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덕 서쪽서 2시간만에 동쪽 끝까지…산불 삽시간에 번져
외국인 선원들·이장·어촌계장 활약…거동불편 고령자 업고 대피시켜




(영덕=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이 사람들하고 해경, 구조대장 아니었으면 주민 절반은 죽었을지도 몰라요."

1일 경북 영덕군 축산면 경정3리 선착장.

이곳에서 만난 60대 주민은 입이 마르도록 산불 위기 속 '숨은 영웅'들을 칭찬했다.

그가 말한 사람들은 마을 이장 김필경(56)씨, 어촌계장 유명신(56)씨, 외국인 선원 수기안토(31)씨다.

지난달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 청송을 거쳐 영덕 서쪽 경계지점까지 확산한 것은 지난달 25일 오후 6시께다.

영덕군은 25일 오후 5시 54분에 지품면 황장리에 산불이 확산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산불이 동쪽으로 약 25㎞ 떨어진 축산면 경정3리까지 번지는 데는 2시간 정도에 불과했다.

워낙 경황이 없었고 산불이 확산하면서 전기, 통신이 마비된 지라 산불이 몇 시쯤 도착했는지 정확하게 아는 주민은 드물었다.

다만 오후 7시 40분쯤엔 밖에 연기가 자욱했고 8시쯤엔 산불이 마을까지 번졌다고 보는 주민이 많았다.

이런 주민 말이 맞는다면 산불은 시간당 10㎞ 이상 이동한 셈이다.

주민 대피에 일조한 외국인 선원 수기안토씨
[촬영 손대성]


산불이 번졌을 때 이 마을 주민 약 60명 중 상당수는 집에 머물고 있거나 이미 잠든 상황이었다.

이상한 낌새에 밖으로 나온 김필경 이장은 선착장에서 오른쪽, 유명신 계장은 왼쪽, 인도네시아 출신 선원 수기안토씨는 중앙으로 가서 마을 주민을 깨워 대피시켰다.

김 이장은 "빨리 나오라고 방송을 해도 나오지 않아서 셋이 함께 고함을 치면서 깨우거나 밖으로 나오도록 했다"고 말했다.

고령으로 거동이 어려운 주민을 위해 수기안토씨는 7명의 주민을 업고 나왔다.

그는 8년 전 입국한 뒤 줄곧 이곳에서 선원으로 근무한 터라 할머니를 "할매"란 경상도 사투리로 부를 정도로 한국 생활이 능숙한 편이다.

그는 "할매가 걸음을 빨리 못 걸으니까 일일이 집에 가서 업고 나왔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산불 구조 상황 당시를 설명하는 레오씨
[촬영 윤관식]


수기안토씨와 같은 마을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인 레오(인도네시아)씨도 주민 구조에 일조했다.

그는 어눌한 한국어로 "할머니"를 외치며 대피를 도왔다.

레오씨는 "산불이 자꾸만 다가오는데, 할머니가 안보여 할머니 빨리 오라고 소리쳤다"며 "집안에 자고 있는 할머니를 업고 대피했다"고 어눌한 한국어로 말했다.

그러면서 "그때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할머니가 날아 갈 뻔 했다"며 "할머니 앉으라고, 대피하라고 했다"고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설명했다.

레오가 타고 있는 배의 선장인 임청길(57)씨는 "이 친구들(외국인 선원)도 자기 나름대로 놀랬다"며 "자기들끼리 '가자 가자'해서 할머니들을 모시고 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친구들도 영덕군에 주민세 내는데, 나라에서 지원을 해 줘야 한다"며 "우리도 지금 다 일을 못해서 입에 풀칠할지 걱정인데, 이 친구들 월급날이 코앞이라 걱정이다"고 말했다.

이날 경정3리를 찾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레오 등 외국인 선원을 만나 이들의 비자 연장 등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당국자에게 주문하기도 했다.

산불에서 주민 구조 도운 레오(오른쪽)씨와 악수하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
[촬영 윤관식]


선장 임청길 씨가 보여준 영상에는 불길을 몰고온 강풍의 굉음과 방파제로 몸을 숨기려는 아비규환과 같은 현장이 생생하게 남아있었다.

