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덕 서쪽서 2시간만에 동쪽 끝까지…산불 삽시간에 번져
외국인 선원들·이장·어촌계장 활약…거동불편 고령자 업고 대피시켜




(영덕=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이 사람들하고 해경, 구조대장 아니었으면 주민 절반은 죽었을지도 몰라요."

1일 경북 영덕군 축산면 경정3리 선착장.

이곳에서 만난 60대 주민은 입이 마르도록 산불 위기 속 '숨은 영웅'들을 칭찬했다.

그가 말한 사람들은 마을 이장 김필경(56)씨, 어촌계장 유명신(56)씨, 외국인 선원 수기안토(31)씨다.

지난달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 청송을 거쳐 영덕 서쪽 경계지점까지 확산한 것은 지난달 25일 오후 6시께다.

영덕군은 25일 오후 5시 54분에 지품면 황장리에 산불이 확산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산불이 동쪽으로 약 25㎞ 떨어진 축산면 경정3리까지 번지는 데는 2시간 정도에 불과했다.

워낙 경황이 없었고 산불이 확산하면서 전기, 통신이 마비된 지라 산불이 몇 시쯤 도착했는지 정확하게 아는 주민은 드물었다.

다만 오후 7시 40분쯤엔 밖에 연기가 자욱했고 8시쯤엔 산불이 마을까지 번졌다고 보는 주민이 많았다.

이런 주민 말이 맞는다면 산불은 시간당 10㎞ 이상 이동한 셈이다.

주민 대피에 일조한 외국인 선원 수기안토씨
[촬영 손대성]


산불이 번졌을 때 이 마을 주민 약 60명 중 상당수는 집에 머물고 있거나 이미 잠든 상황이었다.

이상한 낌새에 밖으로 나온 김필경 이장은 선착장에서 오른쪽, 유명신 계장은 왼쪽, 인도네시아 출신 선원 수기안토씨는 중앙으로 가서 마을 주민을 깨워 대피시켰다.

김 이장은 "빨리 나오라고 방송을 해도 나오지 않아서 셋이 함께 고함을 치면서 깨우거나 밖으로 나오도록 했다"고 말했다.

고령으로 거동이 어려운 주민을 위해 수기안토씨는 7명의 주민을 업고 나왔다.

그는 8년 전 입국한 뒤 줄곧 이곳에서 선원으로 근무한 터라 할머니를 "할매"란 경상도 사투리로 부를 정도로 한국 생활이 능숙한 편이다.

그는 "할매가 걸음을 빨리 못 걸으니까 일일이 집에 가서 업고 나왔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산불 구조 상황 당시를 설명하는 레오씨
[촬영 윤관식]


수기안토씨와 같은 마을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인 레오(인도네시아)씨도 주민 구조에 일조했다.

그는 어눌한 한국어로 "할머니"를 외치며 대피를 도왔다.

레오씨는 "산불이 자꾸만 다가오는데, 할머니가 안보여 할머니 빨리 오라고 소리쳤다"며 "집안에 자고 있는 할머니를 업고 대피했다"고 어눌한 한국어로 말했다.

그러면서 "그때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할머니가 날아 갈 뻔 했다"며 "할머니 앉으라고, 대피하라고 했다"고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설명했다.

레오가 타고 있는 배의 선장인 임청길(57)씨는 "이 친구들(외국인 선원)도 자기 나름대로 놀랬다"며 "자기들끼리 '가자 가자'해서 할머니들을 모시고 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친구들도 영덕군에 주민세 내는데, 나라에서 지원을 해 줘야 한다"며 "우리도 지금 다 일을 못해서 입에 풀칠할지 걱정인데, 이 친구들 월급날이 코앞이라 걱정이다"고 말했다.

이날 경정3리를 찾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레오 등 외국인 선원을 만나 이들의 비자 연장 등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당국자에게 주문하기도 했다.

산불에서 주민 구조 도운 레오(오른쪽)씨와 악수하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
[촬영 윤관식]


선장 임청길 씨가 보여준 영상에는 불길을 몰고온 강풍의 굉음과 방파제로 몸을 숨기려는 아비규환과 같은 현장이 생생하게 남아있었다.

