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각 지자체, 현금 지급하며 반납 유도하나
반납률 2%대 저조... "생업 지장·불편"
"대중교통 열악 농촌, 수요응답형 지원을"
지난해 7월 14명의 사상자를 발생한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 교통사고 현장에 차량용 방호울타리가 설치돼 있다. 뉴스1


"차 없으면 당장 장보러 가기도 어려운데 상품권 받자고 운전면허증을 반납하겠나요.”


고령 운전자가 운전면허를 반납하면 혜택(인센티브)을 제공하는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를 시행하는 경북의 한 지방자치단체 관계자가 한숨을 쉬며 한 말이다. 젊었을 때보다 상황 판단력이나 인지능력, 운동신경 등이 전반적으로 감퇴하는 고령 운전자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 각 지자체가 앞다퉈 현금성 지원을 약속하고 있지만 생업과 이동 제한에 따른 불편함 등의 이유로 반납률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운전면허 자진반납제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충분한 보상과 지역 특성에 맞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1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고령자 대상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는 2018년 부산시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확대·시행 중이다. 지난해 '시청역 참사'와 치매 진단을 받은 70대 운전자가 13명의 사상자를 낸 '양천 깨비시장 사고' 등을 계기로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 요구가 커져 혜택을 확대하며 반납을 독려하고 있다.

서울시는 만 70세 이상인 면허 소지자가 면허를 자진 반납 시 교통비 지급액(기존 10만 원)을 올해부터 20만 원으로 올렸다. 치매 진단을 받은 고령 운전자의 면허 반납을 촉진하는 내용의 관련 조례도 시의회를 통과했다. 상대적으로 사고 위험이 높은 고령 운전자 수가 늘자, 선제 대응하려는 취지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은 65세 미만보다 13% 높다는 보험개발원의 분석도 있다.

고령 인구가 많은 지방은 더욱 적극적으로 면허 반납을 유도한다. 울산 울주군은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운전면허를 반납하면 40만 원 온누리상품권에 더해 10만 원 교통카드까지 50만 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한다. 전남 순천시(만 70세)와 경북 안동시(만 65세 이상)는 30만 원 상당의 교통카드나 지역상품권을 지원한다. 이 밖에 각 지자체별로 시내버스 무료이용, 병원·건강검진비 지원, 식당·목욕탕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국의 고령 운전자 면허 반납률은 2%대를 맴돌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고령 운전자 면허 반납 건수는 2020년 2.1%, 2021년 2.1%, 2022년 2.6%, 2023년 2.4%, 2024년 2.2% 등 매우 낮은 수준이다. 농·어촌 지역 반납률은 더 저조하다. 울산 울주군의 경우 반납률은 1.49%에 불과해 지난해 울산시 전체 구·군 평균 반납률(2.16%)보다 낮았다. 생활편의시설이 주거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데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게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단순한 현금성 지원만으로는 면허 반납을 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 특성에 알맞게 다각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다른 지역에 비해 대중교통 체계가 잘 정비된 서울은 정부와 '조건부 운전면허제' 도입 등 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교통 적자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중교통 '무임승차' 혜택 등 현금성 지원을 무한정 늘리기는 힘들다"며 "실제 운전능력에 따른 운전 범위 제한과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도입 등을 관계기관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반면, 농·어촌 지역에서는 고령자 생업과 이동권을 고려한 교통체계 확충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윤호 안전생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수도권에 비해 대중교통 노선이 적은 농·어촌의 경우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를 강화해 생활 편의를 높이고 위험요인이 높은 고령 운전자를 면밀하게 선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799 "직관 못 가겠어요"…사망사고에 야구팬, 불안 호소·트럭 시위(종합) 랭크뉴스 2025.04.02
42798 스포츠마사지 받던 40대男 사망…"지병 없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2
42797 유튜브 정치뉴스 보던 할아버지, 이러다 쇼핑왕 되겠네 랭크뉴스 2025.04.02
42796 "尹선고날 '뚱뚱한 패딩' 보이면 무조건 피하라"…경찰의 당부, 왜? 랭크뉴스 2025.04.02
42795 경북 산불 사망자 27명으로 늘어... 중상자 3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02
42794 47억 아파트 30대 어떻게 샀나 했더니…"부친에 30억 빌렸어요" 랭크뉴스 2025.04.02
42793 권성동 "이복현, 짐 싸서 떠나야‥대통령 거론 오만한 태도" 랭크뉴스 2025.04.02
42792 장제원 전 의원 빈소 조문행렬…정진석 "대통령 '가슴아프다' 말해" 랭크뉴스 2025.04.02
42791 격변기 맞은 산업계, 전방위 구조조정…한계기업 '퇴출 도미노' 랭크뉴스 2025.04.02
42790 “아빠 찬스로 47억원 아파트 샀나” 국토부, 서울 지역 이상거래 집중 점검 랭크뉴스 2025.04.02
42789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2788 "안국역 전쟁통인데" "출근할 수 있을까" 종로 직장인들 '尹 선고' 발동동 랭크뉴스 2025.04.02
42787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2786 ‘귀한 몸’ 토허제 경매 아파트…‘아리팍‧방배그랑자이’ 감정가보다 웃돈 매각 랭크뉴스 2025.04.02
42785 “왜 출근했어요? 잘렸는데” 美 보건·복지 인력 1만명 해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2784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16개 학교 휴업... 경복궁역 인근까지 확대 랭크뉴스 2025.04.02
42783 ‘사과 대란’ 다시 오나…‘주산지’ 경북 산불에 국내 재배면적 10% 피해 랭크뉴스 2025.04.02
42782 버스·지하철·자전거·쓰레기통까지 싹 다 치운다…4일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랭크뉴스 2025.04.02
42781 헌재 오전 10시 선고가 관례인데…尹 선고는 오전 11시 왜 랭크뉴스 2025.04.02
42780 "헌재에 승복해야" 지적에‥이재명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