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이제 금요일이면 12.3 비상계엄 이후 122일 만에, 윤석열 대통령 파면 여부가 결정됩니다.

그동안 탄핵안 표결, 체포영장 집행, 그리고 탄핵심판까지.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의 책임을 묻는 과정은 무엇 하나 순탄치 않았는데요.

김상훈 기자가 되짚었습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무장 병력을 태운 군 헬기가 국회 앞마당을 차지했습니다.

계엄군은 창문을 깨고 국회 본청으로 침투했습니다.

또 다른 헌법기관인 중앙선관위에도 계엄군이 출동했습니다.

작전은 동시다발로 진행됐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작년 12월 4일)]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계엄해제 요구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에도,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해제에 미적댔습니다.

3시간 반 동안 국민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

헌법과 민주주의를 위협한 책임을 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습니다.

첫 탄핵 표결 시도는 무산됐습니다.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뒤 두 번째 시도 끝에 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습니다.

찬성 204표, 의결정족수보다 4표 더 많았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작년 12월 14일)]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탄핵재판은 수사와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 약속은 사라져버렸습니다.

1차 체포영장 집행은 차벽과 인간띠에 가로막혀 무산됐고, 2차 집행 때 윤 대통령은 체포됐습니다.

탄핵심판도 순조롭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가 보낸 서류는 18차례 반송되거나 배달되지 못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이 이의신청과 기피신청을 반복하면서 '법기술'로 시간을 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은 헌재에 모두 8차례 출석해 156분 발언했습니다.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은 정치공작으로 몰아가며 비상계엄은 경고성이었다는 논리를 펼쳤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입니다."

국회 측은 "계엄 선포는 명백한 위헌 행위"라며 "윤 대통령을 파면해 헌법 수호의 의지를 보여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송두환/국회 측 대리인단 (지난 2월 25일)]
"국군 병력을 함부로 동원해서 헌법기관과 헌법 체계를 공격함으로써 헌법수호자 겸 국군통수권자로서의 능력과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사람을 대통령직에 복귀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이 법원의 구속 취소로 석방되면서 사법 정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이 수사팀 반발까지 꺾어가며 법원 결정에 불복 없이 그냥 윤 대통령을 풀어준 겁니다.

8명의 재판관은 이제 윤 대통령 파면 여부를 결정합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복원과 퇴보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영상편집 :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33 ‘여야동수’ 깨진 경기도의회…인천은 광역·기초 모두 여당 승 랭크뉴스 2025.04.03
48132 길목마다 '노란 간판' 보이더니…1500원짜리 커피 팔아서 '스타벅스' 넘어섰다 랭크뉴스 2025.04.03
48131 [영상] 일본 마을 휘저은 ‘곰’…바람총 맞고 나무에서 ‘툭’ 랭크뉴스 2025.04.03
48130 "'민희진 없는 뉴진스' 가능"vs"현 어도어, 과거와 달라" 랭크뉴스 2025.04.03
48129 [속보] 尹, 헌재 선고일 불출석… "질서 유지·경호 문제 고려" 랭크뉴스 2025.04.03
48128 1분기 수출 최대치 찍은 K뷰티·라면… 美 상호관세 발표에 ‘선택기로’ 랭크뉴스 2025.04.03
48127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등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4.03
48126 국민연금 20살이 50살보다 6,200만 원 더 내고 5,100만 원 덜 받는다 랭크뉴스 2025.04.03
48125 ‘한국 맞아?’…FBI 첩보로 강릉 선박서 코카인 2t 적발 [영상] 랭크뉴스 2025.04.03
48124 美 자동차·주요부품 25% 관세 정식 발효…韓의 대미수출 타격 랭크뉴스 2025.04.03
48123 “윤 정부는 다르다” 장담하더니···3년간 대통령도, 여당 대표도 4·3 추념식 불참 랭크뉴스 2025.04.03
48122 대리인단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에 불출석" 랭크뉴스 2025.04.03
48121 [속보] 美 자동차·주요부품 25% 관세 정식 발효 랭크뉴스 2025.04.03
48120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내일 선고…대통령은 불출석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8119 [속보] 尹 측 “4일 탄핵 심판 선고 불출석” 랭크뉴스 2025.04.03
48118 관세 쇼크發 2차전지 약세에도 순매수 1위는 에코프로비엠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4.03
48117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일에 상원 어깃장···캐나다 관세철회 요구안 통과 랭크뉴스 2025.04.03
48116 정권교체 51%, 정권 재창출 33%…이재명 33%·김문수 9%[NBS 조사](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8115 트럼프. 韓 관세율 ‘25%’랬는데…백악관 공식문서엔 ‘26%’ 랭크뉴스 2025.04.03
48114 '도이치 주가조작' 대법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유(종합)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