대피한 주민들은 불이 마을을 덮치자 차에 타거나 달려서 방파제 끝으로 피했다.

불길이 뜨거운 열기를 내뿜고 있는 데다가 연기가 자욱하고 불똥이 날아다녀 도저히 다른 곳으로 대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방파제 콘크리트 블록 사이사이에 있거나 차에 타고서 긴급하게 해경 등에 연락했다.

해경은 축산면에서 민간구조대장으로 활동 중인 전대헌(52)씨에게 연락해 주민을 구하러 나섰다.

해경 배에 올라타는 영덕 경정3리 주민
[전대헌씨 제공 동영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전 대장이 다른 후배, 직원과 함께 레저보트와 낚시 어선을 몰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주민들이 방파제에 있어 배를 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콘크리트 블록이 미끄러워 자칫 다른 사고도 날 수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거센 화염을 뚫고 주민들이 배가 있는 선착장까지 달려갈 수도 없었다.

불길이 거세게 번진 상황은 전 대장이 몸에 부착하고 있던 바디캠에 찍힌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전 대장은 때마침 선착장에 있던 키가 꽂힌 소형 트럭을 몰고 방파제까지 달려가 주민 10여명을 태우고 선착장에 왔다.

이후 자신의 보트로 주민을 낚싯배까지 이동시켰고 이를 한 차례 더 반복해 낚싯배에 20여명을 태우고서 축산항에 입항했다.

나머지 주민 상당수는 울진해경 도움을 받아 축산항으로 이동했고 일부 주민은 남아서 상황을 지켜봤다.

경정3리 주민 임모씨는 "전 대장과 해경 직원들 덕분에 마을 주민이 많이 구조됐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43 열흘 뒤에 다시 마비되는 헌재... 재판관 공백 방치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4.08
45342 트럼프,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랭크뉴스 2025.04.08
45341 [단독] 대선 이후 '이재명 재판' 물었더니... '헌법 84조'에 대법원도 헌재도 변죽만 랭크뉴스 2025.04.08
45340 "우원식 뱉은 말 거둬라" "한덕수 재탄핵"…더 세진 강성 친명 랭크뉴스 2025.04.08
45339 [속보] 롤러코스터 탄 뉴욕증시…나스닥 0.1% 상승 마감 랭크뉴스 2025.04.08
45338 포장주문도 '당근'… 배달앱 시장판도 흔들릴까 랭크뉴스 2025.04.08
45337 이재명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혐의' 재판 오늘 첫 공판준비기일 랭크뉴스 2025.04.08
45336 정부, 오늘 국무회의서 차기 대선일 6월 3일로 확정 랭크뉴스 2025.04.08
45335 "담배꽁초 비벼서 껐나요?"…건조·강풍속에 '담뱃불 화재'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08
45334 [2보] 뉴욕증시, 기록적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 반등 마감 랭크뉴스 2025.04.08
45333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고조…日총리는 협상 中은 위안화 절하 만지작 [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08
45332 [속보]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급등락…다우 0.9%↓·나스닥 0.1%↑ 랭크뉴스 2025.04.08
45331 트럼프 "中엔 50% 추가관세…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4.08
45330 [1보]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급등락…다우 0.9%↓·나스닥 0.1%↑ 랭크뉴스 2025.04.08
45329 '대하'에 캠프 차리면 당선?…홍준표·한동훈의 불편한 동거 랭크뉴스 2025.04.08
45328 거부권·탄핵... '죽여야 사는 시대'에 갈 곳 잃은 정치[탄핵 갈등 넘어 통합으로] 랭크뉴스 2025.04.08
45327 "애플, 관세 부담 줄이려 인도서 더 많은 아이폰 美에 공급" 랭크뉴스 2025.04.08
45326 또…인천공항 출국장 쓰레기통서 실탄 4발 발견 랭크뉴스 2025.04.08
45325 [속보] 트럼프 "이란과 직접 대화 중…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것" 랭크뉴스 2025.04.08
45324 노래방서 처음 본 여성에게 무슨 짓을…살인·시체 유기·절도 '인면수심' 30대 男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