대피한 주민들은 불이 마을을 덮치자 차에 타거나 달려서 방파제 끝으로 피했다.

불길이 뜨거운 열기를 내뿜고 있는 데다가 연기가 자욱하고 불똥이 날아다녀 도저히 다른 곳으로 대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방파제 콘크리트 블록 사이사이에 있거나 차에 타고서 긴급하게 해경 등에 연락했다.

해경은 축산면에서 민간구조대장으로 활동 중인 전대헌(52)씨에게 연락해 주민을 구하러 나섰다.

해경 배에 올라타는 영덕 경정3리 주민
[전대헌씨 제공 동영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전 대장이 다른 후배, 직원과 함께 레저보트와 낚시 어선을 몰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주민들이 방파제에 있어 배를 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콘크리트 블록이 미끄러워 자칫 다른 사고도 날 수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거센 화염을 뚫고 주민들이 배가 있는 선착장까지 달려갈 수도 없었다.

불길이 거세게 번진 상황은 전 대장이 몸에 부착하고 있던 바디캠에 찍힌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전 대장은 때마침 선착장에 있던 키가 꽂힌 소형 트럭을 몰고 방파제까지 달려가 주민 10여명을 태우고 선착장에 왔다.

이후 자신의 보트로 주민을 낚싯배까지 이동시켰고 이를 한 차례 더 반복해 낚싯배에 20여명을 태우고서 축산항에 입항했다.

나머지 주민 상당수는 울진해경 도움을 받아 축산항으로 이동했고 일부 주민은 남아서 상황을 지켜봤다.

경정3리 주민 임모씨는 "전 대장과 해경 직원들 덕분에 마을 주민이 많이 구조됐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52 계엄·포고령·체포 지시…하나라도 중대 위법·위헌 판단 땐 윤 파면 랭크뉴스 2025.04.02
47751 문소리 "'폭싹 속았수다' 찍고서 '만날 봄인 듯' 살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4.02
47750 한반도 뒤흔들 트럼프의 군축전략, 셈법은?[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4.02
47749 MZ들 옷 어디서 살까… 패션 플랫폼 잘나가는 이유 있었네 랭크뉴스 2025.04.02
47748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747 수원 ‘오피스텔 추락사’ 모녀, 4개월 전 생활고 긴급복지 상담 랭크뉴스 2025.04.02
47746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랭크뉴스 2025.04.02
47745 “4일 20명 예약 취소됐어요”… 尹 선고일, 헌재 인근 상점 줄줄이 휴점 랭크뉴스 2025.04.02
47744 라면 30개·빵 200종 인상…정치공백 틈타 고삐풀린 먹거리 물가 랭크뉴스 2025.04.02
47743 박충권 '공산주의자' 발언으로 여야 격돌…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42 “민주당, 결과 승복해야” “승복은 윤석열이” 여야 헌재 심판 앞두고도 ‘설전’만 랭크뉴스 2025.04.02
47741 "나는 솔로, 대체 언제까지…" 미혼 직원 위해 은행권 뭉쳤다 랭크뉴스 2025.04.02
47740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2
47739 "누구 죽이고 싶다" 개인방송하며 공중협박한 유튜버 현행범체포 랭크뉴스 2025.04.02
47738 “尹선고 볼래” 방청권 20석 신청 폭주…‘경쟁률 3550대 1’ 랭크뉴스 2025.04.02
47737 "김수현 재기 불가능할 듯" 눈물의 회견 본 프로파일러 지적, 왜 랭크뉴스 2025.04.02
47736 “대통령 계셨으면” 이복현에 권성동 “감히 대통령 운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735 "당장 짐 싸야! 감히 어디서!" 이복현 발언에 '벌컥' 랭크뉴스 2025.04.02
47734 괴물 산불에 잿더미 된 돈다발…"보상 어렵다" 시름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02
47733 "장제원 사망" 소식 들은 尹, '두 번' 전화해서 한 말이‥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