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장 숙의... 소추안 접수 111일 만에 결론
쟁점 중 하나라도 '중대 위헌·위법' 땐 파면
2월 26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여부가 4일 결정된다.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지 111일 만이고, 변론이 종결된 지 38일 만의 결론이다. 윤 대통령이 파면되면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실시된다.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선고한다"고 1일 밝혔다. 선고는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중계하기로 했다. 일반인 방청도 허용된다.

윤 대통령 파면은 재판관 8명 중 6명 이상 인용 의견으로 결정된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주문을 낭독하는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 반대로 재판관 8명 중 3명 이상이 기각이나 각하 의견을 내면 윤 대통령은 곧바로 대통령 직무에 복귀한다.

파면 여부에 대한 재판부 최종 판단은 4일 오전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앞선 박 전 대통령 때도 재판부는 선고 당일 오전 마지막 평의를 열고, 선고 시작 30분 전에 '탄핵 인용'과 '탄핵 기각' 결정문을 놓고 투표하는 평결에 돌입했다. 결정문이 외부에 미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헌재는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지난해 12월 14일 이후 두 차례 준비기일과 11차례 변론기일을 열고 증인 16명을 불러 신문했다. 2월 25일 변론 종결 후에는 거의 매일 평의를 열어 최장 기간 숙의를 거듭했다. 노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은 탄핵소추안 가결부터 선고까지 각각 63일, 91일이 걸렸다. 변론 종결일 기준으로는 각각 14일과 11일 뒤 선고됐다. 두 전직 대통령과 비교해 윤 대통령 선고가 지연되자 헌재에 대한 비난 여론이 커졌고 여러 억측이 난무했다.

이번 탄핵심판의 쟁점은 크게 5가지다. △12·3 비상계엄 선포 △포고령 1호 발표 △국회 활동 방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 △정치인 등 체포 지시다. 쟁점 중 하나라도 중대한 위헌·위법 행위로 판단되면 파면 사유가 된다. 국회 측은 윤 대통령이 국민의 신임을 배신해 국정을 맡을 자격이 없다고 본다.

절차적 흠결 여부도 심리 대상이다. 윤 대통령 측은 국회가 규정에 어긋난 소추안을 접수했고, 변론 진행도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진행됐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회 측이 소추안 접수 이후 "형법상 내란죄 성립 여부는 따지지 않겠다"고 언급한 것을 문제 삼아, 청구 자체가 각하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사기관의 피의자 신문조서 등이 증거로 채택된 것을 두고도 여러 차례 불만을 제기했다. 윤 대통령 측이 절차적 문제를 언급하며 '사기 탄핵'을 주장해온 만큼, 헌재는 구체적 판단 근거를 결정문에 상세히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51 외신 “‘아메리칸 파이’ 노래했던 보수주의자, 극적으로 퇴진” 랭크뉴스 2025.04.04
43950 미국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덕수 권한대행과 협력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949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04
43948 민주당, 최상목 탄핵도 ‘숨고르기’… 윤석열 파면 뒤 법사위 조사로 선회 랭크뉴스 2025.04.04
43947 미국 증시 폭락했지만···트럼프 “내 정책 절대 안 바뀌어” 랭크뉴스 2025.04.04
43946 외교부, 전 재외공관에 ‘尹사진 철거’ 지시… 주요국과 탄핵 공유 랭크뉴스 2025.04.04
43945 [속보] 미국 "윤석열 파면, 헌법재판소 결정 존중‥한미동맹 안정성 위해 노력" 랭크뉴스 2025.04.04
43944 美 국무부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미동맹 협력 지속 기대” 랭크뉴스 2025.04.04
43943 [속보] 미 국무부, 윤석열 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04
43942 한동훈 “함께 고통 나누고 극복하자” 랭크뉴스 2025.04.04
43941 4명 숨진 8년 전과 달랐다, 헌재 앞 비운 진공작전 효과 랭크뉴스 2025.04.04
43940 선포도, 포고령도 ‘위헌’…“중대 위기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939 문형배, 퇴정하며 김형두 등 '쓰담'…선고 직후 희비 엇갈린 재판정 랭크뉴스 2025.04.04
43938 베트남 상호관세 46%에… 한국의 對아세안 수출도 ‘흔들’ 랭크뉴스 2025.04.04
43937 [속보] 美, 尹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한 대행과 협력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936 조기 대선 시작… 민주주의 회복 후 대한민국 선장 누가되나 랭크뉴스 2025.04.04
43935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04
43934 ‘각하’ 결정 고집한 윤석열···그러나 헌재는 “모든 절차 적법”[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933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인명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932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30여분만에 큰 불길 잡혀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