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일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한 의대생이 강의실을 나서고 있다. 이날 강의실에서 진행된 의학과 1학년 전공 수업에는 정원 60명 가운데 단 8명(13%)만 수업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올해 입학한 의대생 셋 중 한 명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2년 이상 지난 ‘늦깎이 신입생’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추진한 의대 정원 확대와 대학 졸업자들까지 가세한 의대 쏠림 현상이 맞물린 결과다.



을지대·영남대·인제대 등, 신입생 절반 ‘삼수 이상’
신재민 기자
1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39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학대 제외)에 입학한 신입생(4641명) 중 고3 수험생(2025년 2월 고교 졸업자)은 1887명(40.6%)이었다. 2024년 2년 고교를 졸업한 재수생은 1325명(28.5%)으로 집계됐다.

2023년 2월 또는 이전에 고교를 졸업하고 올해에 의대에 입학한 인원은 총 1429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30.8%였다. 삼수 이상에 해당하는 이들의 수는 올해 의대 정원 증원 규모(1509명)에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 입학한 삼수 이상 지원자(876명)에 비해 553명 늘었다. '사수 이상'에 해당하는 신입생(653명)도 지난해(364명)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학교별로 보면 신입생 중 삼수 이상 지원자의 비율이 33.3%를 넘는 의대가 18곳에 달했다. 특히 올해 정원을 늘린 지역 소재 의대들에 이같은 신입생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을지대(50%)·영남대(46.6%)·인제대(46.2%) 등은 삼수 이상이 신입생의 절반 정도였고, 제주대(36.1%)·건양대(32.1%) 등은 사수 이상 신입생이 30%가 넘었다.



실제로 올해 의대 신입생 중엔 이미 대학을 졸업하거나, 취업 중 입학한 이들이 어느해보다 많다. 30대 초반인 A씨는 대학 졸업 후 최근까지 직장을 다니다 비수도권 의대에 25학번 신입생에 입학했다. 그는 “사정상 하루라도 빨리 졸업해야 하는데, 홀로 수업을 들었다가 동기·선배들에게 찍힐까봐 눈치를 보고 있다”며 “의대 증원 소식에 대학 졸업 후 몇 년 만에 밤잠, 주말 반납해 공부했는데, 이렇게 시간을 보내는 게 맞는 일인가 싶다”고 말했다.

대학 졸업 후 수도권의 한 의대에 입학한 B씨도 “선배와 동료 사이에서 ‘배신자’가 돼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과 의사로서의 시작이 더 늦어지는 것 중 무엇이 더 손해일까 계산하게 된다”며 고민을 털어놨다.

전국 대부분 의과대학으로 의대생들이 복귀한 가운데 1일 서울 시내 한 의대 강의실에서 교수가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대다수 의대에서 의대생이 1학기 등록을 완료한 상황이나, 수업 정상화 여부는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전히 상당수 대학에선 학생회를 중심으로 등록 후 휴학, 수업 거부 등의 움직임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를 고려해 서울대 등 상당수 의대가 개강 초 1~2주간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거나 출석 체크를 하지 않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일부 대학 단체 대화방에선 학생들이 수업 거부를 인증하는 게시물을 올리며 집단 행동을 독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교육부 측은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는 경우에 한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재민 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679 "회사 출근하지 말고 집에 일하세요"…尹 탄핵 선고일 '재택근무' 확산 랭크뉴스 2025.04.02
42678 [속보] 한덕수, '尹 선고' 앞두고 "헌재서 어떤 결정 내려도 냉정하게 받아들여야" 랭크뉴스 2025.04.02
42677 지한파 전략가의 충고 “트럼프, 플랫폼법 알면 분노할 것…韓, 의지 보여줘야” 랭크뉴스 2025.04.02
42676 이복현 “금융위원장에 사의표명”…거취는 탄핵선고 이후 랭크뉴스 2025.04.02
42675 한 대행 “헌재 결정, 법치주의 원칙 따라 차분히 받아들여야” 랭크뉴스 2025.04.02
42674 분당 재건축 내홍…"통합재건축이냐 제자리 재건축이냐"[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랭크뉴스 2025.04.02
42673 [속보] ‘재산 누락 혐의’ 이병진 의원, 1심서 당선 무효형 랭크뉴스 2025.04.02
42672 이복현 사의 표명…“윤 대통령은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않았을 것” 랭크뉴스 2025.04.02
42671 그날의 '충격' 영상‥'케이블 타이' 포박 시도 랭크뉴스 2025.04.02
42670 韓, 尹선고 이틀 앞두고 여야에 "사회통합 책임 보여달라" 랭크뉴스 2025.04.02
42669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 370명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2
42668 美상원의원 '무박 2일' 트럼프 비판 발언…68년 만에 신기록 랭크뉴스 2025.04.02
42667 한 총리 "어떠한 결정도 받아들여야‥이제 '국민의 시간'" 랭크뉴스 2025.04.02
42666 “라이터로 불질러”…방화로 아파트 화재, 주민 대피 소동 랭크뉴스 2025.04.02
42665 "뒤돌아 XX 하는건가" 안영미 생방 중 욕설…사과했지만 결국 랭크뉴스 2025.04.02
42664 [속보] 상법 개정안 거부권 '직 걸고' 반대했던 이복현, 결국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4.02
42663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랭크뉴스 2025.04.02
42662 美 경기둔화 우려, 글로벌 자금도 유럽·중국으로 이동[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4.02
42661 쓰레기통서 발견된 찢긴 수표 1억2700만원,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4.02
42660 '개인빚 역대 최고' 1인당 가계대출 9,600만원···40대 평균 대출잔액 1억 넘어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