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출시 2년 4개월 만 달성
연말까지 10억명 돌파 목표
이미지 생성, AI 에이전트 등
신기능 출시로 이용자 확보
올트먼 "한시간에 100만명 늘어"
서버 과부하로 새 모델 출시 지연도
챗GTP를 이용해 지브리 화풍으로 생성한 이미지.

[서울경제]

미국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가 이미지 생성 등 새롭게 선보인 기능의 인기 속에 가입자 5억 명을 넘어섰다. 오픈AI는 이 같은 기세를 몰아 올 연말까지 10억 명의 이용자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오픈AI는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 명을 돌파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2022년 11월 챗GPT가 출시된 후 2년 4개월 만이다. 지난해 말 3억 5000만 명이었던 이용자 수는 3개월 만에 30% 이상 크게 늘었다. 오픈AI는 연말까지 10억 명의 이용자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오픈AI가 올해 선보인 새로운 AI 모델·기능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이용자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한다.

오픈AI는 1월 고급 추론(reasoning)이 가능한 AI 소형 모델인 ‘오3(o3) 미니’를 출시했다. 같은 달 인터넷을 탐색해 식료품을 구매하거나 비용 보고서를 작성하는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를 공개했다.

2월에는 최신 AI 모델인 GPT-4.5를 리서치용 미리보기 방식으로 선보였다. 또 인터넷에서 복잡한 연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딥리서치’를 공개했다.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 또한 전 세계적으로 유행을 일으키며 이용자 증가에 한 몫을 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지브리 스튜디오를 비롯해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인지도 높은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생성하는 ‘놀이’가 크게 유행하면서 지난달 27일 일일 사용자 수(DAU) 역대 최다인 125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엑스(X) 계정 캡처.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이미지 생성 급증에 지난달 27일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이용 자제를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인기에 이용자 수는 더욱 늘었다. 올트먼 CEO는 같은 달 31일 “한 시간 동안 100만 명의 이용자가 추가됐다”며 “챗GPT 출시 초기 100만 명 달성에 5일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속도”라고 했다.

이용자 수 증가로 인한 부작용도 나타나는 모습이다. 이용자 급증으로 서버 과부하가 걸리면서 새 AI 모델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올트먼 CEO는 이날 엑스에 “상황을 통제하고 있지만 (데이터) 용량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 새로운 모델 출시가 지연되고 있다”고 전했다. 챗GPT의 일부 기능이 중단되거나 서비스가 종종 느려지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오픈AI는 최근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 주도로 400억 달러(약 59조 원)의 투자 유치를 마쳤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기업 가치는 지난해 10월의 1570억 달러의 두 배에 달하는 3000억 달러(약 442조 원)로 평가됐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62 미국 "관세에 보복 말고 순순히 받아들여라 " 으름장 랭크뉴스 2025.04.03
48061 [美관세폭풍] 비상 걸린 한국 수출…대미 후속협상에 명운 달렸다 랭크뉴스 2025.04.03
48060 공수처, 심우정 딸 특혜 채용 의혹 수사 착수···‘윤석열 석방 지휘’ 수사부에 배당 랭크뉴스 2025.04.03
48059 출입증에 뜬 빨간불… 트럼프發 해고, 현실판 ‘오징어 게임’ 랭크뉴스 2025.04.03
48058 “한국, 트럼프와 통화라도 했더라면”... 미국 ‘틀린’ 인식 결국 못바꿨다 랭크뉴스 2025.04.03
48057 미국 재무부 "관세 보복은 갈등만 확대…순순히 받아들여라"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8056 탄핵 선고 D-1…경찰, 헌재 인근 점검·을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3
48055 美 상호관세, 아시아에 직격탄… “캐·멕 다음으로 피해 커” 랭크뉴스 2025.04.03
48054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 관세 ‘폭탄’…“철강·자동차·반도체는 적용 안돼” 랭크뉴스 2025.04.03
48053 尹 탄핵심판 D-1… 與 “대통령 직무 복귀 결정되면 서둘러 ‘개헌’ 추진” 랭크뉴스 2025.04.03
48052 트럼프, 한국 자동차 등 콕 찍어 "최악 무역장벽" 랭크뉴스 2025.04.03
48051 트럼프, 상호관세로 글로벌통상전쟁 전면전…25% 폭탄에 韓 비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3
48050 권영세 "대통령 직무복귀 결정된다면 서둘러 개헌 추진할 것" 랭크뉴스 2025.04.03
48049 국민연금 매달 500만원 넘게 받는 '부부 수급자' 처음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03
48048 윤석열 선고 전 야권에 기운 민심 확인···4·2 재보선 압승으로 나타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8047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日 24%, 中 34%, EU 20% 랭크뉴스 2025.04.03
48046 ‘美관세 충격’에 코스피 2.7% 급락 출발…2460선 등락 랭크뉴스 2025.04.03
48045 박범계 "헌재, '파면 방침 정했다'고 판단"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3
48044 DOGE까지 문 닫나…미 매체 “머스크, 곧 그만둘 것” 테슬라 복귀 시사 랭크뉴스 2025.04.03
48043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누락…80대 입소자는 석 달 만에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