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23조 '결속기금' 재편성 제안…회원국 원하면 국방부문 투자 가능


결속정책 예산 관련 기자회견하는 EU 집행위원
(스트라스부르 EPA=연합뉴스) 라파엘레 피토 EU 결속·개혁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이 1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결속 정책' 예산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4.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1일(현지시간) '재무장'에 속도를 내고자 추가 자금동원 계획을 내놨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이날 이른바 '결속 정책'(Cohesion Policy) 예산 활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결속 정책 예산은 7년 단위로 편성되는 EU 공동예산 가운데 경제·사회·지역 격차 해소 목적으로 각 회원국에 할당·지원되는 돈이다. 결속 기금으로 통칭한다.

2021∼2027년 예산안의 3분의 1가량인 3천920억 유로(약 623조원)가 결속 기금으로 책정돼 있으며 EU 예산 중 비중이 가장 크다.

개정안에 따르면 회원국들은 방위·에너지 전환·주거난·탈탄소화 등 '전략적 우선순위'로 분류된 부문 투자 시에도 결속 기금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가운데 방위 부문 관련, 기존 규정과 달리 대기업을 포함한 방위산업 생산 역량 강화에도 기금을 쓸 수 있다는 내용이 개정안에 포함됐다.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EU 동부 국경 회원국들이 각자 할당받은 결속 기금의 15% 이상을 기존 계획에서 방위 부문 신규 사업에 재배치하면 기금 선지급 혜택도 제공된다.

EU 조약에 따라 공동예산을 무기 구매에 직접 활용하는 것은 금지된 탓에 방산 시설 확충, 군 기동성 향상을 위한 도로 개발, 핵심 기반 시설 보호 등의 사업이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구체적 사용 계획은 각국이 정하며 일부 회원국은 방위보다는 에너지 부문, 주거난 해소 등을 우선순위로 고려할 수 있어 실제 얼마만큼의 국방자금 조달 효과를 낼지는 추정하기 어렵다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이날 계획은 지난달 집행위가 발표한 '유럽 재무장 계획'(REARM Europe Plan)에 포함된 조치이기도 하다.

계획에는 EU 예산을 담보로 총 1천500억 유로(약 238조원)의 무기 공동구매 대출금을 지원하고, 모든 회원국이 합쳐 4년간 총 6천500억 유로(약 1천33조원)의 국방비를 증액할 수 있도록 부채 한도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 재정준칙 예외조항을 발동하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미국 안보우산 약화에 대비해 '안보 독립'이 시급하다고 보면서도 신규 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현실적 제약에 대출금, 부채 규정 완화, 기존 예산 재편성에 이르기까지 EU 차원에서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을 다 내놓은 셈이다.

개정안이 시행되려면 EU 27개국을 대표하는 이사회와 유럽의회의 협의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편 집행위는 이날 역내 테러, 사이버 범죄, 조직적 범죄 단속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로드맵도 발표했다.

'프로텍트 EU'(ProtectEU)로 명명된 로드맵에 따르면 EU 경찰 조직인 '유로폴'의 권한 확대가 예고됐다.

현재는 유로폴의 권한이 제한적이어서 하이브리드전이나 정보 조작 등 내부 안보 위협이나 국경 간 범죄에 대한 강력한 수사 집행이 어렵다고 집행위는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11 한 총리, 미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회의‥"범정부 차원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8010 韓대행, 美상호관세 부과에 긴급회의…"모든 역량 쏟아부어야"(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8009 [투자노트] '지브리 프사' 늘어나면 조선주가 오른다 랭크뉴스 2025.04.03
48008 챗GPT 이미지 열풍에 올트먼도 '쩔쩔'…커지는 AI인프라 중요성 랭크뉴스 2025.04.03
48007 尹, 기각땐 즉시 대국민 담화… 파면땐 한남동 관저 나와야 랭크뉴스 2025.04.03
48006 트럼프 "한국 제품에 25% 관세 부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4.03
48005 전환점 맞는 미국…GDP 개편, 효과가 있을까[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랭크뉴스 2025.04.03
48004 “머스크, 곧 백악관 떠난다” 보도에… 백악관 “쓰레기” 부인 랭크뉴스 2025.04.03
48003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오락가락···한화에어로는 제동, 삼성SDI는 진행? 랭크뉴스 2025.04.03
48002 ‘지브리’ 열풍에 챗GPT 가입자 5억명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8001 [속보]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8000 신호 무시하고 사진 찍는 '민폐 커플' 랭크뉴스 2025.04.03
47999 [르포] 폐부를 찌르는 '죽음의 냄새'… 미얀마 지진 '골든 타임'은 끝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7998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처방 누락…80대 노인, 3개월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03
47997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오락가락···한화에어로는 제동, 삼성SDI는 승인? 랭크뉴스 2025.04.03
47996 탄핵선고 D-1…'진공상태' 헌재 인근 도로통제로 출근길 정체 랭크뉴스 2025.04.03
47995 [속보] 한덕수,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트럼프 관세 대응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3
47994 철강·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 예외… “기존 관세 품목엔 미적용” 랭크뉴스 2025.04.03
47993 흑석산에 뜬 헬기…경찰관이 맨몸으로 산 오른 이유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3
47992 “설마 저희 아기일 줄은” 태어난 지 9일 된 신생아에 간호사가 저지른 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