전 "계엄에 국민 1만명 학살 계획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8235 '尹 탄핵심판' 일부 학교서 시청‥교육부 "중립성 위반 사례 발생 안 돼" 랭크뉴스 2025.04.03
48234 헌재 인근 안국역 3일 오후 4시부로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3
48233 “尹탄핵 심판, 학교서 중계 시청 권고”에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03
48232 ‘강남 오피스텔 모녀 살인’ 박학선, 2심서도 무기징역 랭크뉴스 2025.04.03
48231 ‘유죄 확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김건희 연루’ 얼마나 드러났나 랭크뉴스 2025.04.03
48230 '파면돼도' 바로 짐 안 빼나? "김성훈, 기각 확신하고‥"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