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법개정안 거부권을 행사를 막기 위해 직을 걸겠다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김병환 금융위원장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그러나 F4 회의(금융정책을 책임지는 4명 수장이 하는 회의) 멤버들이 만류하면서 거취 결정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미 거부권을 행사한 데다 상법 개정 대신 자본시장법 개정이 적절하다는 게 정부 입장인 만큼 이 원장이 월권을 하고 있단 지적이 여당에서도 나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뉴스1



“윤 대통령, 거부권 행사 안 했을 것”

2일 이 원장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현해 거취 관련 질문을 받고 “최근 금융위원장께 연락해 (사퇴) 입장을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이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이 이 원장에게 ‘지금 시장 상황이 어려운데 경거망동해선 안 된다’는 취지로 말렸다고 한다. 이 원장은 오는 3일 예정된 F4 회의 등 예정된 일정을 소화하기로 했다.

문제가 된 건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를 비판하면서 이 원장이 내놓은 발언이다. 그는 “주주가치 보호와 자본시장 선진화는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한 정책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계셨다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오만한 태도”라며 “어떻게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 운운하면서 대통령과 자기 생각이 같다고 일방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 제 공직 경험에 비춰 있을 수 없는 태도”라고 지적했다.

상법이 아닌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한다는 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전 이미 정부 내에서 정리된 의견이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일 “정부는 상법을 개정하기보단 자본시장법을 개정하기로 했다”며 “상법 개정으로 우려되는 부작용을 해소하고 실효적인 주주 보호가 가능한 방안”이라고 했다. 당시 법무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용산 대통령실까지 협의를 마치고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게 금융당국 설명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었다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을 거라는 건 이 원장의 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말했다.



사표 제출은 없어
이 원장은 또 “4일 대통령이 오시는지 안 오시는지 이런 걸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할 수만 있으면 임명권자인 대통령께 (거취 문제를) 말씀드리는 게 가장 현명한 것이 아닐까 싶다”고 밝혔다. 거취 결정을 사실상 탄핵 선고 이후로 미뤘다는 풀이가 나온다. 금융당국 내에서는 이 원장이 사직 의사만 전달했을 뿐 사표 제출과 같은 공식적인 움직임은 없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정식으로 사표를 제출하거나 현재 임명권자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게까지 사의를 밝힌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성동 대표는 “직을 걸겠다고 입장을 표명했으면 사의 반려할 걸 기대하지 말고 짐 싸서 청사를 떠나는 게 공인의 올바른 태도”라고 지적했다. 이 원장의 임기는 오는 6월 6일까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07 억측·낭설 쏟아졌지만‥'전원일치'로 헌법 수호 랭크뉴스 2025.04.04
43906 구광모가 이끈 AI 혁신, LG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랭크뉴스 2025.04.04
43905 "우리가 이겼다"‥광장 메운 123일의 '외침' 랭크뉴스 2025.04.04
43904 尹 파면으로 여야 없어졌다…대통령 없는 국힘, 이제 제2당 랭크뉴스 2025.04.04
43903 탄핵 인용에 화난 40대, 112에 전화해 “민주당사 부수겠다” 랭크뉴스 2025.04.04
43902 中, 美에 '전방위 보복' 나섰다…34% 맞불관세·희토류 수출통제(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3901 윤석열, 국힘 지도부 만나 “난 떠나지만···대선 꼭 승리하길” 랭크뉴스 2025.04.04
43900 “파운드리 합작 법인 잠정 합의”… 인텔, TSMC와 반도체 동맹 가시화 랭크뉴스 2025.04.04
43899 비용 줄이려 해외로 간 韓 기업, 美 관세 폭탄에 초비상 랭크뉴스 2025.04.04
43898 조두순, 하교 시간대 재차 거주지 무단이탈…수 분 만에 귀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7 中, 美수입품에 34% '보복 관세' 추가…美군수기업 16곳도 제재 랭크뉴스 2025.04.04
43896 尹 파면에 잠룡株 줄줄이 '상한가'…다시 돌아온 정치 테마주의 시간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4
43895 불소추특권 사라진 尹… 월 1533만원 연금 자격도 상실 랭크뉴스 2025.04.04
43894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 “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3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2 중앙선관위 진입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4
43891 “끌어내라” 尹 지시, 정치인 체포 관여 사실로 판단 랭크뉴스 2025.04.04
43890 부정선거 매달린 尹 주장에… “계엄 정당화 안된다” 지적 랭크뉴스 2025.04.04
43889 울분·격앙 뒤 뿔뿔이 흩어진 '반탄파'… '만장일치 파면'에 맥 빠졌나 랭크뉴스 2025.04.04
43888 [단독] 김성훈 "尹 현충원 들렀다 오면 도열" 경호처에 지시... 기각 확신했나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