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현지 2일 오후 4시 백악관 행사서 발표
단일세율 검토설에 “24시간내 알게 돼”
“역사적 조치… 갈취당하기, 내일로 끝”
캐럴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1일 워싱턴 백악관 제임스 브래디 언론 브리핑룸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이 새로 도입하는 상호관세가 2일 오후(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즉시 발효된다고 백악관이 1일 밝혔다. 줄곧 거론된 국가별 차등 세율 적용 방식 대신 무차별 20% 보편관세 부과 방안이 채택될지 모른다는 막판 반전 시나리오가 급부상하고 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가 이번 주 바로 시행되느냐’는 질문에 “내일 관세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즉각 발효될 것”이라고 대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을 ‘미국 해방의 날’로 많이 언급했다”며 “만우절(4월 1일)이 아니라면 오늘이었을 테지만 내일이 그날”이라고 부연했다.

유력한 발표 시점은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3일 오전 5시)다. 백악관은 이날 앞서 해당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더 부유하게’를 주제로 열리는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연설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신규 관세가 어떤 형태일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레빗 대변인은 20%의 단일 세율안이 상호관세 관련 옵션으로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 결정을 했다고 말했지만 나는 그에 앞서서 말하고 싶지 않다. 여러분은 약 24시간 이내에 알게 될 것”이라며 사실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이날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은 백악관이 거의 모든 수입품에 20% 단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국가별로 다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과 함께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사전 협상을 시도한 국가는 제법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얼마나 많은 나라가 관세를 낮추려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숫자는 모르겠지만 관세에 대해 논의하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에 전화한 국가가 꽤 많다. 그래도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신경 쓰는 국가는 미국”이라고 답했다.

2일 발표 뒤 상호관세의 변화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최종 변화는 기업들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로 결정할 때 생길 것이다. 그 경우 관세가 전혀 없기 때문”이라면서도 교역 상대국들이 협상을 시도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늘 열려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하며 은퇴자들의 노후 자금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는 “합당한 우려”라며 “대통령은 매일 그 우려에 대처하려 하고 있다”고 말한 뒤 향후 추가 감세 조치 추진 방침을 같이 거론했다.

레빗 대변인은 문답 전 모두발언에서 “내일(2일) 진행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인 조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개선하고 대규모 무역 적자를 줄이면서 궁극적으로 미국의 경제 및 국가 안보를 보호할 것”이라며 “내일을 시작으로 (미국이) 갈취당하는 것은 끝난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외국산 자동차 대상 25% 관세가 3일부터 시행된다고 재확인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3 '청와대 습격' 北무장공비 출신 김신조 목사 83세로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062 ‘트럼프 관세’ 부담 지는 美 빅테크·유통업체…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가격 정책 변동 없어 랭크뉴스 2025.04.09
46061 마트서 '무시당했다' 오해…복수심에 계산원 살해 시도한 20대 랭크뉴스 2025.04.09
46060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조용히 웃는다… 주목받는 '뜻밖의 승자들' 랭크뉴스 2025.04.09
46059 SK, SK실트론 매각 추진…최태원 지분은 제외 랭크뉴스 2025.04.09
46058 국힘 대선 후보군 벌써 15명…'절대 강자' 없자 너도나도 "출마" 랭크뉴스 2025.04.09
46057 3D 프린터로 인공뼈도 뽑아낸다··· 안와 골절 복원에 효과적 랭크뉴스 2025.04.09
46056 여성단체, 장제원 수사 결과 발표 촉구… 고소인 "이대로 종결 원치 않아" 랭크뉴스 2025.04.09
46055 美, 중국·홍콩발 소액소포 관세 90%로 인상…테무 등 직격탄 랭크뉴스 2025.04.09
46054 감사원 "대통령 관저 이전 문제점 포착‥곧 실지 감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09
46053 '정치자금법 위반'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방어권 보장"(종합) 랭크뉴스 2025.04.09
46052 [단독] '尹 창설' 드론작전사령관도 이재명 캠프로... 예비역 장성 50명 지지 선언도 랭크뉴스 2025.04.09
46051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로? ‘살인 예측’ 프로그램 개발 중인 영국 랭크뉴스 2025.04.09
46050 [속보] 창원지법,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 랭크뉴스 2025.04.09
46049 ‘청와대 습격사건’ 北 무장공비 출신 김신조씨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048 [속보] 창원지법, 명태균·김영선 전 의원 보석 결정 랭크뉴스 2025.04.09
46047 'HBM 점유율 70%'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 차지 랭크뉴스 2025.04.09
46046 [속보] 법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명태균·김영선 전 의원 보석 허가 랭크뉴스 2025.04.09
46045 [2보] '억대 금품수수 혐의' 전준경 전 민주연 부원장 1심 징역 2년6개월 랭크뉴스 2025.04.09
46044 “인천시장직 4년” 말 바꾼 유정복, 맥아더 장군 앞서 대선 출마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