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튜버 명예훼손 사건' 맡아 온 이돈호 변호사
"구체성 부족... '본인 피해만 언급' 논점 흐리기'"
"알맹이 없는 회견, 안 하느니만 못했다" 혹평
이돈호 변호사가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에서 배우 김수현의 전날 기자회견 내용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 유튜브 '이돈호 변호사' 채널 캡처


배우 김수현이 '고(故) 김새론 관련 의혹' 해명을 위해 '눈물의 기자회견'을 한 데 대해 "안 하느니만 못했다. 알맹이가 없었다"는 현직 변호사의 냉정한 평가가 나왔다. 오히려 스스로에게 독이 되는 악수(惡手)를 뒀다는 뜻이다.

"사진 조작? 두루뭉술 얘기해선 안 돼"



다수 유튜버의 법률 자문을 맡으며 명예훼손 사건 등을 담당해 온 이돈호 노바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는 이날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저라면 이렇게 안 했습니다. 현직 변호사의 김수현 기자회견 찐 반응'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다. 지난달 31일 김수현의 기자회견 장면을 지켜보며 느낀 점들을 조목조목 밝힌 것이다. 이 변호사는 먼저 김수현이 자신과 고인 간의 사생활 폭로를 거론하며 오열한 것과 관련, "억울했다면 미리 내려놓고 반성했어야 한다. (하지만)
본인 피해 위주로만 얘기했다. 이건 논점 흐리기
"라고 지적했다.

'가로세로연구소가 공개한 김수현·김새론의 사진은 조작됐다'는 김수현의 주장에 대해선 "구체성이 부족했다"고 혹평했다. 이 변호사는 "(해명을 위해선)
어떤 것이 어떻게 조작됐는지 말해야 한다. 그렇게 두루뭉술하게 얘기하면 안 된다.
(김새론의) 유족이 공개한 카톡과 (김수현이 가진) 원본 사진을 (함께 제시하고) 대조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일련의 증거라고 주장된 것들이 어떻게 조작됐는지 비교해 설명하고, 기자들 질문을 받으면서 (추가로)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우 김수현이 지난달 31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미성년자 시절의 김새론과 교제했다는 의혹을 해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중이 김수현에게 원한 건 이게 아니다"



이 변호사는 또 "대중이 원하는 건 이게 아니다. 저처럼 김수현한테 관심 없는 사람이 많다"고 꼬집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계속 우니까 발음도 망가지고 핵심에 대한 전달이 안 됐다.
자기 심경을 발표하고 질질 끌다가 증거를 제시할 만한 부분에선 금방 끝났다
"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수현이) 믿어 달라고 해도 (대중은) 안 믿는다. 요약하자면 '스타 김수현이 너무 힘들었다'는 것 아니냐. 이게 해명이 될까. 질문도 안 받고 고소·고발해서 진실을 밝히겠다고?"라고 반문했다.

결국 "안 하느니만 못한 기자회견이 아니었나 싶다.
이렇게 해선 재기가 불가능할 것 같다
"는 게 이 변호사 결론이다. 그는 "제 생각에 (이번 기자회견은) 알맹이가 없다. 시간을 좀 끈 뒤 대중의 관심이 떨어지면 일부 이길 수 있는 부분을 찾아가려는 것 같다. 만약 (김수현이) 제 의뢰인이었다면 저렇게는 안 했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배우 김수현(단상 왼쪽)이 지난달 31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성년자 시절의 김새론과 교제했다는 의혹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스1


앞서 김수현은 지난달 31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성년자 시절의 김새론과 교제했다는 의혹 등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성인이 된 김새론과 약 1년간 교제했다"는 게 김수현 입장이다. 회견장에 배석한 김수현의 법률대리인 김종복 법무법인 엘케이비앤파트너스 변호사는 "오늘(3월 31일) 서울중앙지법에 (김새론의) 유족 등과 가로세로연구소 운영자를 상대로 합계 120억 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연관기사
• '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미성년 의제강간, 만 19세로 상향을"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0117060000391)• 40분 울먹인 김수현 "김새론과 1년 교제... 유족 측에 120억 손배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3117330000917)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127 “한국, 트럼프와 통화라도 했어야”... 미국 ‘틀린’ 인식 결국 못바꿨다 랭크뉴스 2025.04.03
43126 '탄핵선고 D-1' 찬반집회 총력전…경찰, 을호비상 발령(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3125 朴 탄핵 주심까지 등판했다…尹선고 변수는 '적법 절차'? 랭크뉴스 2025.04.03
43124 트럼프, 韓·日 자동차 콕 집어 "우리 산업 황폐화시켰다" 랭크뉴스 2025.04.03
43123 [속보] 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경찰력 50% 동원 랭크뉴스 2025.04.03
43122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지시 랭크뉴스 2025.04.03
43121 4·2 재보선 민주당 거제·구로·아산서 승리…부산 진보교육감 당선 랭크뉴스 2025.04.03
43120 '트럼프 관세차트'에 한국 7번째…한국 차례 오자 설명 건너뛰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3119 美재무 "상호관세 순순히 받아들여라" 보복 악순환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3118 NH투자증권, 홈플러스 논란 ‘불똥’…“자본시장 이해 없는 비판” 랭크뉴스 2025.04.03
43117 美 해고 공무원 "출입구에 빨간불 떠…'오징어게임' 같았다" 랭크뉴스 2025.04.03
43116 [제주항공 참사 100일] ① 고통의 연속…무너진 유가족 일상 랭크뉴스 2025.04.03
43115 '파산'에서 '혁신기업'으로 …카탈로그는 어떻게 제이크루를 살렸나[케이스스터디] 랭크뉴스 2025.04.03
43114 한국서 행패부린 '외국인 유튜버' 논란…서경덕 "강제 추방해야" 랭크뉴스 2025.04.03
43113 [美관세폭풍] 美 FTA 체결국 중 韓 상호관세율 가장 높아…수출경쟁력 비상 랭크뉴스 2025.04.03
43112 [美관세폭풍] "가장 큰 피해자는 美 소비자"…미국 내에서도 '우려' 랭크뉴스 2025.04.03
43111 동물 학대 전력자도 5년 후면 재영업 가능···동물영업 허가갱신제 허점 랭크뉴스 2025.04.03
43110 iM證 “트럼프 상호관세, 최악의 시나리오로 현실화… 개별 협상이 관건” 랭크뉴스 2025.04.03
43109 [속보]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지시 랭크뉴스 2025.04.03
43108 한덕수 "자동차 등 美 관세 영향 업종 긴급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