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폭행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던 장제원(58) 전 국민의힘 의원이 31일 오후 11시 40분쯤 서울 강동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장 전 의원이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가족의 연락을 받은 고인의 보좌진이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이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22대 총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은 장 전 의원이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장에선 자필 유서도 발견됐다고 한다. 장 전 의원과 가까운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일 취재진과 만나 “장 전 의원이 어제 저녁쯤 주변 신변 정리를 한 것 같다”며 “유서는 아내가 갖고 있다. 주로 가족들이나 일부 지인에게 전하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장 전 의원은 부산디지털대 부총장에 재직 중이던 2015년 당시 비서 A씨를 성폭행한 혐의(준강간치상)로 고소돼 최근 경찰 조사를 받고 있었다. 고소인 측은 2015년 11월 18일 자정 무렵부터 같은 날 오전 8시까지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에서 장 전 의원이 술에 취해 의식이 없는 피해자를 성폭행했다고 주장했지만, 장 전 의원은 지난달 28일 경찰 소환 조사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31일 한 언론 보도로 2015년 사건 당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영상이 공개된 후 채 하루가 지나지 않아 장 전 의원은 극단 선택을 했다. 장 전 의원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고소인 측은 1일 오전 예고한 기자회견을 취소했다. 피의자인 장 전 의원의 사망으로 성폭력 고소 사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 처리될 방침이다.

부산 사상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장 전 의원은 장성만 전 국회 부의장의 아들로 정치 명문가 출신이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부산 사상에서 당선돼 처음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다. 2016년 20대 총선 땐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됐고, 2020년 21대 총선에선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당선돼 3선 고지에 올랐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힘 입당을 결정한 2021년 7월부터 그는 ‘원조 윤핵관’로 불렸다. 윤 대통령의 경선 캠프 종합상황실장을 맡았지만, 아들인 용준씨(가수 ‘노엘’)가 집행유예 기간 무면허 운전과 경찰관 폭행 혐의로 입건되며 경선 도중 2선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대선 막판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의 단일화를 주도하기도 했다.

2022년 3월 14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당선인 집무실로 출근하며 장제원 비서실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2022년 3월 대선에서 승리한 뒤 대통령직 인수위 당선인 비서실장으로 장 전 의원을 지명했다. 이후 장 전 의원은 윤석열 정부 초대 내각 인선 작업을 주도하는 등 새 정부 출범을 진두지휘했다.

윤 대통령 취임 뒤 당으로 돌아온 그는 친윤계의 구심점이 됐다. 2023년 초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른바 ‘김장(김기현·장제원)연대’를 결성하며 친윤계의 당권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어진 김기현 대표 체제에서 장 전 의원은 당직을 맡지 않았지만, 막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장 전 의원의 힘이 세질수록 대통령실과 당의 견제도 늘어갔다. 윤석열 정부 출범 초기 대통령실의 대대적 인적 쇄신 과정에서 장 전 의원의 추천으로 용산에 입성한 상당수 인사가 옷을 벗었다. 윤 대통령과의 갈등 끝에 김기현 의원이 대표직을 사퇴하자 장 전 의원의 당 영향력도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는 당의 쇄신 요구가 분출하자 선제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했다.

장 전 의원은 지난해 10월부턴 싱가폴과 일본 도쿄의 게이오대 등에 머물며 윤석열 정부 탄생부터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의 비화를 정리하는 저술작업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의 지인은 통화에서 “장 전 의원이 부산을 해양 허브 중심지로 만들 수 있는 연구 등을 하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 출마를 준비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빈소는 2일 부산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안타까운 죽음에 대해 마음 아프게 생각한다”라고 했다. 이수정 국민의힘 수원시정 당협위원장은 페이스북에 “이런 해결 방법밖에 없다니, 진심 안타깝다”라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 피해자의 안전도 꼭 도모해 달라”고 적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 SNS 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42 대통령 대행 초유의 헌법재판관 지명…국회는 못 막는다? 랭크뉴스 2025.04.08
45541 박찬대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무효…권한쟁의·가처분 등 법률적 대응” 랭크뉴스 2025.04.08
45540 [속보] ‘성남도개공 조례 통과 청탁’ 김만배 2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5.04.08
45539 [1보] '성남도개공 조례 청탁 혐의' 김만배 항소심서 무죄 랭크뉴스 2025.04.08
45538 이준석, 단일화 질문에 "국힘서 모욕적으로 내쫓았는데…" 랭크뉴스 2025.04.08
45537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 파문…한덕수 선출한 국민 아무도 없다 랭크뉴스 2025.04.08
45536 민주당,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에 “권한쟁의심판·가처분 신청 검토” 랭크뉴스 2025.04.08
45535 신약 개발에 미친 사람들이 모였다…한국 첫 ADC 빅바이오텍 꿈도 머지 않아 [김정곤의 바이오 테크트리] 랭크뉴스 2025.04.08
45534 이복현 원장의 긍정적 영향 [하영춘 칼럼] 랭크뉴스 2025.04.08
45533 [속보] 우원식, 한덕수에 “헌법재판관 인사청문 요청 안 받겠다” 랭크뉴스 2025.04.08
45532 윤석열, 파면 5일째 관저 생활…11일에야 나올 듯 랭크뉴스 2025.04.08
45531 또 실화로 발생한 하동 산불, 24시간 만에 주불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08
45530 [단독] 조기대선 재외선거관 18명 금주 출국…총 예산 3867억 랭크뉴스 2025.04.08
45529 인플루언서 SNS→언론 속보→증시 급등…"관세 90일 유예" 가짜뉴스 소동의 전말 랭크뉴스 2025.04.08
45528 이재명 "한덕수, 대통령이 될 줄 아나"... 尹 측근 이완규 재판관 지명에 반발 랭크뉴스 2025.04.08
45527 [속보] 의협 “정부·국회, 의료정상화 논의할 장 마련해달라” 랭크뉴스 2025.04.08
45526 이재명 '쪼개기 후원' 등 기소된 이화영 측 "검찰, 수사권 남용" 주장 랭크뉴스 2025.04.08
45525 미-중 치킨게임…중국, 트럼프 50% 추가 관세 위협에 “끝까지 싸울 것” 랭크뉴스 2025.04.08
45524 헌재에 내란연루 의혹 이완규 ‘알박기’…윤석열 유훈통치 그림자 랭크뉴스 2025.04.08
45523 삼성 갤럭시, 이번엔 확 얇아진다…다음달 '슬림폰' 엣지 출격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