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마은혁 없이 ‘인용 5 기각 3’이면 정당성에 문제
법조계 “그런 상황선 선고 기일을 못 잡았을 것”
‘인용’ 가능성에 무게…“기각 의견, 나와도 소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지난 2월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조상원 중앙지검 4차장, 최재훈 중앙지검 반부패 수사 2부장 등 검사 3인에 대한 탄핵심판 2차 변론기일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 결정을 선고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재판관 8인만으로도 결론을 낼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결정이 늦어지는 사이 빠르게 퍼져나갔던 ‘5대 3 교착설’의 신빙성은 상당히 떨어졌다. 남은 경우의 수를 헤아려 보면 헌재가 탄핵을 인용할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헌재의 늦은 결정이 불 지핀 ‘5대3 교착설’…“사실이면 선고일 못 정했을 것”

지난 2월25일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을 종결했을 때만 해도 법조계에서는 “2주 내로 전원일치로 인용 결정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런데 헌재 결정이 계속 미뤄져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퇴임(4월18일)이 예정된 4월까지 넘어가자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두고 각종 추측이 나왔다.

특히 ‘인용 5명, 기각·각하 3명으로 의견이 갈렸다’는 추측이 빠르게 확산했다.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 파면을 결정하려면 재판관 8인 중 6명이 인용 의견을 내야 한다. 3명 이상이 기각이나 각하 의견이면 정족수 미달로 기각 결정이 내려진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이런 결과를 피하려 선고를 미루고 있다는 주장이 ‘5대 3 교착설’이다.

처음부터 근거 없는 소문에 불과했지만 지난달 24일 나온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의 탄핵심판 결정에서 재판관들의 의견이 네 갈래로 갈라졌던 점, 결정이 늦어진 배경 중 하나로 꼽혔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항소심 선고가 나온 지난달 26일 후에도 헌재가 아무런 설명이나 공지를 하지 않았던 점 등이 이런 추측에 힘을 실어줬다.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오전 11시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선고한다고 밝힌 1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성동훈 기자


법조계에서는 “헌재가 지난 1일 선고 기일을 공지한 건 적어도 ‘5대 3 상황은 아니다’라는 의미”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방승주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가 임명되지 않은 걸 헌재가 ‘위헌’으로 판단해놓고 5대 3으로 기각 결정을 하면 그 결정도 위헌 소지가 있어 정당성이 떨어진다”며 “그런 상황에선 선고 기일 자체를 잡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헌재에서는 재판관 공석으로 결론이 달라질 여지가 있다면 곧바로 결론을 내지 않고 ‘9인 체제’ 완성을 기다리는 게 관례였다고 한다. 이런 인식은 헌재의 최근 결정문에서도 드러난다. 헌재는 지난해 10월 6인 체제에서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 사건이 접수되자 ‘6명만으로도 심리를 가능하게 해달라’는 이 위원장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서 “재판관 6명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나머지 3명의 재판관의 의견에 따라 사건의 향배가 달라질 수 있다면 공석인 재판관이 임명되기를 기다리면 된다”고 했다.

‘8대0’·‘7대1’부터 ‘4대4’ 가능성…“인용 결정에 무게” 전망도

결국 현재 8인 체제에서 나올 수 있는 결정은 ‘8대0’·‘7대1’· ‘6대2’ 인용, ‘4대4’ 기각 등 4가지 정도로 추려진다. 최근 주요 사건에서 재판관 8명이 내린 결정의 내용이나 특성 등을 종합해보면 윤 대통령 사건에서 기각·각하 의견은 많아도 4명이라는 전망이 많다. 여권에서 꾸준히 ‘4대 4 기각설’을 내세우는 이유다.

다만 법조계에선 이전 사건들보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위헌성이 중대하고 명백해 기각· 각하 의견이 나오더라도 매우 소수일 거라는 의견이 많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윤 대통령 사건에서 기각·각하 주장을 쓰는 건 법리적으로 무리가 있기 때문에 그런 의견이 다수일 가능성은 아주 적다”면서도 “그동안 제기된 절차적 문제 등을 일부 받아주는 한 두 사람의 별개 의견이 나올 가능성은 아주 작지만 있다”고 했다.

“최우선 심리” 선언에도 평의 기간 38일 ‘역대 최장’ 왜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 선고를 한다고 공지함으로써 헌재에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지 111일 만에, 최종변론 후 38일 만에 윤 대통령 탄핵 여부가 판가름 나게 됐다. 헌재는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중 이번 사건을 가장 길게 심리했다. 탄핵안 접수를 기준으로 보면 노무현 전 대통령은 63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91일 걸렸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12103005

복귀 일주일째 마은혁 임명 미루는 한덕수, 헌재 ‘탄핵 기각’이 면죄부?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 선고가 기약 없이 미뤄지면서 ‘재판관 8인 체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부의 추측대로 재판관 8인의 의견이 ‘5대 3’으로 갈려 어떤 결정도 못 하는 상황이라면 ‘9번째 재판관’이 임명되어야 이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지난 24일 헌재의 ‘탄핵 기각’ 결정으로 직무...https://www.khan.co.kr/article/202503301657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16 한국에 상호관세 26%…트럼프, 무역질서를 파괴하다 랭크뉴스 2025.04.03
43415 오늘 밤 자정부터 '갑호비상'‥불법행위 '무관용 원칙' 엄단 랭크뉴스 2025.04.03
43414 "피청구인 윤석열을‥" 직접 보려 9만여 명 몰려 랭크뉴스 2025.04.03
43413 미리 보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주문은 마지막에? 랭크뉴스 2025.04.03
43412 미얀마 지진 사망 2719명으로…군부 ‘차별적 피해복구’ 비판도 랭크뉴스 2025.04.03
43411 직전까지 결정문 점검… 무게감 반영, 주문 마지막 읽을 듯 랭크뉴스 2025.04.03
43410 탄핵선고 D-1 '폭풍전야' 막판 세 대결…찬반진영 철야집회(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3409 “계엄 당시 1만 국민 학살계획” 이재명 주장에… 與 “허위 발언 법적 조치” 랭크뉴스 2025.04.03
43408 “펭귄섬에도 10%” 황당한 관세 계산법 [박대기의 핫클립] 랭크뉴스 2025.04.03
43407 화장터 꽉 차고 붕괴 건물에선 시신 냄새…미얀마인들은 애써 외면할 뿐 랭크뉴스 2025.04.03
43406 검찰, '깐부 할아버지' 오영수 강제추행 항소심도 징역형 구형 랭크뉴스 2025.04.03
43405 이재명 “계엄 때 5천~1만 명 학살 계획”…탄핵 선고 앞두고 논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3404 “순간 화 못 이겨” 교사에 똥기저귀 던진 엄마 선처 호소 랭크뉴스 2025.04.03
43403 "딸 같아서 그랬다" 강제추행 혐의 '오겜 깐부' 오영수, 항소심서도 실형 구형 랭크뉴스 2025.04.03
43402 '尹 선고 D-1' 헌재 앞 폭풍전야… 텅 빈 정문 앞, 문 닫는 상점들 랭크뉴스 2025.04.03
43401 맞붙은 장동혁 의원-오동운 공수처장 3분 설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3400 15시간 앞둔 尹 탄핵심판 선고‥이 시각 헌법재판소 랭크뉴스 2025.04.03
43399 위헌·위법의 ‘중대성’이 파면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03
43398 이재명 “계엄 때 1만명 학살 계획’…與 “가짜뉴스 법적 조치” 랭크뉴스 2025.04.03
43397 탄핵 선고 D-1···길 위에선 시민들, “윤석열 파면하라”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