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년 9월 1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한 한덕수 총리는 야당 의원들과 설전을 벌였습니다. 당시 8개월째 지속되고 있던 의료 대란이 설전의 주제였습니다. 야당 의석에서 "국민들이 죽어 나가지 않느냐"는 질타가 나오자, 한 총리는 "그것은 가짜뉴스"라며 "어디에 죽어 나가냐?"고 언성을 높였습니다.

의료 대란은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환자들의 피해도 구체적인 통계로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죽어 나간다는 말이 '가짜뉴스'였을까요?

■ 의료 공백 기간 '암 수술' 한 달 이상 대기 8.9%P 늘어
의료 대란이 시작된 시점은 2024년 2월입니다. 같은 해 주요 암 7종 수술 환자가 진단부터 수술까지 대기한 기간을 분석한 결과 평균 대기 기간이 43.2일로 의료 공백 이전인 2023년에 비해 5.3일 늘었습니다.

주요 암 7종 수술 환자 가운데 대기 기간이 한 달을 넘긴 환자의 비율이 2024년에는 49.6%로, 2023년 37.9%에 비해 8.9%P 늘었습니다. 암 수술 환자가 몰리는 상급종합병원으로 한정하면 10%P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암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수술입니다. 전문가들은 진단 이후 수술까지 한 달 이상 걸릴 경우 사망 위험이 최대 2배 높아진다고 지적합니다.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는 "하위-중위 병원에서 1개월 이상 수술을 기다린 환자는 상위 병원에서 1개월 이내 수술을 받은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위암은 1.96배, 대장암 1.87배, 직장암 2.15배, 췌장암 1.78배, 폐암 2.21배, 유방암 3.8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습니다.

■ '유방암' 수술 지연 비율 가장 높아...위암·두경부암·대장암 순
암종별로는 유방암 환자들 가운데 한 달 이상 대기한 환자들의 비율이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2024년 57.8%로, 전년 대비 9.7%P가 늘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수술까지 한 달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는 겁니다. 위암의 경우 한 달 이상 대기 환자의 비율은 43.4%, 두경부암 40.5%, 대장암 39.6%로 대부분 의료 대란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의료 공백 기간 암 수술 환자들의 피해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가운데는 수술 지연으로 결국 사망에 이른 환자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계 이면에는 환자와 그 가족들의 불안과 고통, 슬픔이 숨어 있습니다.

■초과 사망자 3,136명까지...이래도 가짜뉴스?
앞서 2024년 2월부터 7월까지 3,136명의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분석도 나온 바 있습니다. 의료 대란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은 환자들의 피해가 지금 이 순간에도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래도 의료 대란으로 국민들이 죽어 나가는 것은 가짜뉴스라고 호통을 칠 수 있을까요. 6개월 전 그 호통의 당사자였던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제 국정의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 권한대행입니다. 여전히 같은 생각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픽 : 조은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494 20층 높이 치솟은 거대 불기둥…말레이 가스관 폭발, 110여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01
42493 "이러다 마을 사라질라"… 화마 휩쓴 텅 빈 마을엔 매캐한 냄새만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1
42492 미, 한국 플랫폼 규제를 ‘무역장벽’ 적시…미 빅테크 ‘민원’ 반영 랭크뉴스 2025.04.01
42491 故 장제원 아들 노엘 "내가 무너질 일은 없어…사랑한다, 다들" 랭크뉴스 2025.04.01
42490 "향후 30년, 30만 명 희생된다"…'발생 확률 80%' 재앙 예고한 日 랭크뉴스 2025.04.01
42489 尹 탄핵 선고 시점 예측 적중한 보수 논객... "헌재, 이미 8 대 0 합의 마쳐" 랭크뉴스 2025.04.01
42488 관례상 요지 먼저 설명하면 전원일치…박근혜 땐 22분·노무현 땐 26분 ‘낭독’ 랭크뉴스 2025.04.01
42487 “어떤 국가도 예외 없다”…전 세계 강타하는 트럼프 관세폭풍 랭크뉴스 2025.04.01
42486 르펜 ‘대권 제동’…프랑스 ‘요동’ 랭크뉴스 2025.04.01
42485 최태원 SK 회장 “더 큰 사회적 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2484 위기의 애경그룹…뿌리 ‘애경산업’  시장에 내놓는다 랭크뉴스 2025.04.01
42483 헌재, 사실상 결론 정해‥헌법학자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2482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일 11시 선고…생중계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2481 용산 “차분하게 결정 기다릴 것”… 尹 직접 헌재 대심판정 나가나 랭크뉴스 2025.04.01
42480 생후 52일 신생아 두고 5시간 집 비운 엄마, 아기는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01
42479 이재명 “대한민국 저력 전세계에 증명하자” 윤석열 파면 서명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2478 산불에 “할머니” 외치고 업고 뛴 외국인…장기체류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2477 말레이 쿠알라룸푸르 인근서 가스관 폭발… 최소 112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01
42476 법무부, 산불 덮친 영덕에서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에 장기거주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2475 尹 탄핵 선고일 방청 신청 폭주 중… 20석에 9만명 넘게 몰려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