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문가들 "선고 후 폭력사태 우려…정치권, 지지층 선동 말아야"


탄핵 찬반 진영 사이 경찰 차벽 세워진 광화문광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오는 4일로 정해지면서 찬반 진영의 갈등도 정점을 향해 나아가는 양상이다.

온라인 공간에선 상대편을 향한 원색적인 욕설이 난무하고, 거리에선 몸싸움 등 물리적 충돌도 공공연히 빚어지고 있다. 어느 쪽이든 헌재 선고 결과에 불복할 경우 '내전'에 가까운 충돌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온다.

헌법재판관이나 특정 정치인을 겨냥한 온라인 공간의 폭력적인 언어들로 끓어오른 적개심이 선고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제2의 서부지법 난동 사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가 수많은 희생으로 구축한 민주주의 제도가 무너질 수도 있다며 헌재의 결정에 승복하고 통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상일 시사평론가는 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권력과 금전적 이득을 보려는 일부 세력이 시민들을 자극하고 선동하면서 아스팔트 온도를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가 게임에서 졌다고 결과를 의심하고 룰을 다 바꾸면 어느 누가 다음 게임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며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 상태가 고착하면 적대심과 악마화만 남아 국가 전체가 공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정치 양극화가 진영 대결로 표출되고 거리로 확산하며 준내전 상황을 만들어내고 있다"며 "윤 대통령 본인과 양당 지도자들이 먼저 헌재 판결에 승복한다는 메시지를 내고 사회통합에 나서는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일 선고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이 4일로 발표된 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 앞에 대통령 탄핵 사건 관련 안내문이 놓여있다. 2025.4.1 [email protected]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로서 가장 큰 위험은 우리가 합의한 민주주의 제도가 다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라며 "삼권분립과 헌정질서가 모두 흔들리고, 포퓰리즘 정치를 넘어 전체주의 정치가 등장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 교수는 "말로는 헌재 결과에 승복하자고 하면서 승복하지 않도록 지지자들을 부추기는 정치권의 행태는 자제돼야 한다"며 "정치권이 먼저 제도 안에서 결정된 것에 승복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극심한 대립으로 갈라진 한국 사회를 봉합하기 위해선 지지자들을 넘어 국민 전체를 위한 정치를 하겠다는 진정성 있는 약속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의영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야 모두 헌재 결정이 무엇이든 앞장서 받아들이고 협치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정치권이 진영 논리를 떠나 국민을 위한 타협의 성과물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 교수는 "자기 권력을 추구하기 위해 극단의 지지자들을 자극하고 선동하지 않는 자세가 이 시점 지도자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61 상호관세로 한·미FTA 무력화…쌀·소고기 줄줄이 공격 예고 랭크뉴스 2025.04.03
48360 "내일이면 헌재 선고"…도심 곳곳 탄핵찬반 밤샘집회 랭크뉴스 2025.04.03
48359 교육청이 지적한 한민고 비리 백태‥학교 차량 사적 사용에 횡령까지 랭크뉴스 2025.04.03
48358 '오겜' 오영수, 2심서도 실형 구형…"80년 지킨 인생 무너졌다" 랭크뉴스 2025.04.03
48357 D-1 야권 '탄핵 촉구' 총력전‥이재명 "제주 4.3 단죄 못해 윤석열 계엄" 랭크뉴스 2025.04.03
48356 기업 대출 받아 ‘땅 장사’만 열심…이러니 혁신 실종 랭크뉴스 2025.04.03
48355 국민의힘, 탄핵심판 전날까지 계엄 옹호‥"계엄으로 '제왕적 의회' 드러나" 랭크뉴스 2025.04.03
48354 안동 하회마을서 불, 초가 2채 불타···70대 주민 부상 랭크뉴스 2025.04.03
48353 불닭볶음면도 '매운 관세'에 운다…이 와중에 웃는 업체, 어디 랭크뉴스 2025.04.03
48352 계엄 사과·반성 안 한 윤석열…끝까지 ‘승복’ 메시지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8351 안창호 인권위원장 ‘4·3 추념식’ 불참…“부적절” 지적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03
48350 "800만원을 가장 멍청하게 쓰는 방법"…발렌시아가가 내놓은 명품백 어떻길래 랭크뉴스 2025.04.03
48349 [다시헌법⑪] "헌법 준수" 선서해 놓고‥'헌법 파괴' 심판대에 랭크뉴스 2025.04.03
48348 대법,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김건희 재수사로 이어질까 랭크뉴스 2025.04.03
48347 지드래곤, 데뷔 이후 첫 악플러 고소… “강력 대응” 랭크뉴스 2025.04.03
48346 안동 하회마을 초가지붕에서 불…“인명피해는 없어” 랭크뉴스 2025.04.03
48345 “FTA 무력화?·국제 통상질서 급변”…최선의 협상 전략은? 랭크뉴스 2025.04.03
48344 ‘한국은 50% 관세’ 산정근거 말 되나 따져봤더니… 랭크뉴스 2025.04.03
48343 “관세 폭탄에 美 게이머들 지갑 터진다”… 8년 만에 돌아온 닌텐도 스위치2의 앞날은 랭크뉴스 2025.04.03
48342 "사랑해" 그 말을 진짜 들었다…임종 직전 차오른 남편 눈물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