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투證, 매출 6조 과대 계상
업계선 어이 없는 잘못이란 반응
금감원, 중대 문제 발견 시 감리 전환

금융감독원이 매출과 비용을 각 6조원씩 부풀려 공시한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회계 심사를 착수했다. 회계 심사란 금감원이 회사를 대상으로 회계 처리 기준 위반 여부와 그 경위를 살피는 과정으로, 사안이 중대하면 감리로 전환된다. 그간 한국투자증권은 매출과 비용이 함께 많이 계산된 터라 순이익엔 변동이 없어 대수롭지 않은 문제라고 했지만, 금융당국의 시선은 그렇지 않은 모양새다.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뉴스1

1일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은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현안 관련 브리핑을 열고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회계 심사는 이미 착수했고 (회계 처리 위반) 규모와 비율, 고의성을 살필 것”이라며 “그 이후 과정은 좀 더 봐야 한다”고 밝혔다. 매출과 비용을 부풀린 게 어떤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고의라면 감리로 전환하겠다는 뜻이다.

지난달 21일 한국투자증권은 2019~2023년의 5년 치 사업보고서를 수정해 다시 공시했다. 매출이 5조7000억원 과대계상된 탓이다. 연도별 매출의 감소 추이를 보면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이다.

리테일부서와 FX부서에서의 외환 거래 처리 과정에서 내부 거래라 상계됐어야 하는 숫자들이 그렇지 않으면서 매출이 과대계상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투자증권은 단순 실수인 데다 매출과 비용이 같은 크기로 늘어났기에 순이익은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 중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관련 부서는 평생을 숫자만 만지는 부서라 담당 본부장 머릿속에는 매출과 비용 정도는 들어있다”고 말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이 1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날 금감원은 상장지수펀드(ETF) 수수료 경쟁을 이어가는 자산운용업계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함 부원장은 “시장을 선도해야 할 대형 운용사들이 운용 역량, 수익률 경쟁보다 점유율 확보에만 집중해 보수 인하 경쟁이 과열되는 건 심히 우려스럽다”고 했다. 그러면서 “펀드 투자자의 이익 제고가 아닌 순위 경쟁만을 위한 일부 경쟁 상품에 대한 노이즈 마케팅이 반복되면 해당 운용사에 대해 보수 결정 체계 및 펀드 간 이해, 상품관리 실태 전반을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업계 1, 2위인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저격한 발언이다. 최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의 주력 영역인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의 수수료를 100분의 1로 낮췄다. 지난달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 보수를 낮추자, 삼성자산운용이 하루 만에 따라 내린 바 있다.

함 부원장은 “일반적인 보수 인하로서 투자자 이익이 증대되는 데엔 반대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며 “선도 기업 간의 순위 경쟁과 그걸 둘러싼 뒷단의 바이럴 마케팅을 문제 삼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박시문 금감원 자산운용감독국장은 “금융위원회와 함께 해외 사례를 조사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 중”이라며 “(제도 개선은) 어느 정도 진척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TF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한편 이날 금감원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상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데엔 말을 아꼈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자본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거부권이 행사돼선 안 된다며 직을 걸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함 부원장은 이 원장의 거취 관련 질문에 “원장님 거취는 제가 말씀드릴 건 아니다”라며 “그간 (상법 개정안에 대해 찬성하는) 저희 입장을 충분히 밝혀왔기 때문에 그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다”고 답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00 "尹선고날 '뚱뚱한 패딩' 보이면 무조건 피하라"…경찰의 당부,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99 경북 산불 사망자 27명으로 늘어... 중상자 3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02
47698 47억 아파트 30대 어떻게 샀나 했더니…"부친에 30억 빌렸어요" 랭크뉴스 2025.04.02
47697 권성동 "이복현, 짐 싸서 떠나야‥대통령 거론 오만한 태도" 랭크뉴스 2025.04.02
47696 장제원 전 의원 빈소 조문행렬…정진석 "대통령 '가슴아프다' 말해" 랭크뉴스 2025.04.02
47695 격변기 맞은 산업계, 전방위 구조조정…한계기업 '퇴출 도미노' 랭크뉴스 2025.04.02
47694 “아빠 찬스로 47억원 아파트 샀나” 국토부, 서울 지역 이상거래 집중 점검 랭크뉴스 2025.04.02
47693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92 "안국역 전쟁통인데" "출근할 수 있을까" 종로 직장인들 '尹 선고' 발동동 랭크뉴스 2025.04.02
47691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90 ‘귀한 몸’ 토허제 경매 아파트…‘아리팍‧방배그랑자이’ 감정가보다 웃돈 매각 랭크뉴스 2025.04.02
47689 “왜 출근했어요? 잘렸는데” 美 보건·복지 인력 1만명 해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7688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16개 학교 휴업... 경복궁역 인근까지 확대 랭크뉴스 2025.04.02
47687 ‘사과 대란’ 다시 오나…‘주산지’ 경북 산불에 국내 재배면적 10% 피해 랭크뉴스 2025.04.02
47686 버스·지하철·자전거·쓰레기통까지 싹 다 치운다…4일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랭크뉴스 2025.04.02
47685 헌재 오전 10시 선고가 관례인데…尹 선고는 오전 11시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84 "헌재에 승복해야" 지적에‥이재명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83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총 16개 학교 휴업 랭크뉴스 2025.04.02
47682 경찰, '명품 수수 의혹'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2
47681 '이별 통보' 연인 66차례 찔러 살해한 40대 2심도 무기징역 구형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