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닮은 전두환 신군부의 내란을 단죄할 때, 사법부는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1996년, 전두환을 단죄했던 사법부는 위헌적인 비상계엄 선포 자체가 폭동이고, 국회 봉쇄 자체가 국헌문란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다시헌법, 윤상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한 전두환은 국회를 봉쇄했고, 정치 활동을 금지했고, 정적을 체포했습니다.

그로부터 44년이 흘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군경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했습니다.

국회의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계엄포고령도 공포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다는 증언도 쏟아졌습니다.

전두환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와 닮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과거 전두환은 "비상계엄으로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가 억압되는 위협적인 상황이 조성된 적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대통령도 '평화적 계엄'이라고 주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12월 12일)]
"질서 유지를 위해 소수의 병력을 잠시 투입한 것이 폭동이란 말입니까?"

전두환은 비상계엄 전국 확대 당시 상황을 "북괴의 동향과 소요 사태 때문에 전국이 비상사태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대통령도 북한을 거론하며 비슷한 논리를 펼칩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국가비상사태가 아니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까. 북한을 비롯한 외부의 주권 침탈 세력들과 우리 사회 내부의 반국가 세력이 연계하여‥"

사법부는 전두환의 내란 혐의를 용서하지 않았습니다.

1996년 전두환 내란 사건 항소심 재판부는 "시국을 수습하고 정국을 안정시키려 했다"는 전두환 일당의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고, 국회 봉쇄, 정치활동 금지 등을 "국헌문란 행위로 내란에 해당한다"고 결론내렸습니다.

이듬해 대법원도 "비상계엄의 전국 확대 자체만으로도 국민에게 기본권이 제약될 수 있다는 위협을 주는 측면이 있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민의 기본권 제약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선포로 인해 자유대한민국 헌법 가치를 믿고 따라주신 선량한 국민들께 다소의 불편이 있겠습니다마는‥"

전두환 내란을 단죄하며 바로세운 민주주의는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으로 다시 위협받고 있습니다.

MBC뉴스 윤상문입니다.

영상편집: 안윤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098 ‘지브리’ 열풍에 챗GPT 가입자 5억명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3097 [속보]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3096 신호 무시하고 사진 찍는 '민폐 커플' 랭크뉴스 2025.04.03
43095 [르포] 폐부를 찌르는 '죽음의 냄새'… 미얀마 지진 '골든 타임'은 끝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3094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처방 누락…80대 노인, 3개월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03
43093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오락가락···한화에어로는 제동, 삼성SDI는 승인? 랭크뉴스 2025.04.03
43092 탄핵선고 D-1…'진공상태' 헌재 인근 도로통제로 출근길 정체 랭크뉴스 2025.04.03
43091 [속보] 한덕수,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트럼프 관세 대응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3
43090 철강·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 예외… “기존 관세 품목엔 미적용” 랭크뉴스 2025.04.03
43089 흑석산에 뜬 헬기…경찰관이 맨몸으로 산 오른 이유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3
43088 “설마 저희 아기일 줄은” 태어난 지 9일 된 신생아에 간호사가 저지른 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3087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49% 상호관세… 한국 25% 랭크뉴스 2025.04.03
43086 야권, 기초단체 4곳 석권‥부산교육감도 진보 랭크뉴스 2025.04.03
43085 [단독] "사즉생" 이재용, 시진핑 이어 이시바 만난다…전장 세일즈 랭크뉴스 2025.04.03
43084 韓 상호관세 25%, 日, EU보다 높다, 車 합산은 안 해[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3
43083 트럼프 “한국에 상호관세 25%” 중국 34%·일본 24%·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082 [인턴이간다] 화마와 싸우는 소방관들…'정원치유'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랭크뉴스 2025.04.03
43081 부산교육감 재선거, '진보진영' 김석준 당선…득표율 51.13% 랭크뉴스 2025.04.03
43080 박근혜 때처럼…헌재, 윤 탄핵 결정문에 사회 통합 ‘보충의견’ 내놓나 랭크뉴스 2025.04.03
43079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中 34% 日 24% 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