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대 은행 예대금리차, 7개월 연속 확대
예금금리 내릴 동안 대출가산금리 올려
“대출총량규제 부작용…가계소비력 악화”

그래픽=조선DB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평균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가 관련 통계 발표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들은 예·적금금리를 즉각 내린 반면, 대출금리 인하 앞에선 주저하는 중이다. 이런 현상은 가계대출 총량규제의 부작용으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높게 설정할 명분을 쥐면서도 예·적금금리 인하 경쟁이 약해진 데서 비롯됐다.

1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지난 2월 5대 은행의 정책금융 제외 가계예대금리차 평균은 1.38%포인트다. 이는 은행연합회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고 발표한 2022년 7월 이후 가장 큰 격차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 벌어지는 중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NH농협은행이 1.47%포인트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신한·하나은행이 1.4%포인트, KB국민은행은 1.33%포인트를 기록했다. 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는 1.3%포인트로 5대 은행 중 가장 낮았다.

가계예대금리차란 각 은행의 가계대출금리에서 수신금리를 뺀 수치를 말한다. 이때 가계대출상품 중 햇살론·사잇돌 대출 등 저소득층 대상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가계대출상품만을 금리 기준으로 삼는다. 정책금융상품은 정부와 은행이 함께 재원을 마련하고 상품 이용 소비자도 한정돼 있기에 일반 대출상품보다 금리가 낮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정책금융 제외 가계예대금리차는 다수의 금융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예대금리차를 나타내는 지표다.

그래픽=정서희

최근 예대금리차가 계속 벌어지는 이유는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빠르게 내리면서도 대출금리는 천천히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과거보다 높게 책정해 대출금리 인하를 늦추고 있다. 5대 은행의 1년 기준 가계예금금리 평균치는 지난해 9월 3.374%에서 올해 2월 2.97%로 하락했다. 반면 이 기간 가산금리 평균치는 3.088%에서 3.118%로 소폭 상승했다.

특히 가계대출 총량규제가 예대금리차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하반기 금융 당국이 은행권 가계대출 총량규제를 조이자, 은행들이 가장 먼저 선택한 방법은 대출금리를 올려 대출 문턱을 높이는 것이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꾸준히 대출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메시지를 내놓고 있으나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높인 뒤 예전 수준으로 되돌리지 않고 있다.

대출 총량과 맞닿아 있는 예대율 규제는 수신금리 경쟁 실종으로 이어졌다. 은행은 대출총량만큼 예금을 보유해야 한다. 대출총량을 자유롭게 늘리는 상황이면 예금을 더 확보해야 하므로 수신금리를 경쟁적으로 낮춘다. 반면 대출이 증가하지 않을 땐 은행이 예금을 구태여 유치해야 할 이유가 없어진다. 그렇기에 지금처럼 대출 총량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 속, 은행들은 자연스럽게 수신금리 경쟁에서 발을 빼 이자로 나가는 비용을 줄인다.

전문가들은 예대금리차 확대 현상이 오래 이어지면 나중엔 가계소비력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단기 성과에 치중한 가계대출 총량규제의 부작용이다”라며 “은행 입장에선 금융 당국에 의해 대출 공급은 제한돼 있고 소비자들의 대출 수요는 여전히 높으니, 대출금리를 적극적으로 낮추려 들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예대금리차는 일차적으로 금융 소비자 후생을 악화시키고, 결국엔 가계 금융 비용 증가로 전반적인 소비 여력을 떨어뜨린다”고 우려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36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535 이준석 "탄핵선고 결과에 이변 없을 것"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2
47534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랭크뉴스 2025.04.02
47533 [속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 3개월 연속 2%대 상승 랭크뉴스 2025.04.02
47532 탄핵선고 D-2…헌재 인근 밤샘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랭크뉴스 2025.04.02
47531 [속보] 3월 소비자 물가 2.1% 올라… 석 달째 2%대 상승세 랭크뉴스 2025.04.02
47530 [속보] 3월 소비자물가 2.1% 상승…석달째 2%대 랭크뉴스 2025.04.02
47529 헬기도 못 끈 '좀비불씨' 잡았다…천왕봉 지켜낸 '7.5억 벤츠' 랭크뉴스 2025.04.02
47528 낸드 값 또 10% 올라…메모리 바닥 찍었나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02
47527 가벼운 뇌진탕?…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 랭크뉴스 2025.04.02
47526 또 백만 달러 수표 꺼내든 머스크…판사를 투표로 뽑는다?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4.02
47525 아버지를 안치실에 하루 더… "장사시설 부족 해결책 없나요?" [長靑年, 늘 푸른 마음] 랭크뉴스 2025.04.02
47524 애니팡 따라 창업했다가 폐업… “비싸고 맛없는 와인, 꼭 나 같았죠” 랭크뉴스 2025.04.02
47523 회계 부실 처리에 허위 서명까지…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감사 적발 랭크뉴스 2025.04.02
47522 폭싹 속았수다? “이제 시작” 아흔넷 할머니가 들려주는 ‘그림책 도전기’ 랭크뉴스 2025.04.02
47521 트럼프, 내일 ‘상호 관세’ 연설…“발표 즉시 발효” 랭크뉴스 2025.04.02
47520 "마지막 기회"…압구정 신현대 92억·현대 1차 92억 줄줄이 신고가 [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2
47519 하루 10원도 벌면 좋다… 고물가 시대 ‘앱테크족’ 모십니다 랭크뉴스 2025.04.02
47518 '20석' 방청석에 8만 명 몰려‥"생중계도 허용" 랭크뉴스 2025.04.02
47517 [르포] 강원 고성산불 피해지 복원 30년…생태 안정까지 70년 더 걸린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