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부 기부 강요 분위기 우려도
그룹 세븐틴.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제공


사회 문제 해결이나 재해 복구를 위한 연예계의 ‘통 큰 기부’가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잡았다. 연예인에게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와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기를 바라는 팬덤이 더해져 이같은 흐름이 거세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K팝 그룹 스트레이 키즈(스키즈)가 1일 경북·경남 지역 산불 피해 긴급 구호를 위해 8억원을 기부했다. 스키즈는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4억원, 사회복지법인 월드비전에 4억원을 전달하며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를 통해 “한순간에 일상을 잃어버린 피해 주민분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하며 함께 애써 주시는 모든 분들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룹 스트레이 키즈. JYP엔터테인먼트 제공


앞서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과 세븐틴이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해 각 10억원, 지드래곤이 3억원, 아이유와 그룹 아이브가 2억원 씩을 기부했다. 그룹 또는 멤버 개인별로, 또는 소속사 단위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선 억 단위 기부가 이어지고 있다. K컬처의 세계적인 인기로 연예인들의 수익 규모가 커지면서 기부의 규모도 커지는 추세다.

연예인의 경우 대중으로부터 받는 관심과 지지가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는 만큼 지역 사회나 국가에 큰 일이 발생했을 때, 혹은 사회적 약자에게 도움이 필요할 때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인식이 과거보다 높아졌다. 한 엔터 업계 관계자는 “연예인의 기부는 단순히 홍보 마케팅 측면에서 접근할 수 없다. 전적으로 (소속사가 아닌) 아티스트의 의사에 따른 것”이라며 “금액을 떠나 대중으로부터 받은 사랑을 좋은 방식으로 보답한다는 마음으로 해석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BTS 정국. 빅히트 뮤직 제공


과거와 달라진 팬덤 문화 역시 기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과 함께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보람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가수 임영웅의 팬클럽 ‘영웅시대’는 이번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6억여원을 기부했다. 산불 피해 지원 금액 중 팬덤 단위로는 최대 규모다. 아이유는 지난해 9월 데뷔 기념일을 맞아 자신의 활동명과 공식 팬클럽 ‘유애나’를 합친 ‘아이유애나’의 이름으로 한국 어린이 난치병 협회 등에 2억여원을 기부했다.

가수 임영웅. 물고기뮤직 제공


K컬처가 전 세계적 인기를 얻으면서 국내 아티스트의 기부도 국경을 넘었다. BTS는 2020년 소속사와 함께 흑인 인권운동 캠페인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BLM)’ 측에 100만 달러(약 12억원)를 기부했고, 전 세계 아미는 ‘우리도 100만 달러를 맞추자’며 힘을 보탰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팬덤 활동 자체가 과거와 다르다. 좋아하는 연예인을 추종하며 선물이나 편지를 보내던 차원에서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려는 것으로 그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예전보다 팬덤 문화가 성숙했다고도 볼 수 있는 지점”이라고 분석했다.

가수 아이유. 이담엔터테인먼트 제공


기부 문화 확산에 뒤따른 우려스러운 면도 있다. 기부에 나서지 않은 연예인을 비방하거나 기부금 액수로 ‘줄세우기’를 하는 분위기가 최근 감지됐다. 미얀마와 태국이 강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데 대해 블랙핑크 리사, 2PM 닉쿤 등 태국 출신 스타들이 이를 위로하자 일부 네티즌들이 “한국 산불은 외면한다”고 비판한 것이 한 예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이런 분위기에선 기부하는 연예인도 압박감이 들 수 있다. 기부를 했다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그 자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53 尹 탄핵심판 D-1… 與 “대통령 직무 복귀 결정되면 서둘러 ‘개헌’ 추진” 랭크뉴스 2025.04.03
48052 트럼프, 한국 자동차 등 콕 찍어 "최악 무역장벽" 랭크뉴스 2025.04.03
48051 트럼프, 상호관세로 글로벌통상전쟁 전면전…25% 폭탄에 韓 비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3
48050 권영세 "대통령 직무복귀 결정된다면 서둘러 개헌 추진할 것" 랭크뉴스 2025.04.03
48049 국민연금 매달 500만원 넘게 받는 '부부 수급자' 처음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03
48048 윤석열 선고 전 야권에 기운 민심 확인···4·2 재보선 압승으로 나타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8047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日 24%, 中 34%, EU 20% 랭크뉴스 2025.04.03
48046 ‘美관세 충격’에 코스피 2.7% 급락 출발…2460선 등락 랭크뉴스 2025.04.03
48045 박범계 "헌재, '파면 방침 정했다'고 판단"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3
48044 DOGE까지 문 닫나…미 매체 “머스크, 곧 그만둘 것” 테슬라 복귀 시사 랭크뉴스 2025.04.03
48043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누락…80대 입소자는 석 달 만에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03
48042 [탄핵심판 선고 D-1] 헌재 탄핵심판 선고 때 ‘분 단위’ 시간 밝히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3
48041 미 상호관세 타격에 증권가 "자동차 산업 예상치보다 더 큰 충격 올 것"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3
48040 [탄핵심판 선고 D-1]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결정문 낭독... 盧·朴 땐 20여분 걸려 랭크뉴스 2025.04.03
48039 "2차 계엄 없다"지만 믿기 어렵다 [36.5˚C] 랭크뉴스 2025.04.03
48038 [속보] 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비상근무 2단계 랭크뉴스 2025.04.03
48037 [속보]‘미 상호 관세’ 여파에 코스피 2.7% 급락 출발, 원·달러 환율 오름세 랭크뉴스 2025.04.03
48036 "한국에 25% 상호관세"‥전 세계 관세전쟁 격화 랭크뉴스 2025.04.03
48035 美 재무 "관세 보복 시 갈등만 확대…순순히 받아들여라"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8034 [탄핵심판 선고 D-1] 경찰, 서울에 ‘을호비상’ 발령…경찰력 50% 동원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