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1~3월)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국내 성장 둔화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만큼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종목이 주목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 종목은 총 104개다. 이 가운데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예상치가 연초보다 영업이익 눈높이가 올라간 종목은 34개뿐이다. 올해 2분기(4~6월) 영업이익 전망치를 놓고 봐도 연초보다 개선된 종목이 100개 중 39개로, 그렇지 않은 종목보다 적다.
시장에선 1분기 실적보다 2분기 실적을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오는 2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이 나오면 기업 실적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분기 실적이 낙관적인 대표 종목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증권사들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연초 3794억원에서 현재 5795억원으로 52.7%(2001억원) 높여 잡았다.
영업이익 전망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 원익IPS다. 원익IPS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20억원으로 연초보다 79.8%(98억원) 늘었다.
증가 폭으로 보면 한국전력이 가장 두드러진다. 증권사들은 한국전력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연초 1조9067억원에서 현재 2조2050억원으로 15.6%(2983억원) 상향 조정했다.
이마트와 현대건설, KT, DL이앤씨 등도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연초보다 높아진 종목이다.
반대로 한화솔루션, 엔씨소프트, 포스코퓨처엠,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대덕전자 등은 연초보다 영업이익 전망치가 낮아진 종목으로 이름을 올렸다. 넥슨게임즈와 카카오게임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심텍, 엘앤에프, 삼성SDI는 2분기 흑자 전망에서 적자 전망으로 돌아서기도 했다.
다만 실적 전망치 상향이 주가 흐름으로 이어지기까지 시차가 발생할 수 있다. 김종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이익 추정치 상향 종목 상당수가 미국 경기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에 속해 있다”며 “1분기 실적 발표 후 연간 실적 추정치가 조정된 뒤에 (실적 성장 종목의) 주식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공매도 재개에 따라 성장주 가운데 밸류에이션(Valuation·기업 평가 가치) 부담이 큰 종목 역시 단기 수익률을 낙관하기 어렵다. 2016년 이후 실적·수익성 개선 종목은 대차잔고가 늘어나는 60일간 오히려 주가 수익률이 부진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른바 선(先)반영에 따라 공매도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장주 중 턴어라운드(Turnaround·실적 반등) 종목에 주목하라는 조언도 있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주식 거래가 줄기 시작하면 성장주의 성과가 부진해지고, 비교적 안정되고 긴 호흡으로 투자할 수 있는 턴어라운드 주식이 시장을 이긴다”고 했다.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 종목은 총 104개다. 이 가운데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예상치가 연초보다 영업이익 눈높이가 올라간 종목은 34개뿐이다. 올해 2분기(4~6월) 영업이익 전망치를 놓고 봐도 연초보다 개선된 종목이 100개 중 39개로, 그렇지 않은 종목보다 적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천무(K-23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시장에선 1분기 실적보다 2분기 실적을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오는 2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이 나오면 기업 실적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분기 실적이 낙관적인 대표 종목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증권사들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연초 3794억원에서 현재 5795억원으로 52.7%(2001억원) 높여 잡았다.
영업이익 전망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 원익IPS다. 원익IPS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20억원으로 연초보다 79.8%(98억원) 늘었다.
증가 폭으로 보면 한국전력이 가장 두드러진다. 증권사들은 한국전력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연초 1조9067억원에서 현재 2조2050억원으로 15.6%(2983억원) 상향 조정했다.
이마트와 현대건설, KT, DL이앤씨 등도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연초보다 높아진 종목이다.
반대로 한화솔루션, 엔씨소프트, 포스코퓨처엠,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대덕전자 등은 연초보다 영업이익 전망치가 낮아진 종목으로 이름을 올렸다. 넥슨게임즈와 카카오게임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심텍, 엘앤에프, 삼성SDI는 2분기 흑자 전망에서 적자 전망으로 돌아서기도 했다.
다만 실적 전망치 상향이 주가 흐름으로 이어지기까지 시차가 발생할 수 있다. 김종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이익 추정치 상향 종목 상당수가 미국 경기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에 속해 있다”며 “1분기 실적 발표 후 연간 실적 추정치가 조정된 뒤에 (실적 성장 종목의) 주식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공매도 재개에 따라 성장주 가운데 밸류에이션(Valuation·기업 평가 가치) 부담이 큰 종목 역시 단기 수익률을 낙관하기 어렵다. 2016년 이후 실적·수익성 개선 종목은 대차잔고가 늘어나는 60일간 오히려 주가 수익률이 부진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른바 선(先)반영에 따라 공매도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성장주 중 턴어라운드(Turnaround·실적 반등) 종목에 주목하라는 조언도 있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주식 거래가 줄기 시작하면 성장주의 성과가 부진해지고, 비교적 안정되고 긴 호흡으로 투자할 수 있는 턴어라운드 주식이 시장을 이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