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K그룹, 아마존과 울산에 AIDC 설립 추진중
울산 남구 SK에너지 부지 인근으로 검토
아마존 측, 5년 동안 수천 억원 이상 보장 요구
지역에 IDC 만드는 만큼 매출 보장하란 것
SK는 협상 중...10년 수천 억원 보장 역제안도
아마존웹서비스(AWS)가 미국 버지니아주 애시번에 운용 중인 세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전경. 연합뉴스


SK그룹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미국의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광역시에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센터(AIDC) 설립을 추진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AWS가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면서 SK측이 고민에 빠졌고 자칫 잘못하면 AWS와 제휴가 물 건너갈 위기에
놓였다.

1일 울산시와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SK텔레콤을 중심으로 AWS와 손잡고 100메가와트(㎿)급 AIDC 건설을 협의 중이다. 위치는 울산 남구 SK에너지 부지 인근이다. 투자 규모는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와 관련해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은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에서 기자들을 만나 "
해외 대형 정보기술(IT) 업체와 지방에 AIDC 설치를 준비 중
"이라며 "
1기가와트(GW)급으로 확대해 아시아의 AI 허브로 키울 생각"
이라고 말했다. 당시
공개하지 않았던 파트너 회사와 지역이 아마존과 울산
이다.

SK그룹은 SK가스의 냉열 활용 등 그룹 차원에서 울산 AIDC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상당히 공을 들이고
있다. 섭씨 영하 162도 액체 상태인 액화천연가스(LNG)를 도시가스로 사용하려면 기체로 바꿔야(기화) 하는데 이때 나오는 냉열 에너지를 AIDC에서 냉각제로 활용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수 천 억 매출 보장 요구한 아마존...사업 진척 난항

아마존웹서비스 제공


그런데 이 과정에서 AWS가 내건 조건 때문에 SK 측이 깊은 고민에 빠졌고 사업 진행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AWS 측은 AIDC가 완공되면 SK가 5년 동안 수천 억 원 이상의 매출을 보장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AWS는 기업이 몰려 있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 데이터센터(IDC)를 만드는 만큼 일정한 매출 보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부산 김해 지역에 IDC를 마련하긴 했지만 여전히 빅테크가 수도권 바깥에 IDC를 두는 건 흔치 않다"며 "AWS는 SK그룹이 기존에 갖고 있는 일부 IDC를 울산으로 옮겨서라도 매출을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리전'이라 부르는 AWS의 IDC
2개 이상의 가용 영역(AZ)으로 구성되는데
AZ는 각각의 독립된 건물이며 데이터 백업과 복원을 위해 수 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다. 즉 AWS의 IDC를 유치하려면 수 Km 이상 떨어진 2개 이상의 건물과 방대한 부대 시설이 필요하다.

하지만 SK그룹도 AWS의 요구 조건을 선뜻 들어주기 어렵다. AWS의 요구대로 그룹 계열사들의 데이터를 옮기면 SK C&C의 경기 성남시 판교 IDC, SK브로드밴드의 서울 서초동, 대방동, 경기 고양시 일산 IDC 등 계열사 사업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매출 보장에 필요한 비용 마련도 문제다. 또 다른 관계자는 "
SK그룹은 AWS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보고 다른 대안을 제시해 협상 중
"이라고 전했다.
SK 측은 기간을 늘려 10년 동안 수천 억 원 이상의 매출을 제공하겠다고 역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 그러나 AWS는 아직까지 이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어 최악의 경우 울산 AIDC 추진이 무산될 수도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3월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5에서 글로벌 텔코 AI 라운드테이블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AWS는 2016년 서울에 리전을 만들었고 2024년 말부터 인천 서구에 8조 원을 들여 연 면적 4만4,812㎡ 규모의 또 다른 IDC를 짓고
있다. 그만큼 AWS는 급할 게 없다. 업계 관계자는 "
AWS는 요즘 물량 확대보다 비용 절감을 중시해 중소업체들이 운영하는 IDC와도 계약을 한다
"며 "
AWS는 매출과 수익 보장 등 채산성을 중요하게 따진다
"고 설명했다.

반면 SK그룹은 갈 길이 바쁘다.
경쟁사인 KT는 MS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IDC와 AI 개발 등 다양한 AI전환(AX) 사업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런 상황을 감안해 SK텔레콤이 울산 AIDC를 계기로 AWS와 제휴 범위를 넓힐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SK와 AWS의 조건을 놓고 입장 차이를 좁히는 것이 울산 AIDC 유치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47 파면이냐 복귀냐…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46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에 '패닉'…5년만에 최악의 날(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45 [속보]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관세 곧 시작…주식 하락 예상했다" 랭크뉴스 2025.04.04
48444 美, 수입차에 25% 관세… 車업계 “개소세 감면 연장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8443 나경원 "4대4 기각, 野 의회독재 보면 尹파면할 정도 아니다" [스팟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
48442 [속보]탄핵찬반집회…3호선 안국역 폐쇄,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
48441 국민들의 목 타는 부름‥헌법재판소의 응답은 랭크뉴스 2025.04.04
48440 尹 운명의 날 밝았다… 남은 건 통합과 치유 랭크뉴스 2025.04.04
48439 [속보] 뉴욕증시, 하루만에 시총 3.1조달러 증발…팬데믹 이후 최대 랭크뉴스 2025.04.04
48438 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랭크뉴스 2025.04.04
48437 ‘무노동 무임금’ 비웃는 기업은행·신보·캠코… ‘정직’ 직원에 여전히 보수 지급 랭크뉴스 2025.04.04
48436 주먹구구식 관세…美, 韓 상호관세율 결국 26%→25% 재조정 랭크뉴스 2025.04.04
48435 [속보] 트럼프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될 것" 랭크뉴스 2025.04.04
48434 헌재의 주사위 던져졌다…尹, 복귀냐 파면이냐 랭크뉴스 2025.04.04
48433 주왕산 덮친 불길 막아 세웠다…'최후 방어선' 뒤엔 이 나무 랭크뉴스 2025.04.04
48432 美서 애플 아이폰 333만원?…"트럼프 관세 시행되면 현실될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8431 "쌤, 대통령이 잘려요?" 학교서 탄핵심판 생중계··· 교사들 "필요하지만 고민 많아" 랭크뉴스 2025.04.04
48430 관저서 '운명의 날' 맞은 尹…긴장감 감도는 용산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4.04
48429 111일 간의 장고…헌재 尹 탄핵 오늘 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8428 [단독]"열사? 투사? 폭력 절대 안돼" 朴파면날 숨진 시위자 유족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