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스템 오류라며 기다려달라더니
최형목 대표 “인수·합병 신속 추진”
“티메프 때도 이렇게 시간끌기”
이커머스 미정산 ‘포비아’ 분위기도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입점사들 사이에서는 판매대금 정산이 일부 지급되지 않으면서 발란이 몰래 법정관리를 준비 중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는데, 일주일 만에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판매자들은 ‘제2의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라며 불안에 떨고 있다.

발란은 31일 최형록 대표 명의로 입점업체들에 공지를 보내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올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면서 “파트너들(입점사)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회생을 신청하게 됐다”고 했다.

다만 최 대표는 “발란의 회생절차는 타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3월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는 것이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으로, 입점사는 1300여개에 달한다. 현재 미정산 대금은 13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표는 “회생절차를 통해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된다면 빠르게 정상화될 수 있다”며 “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목표로 빠르게 추진 중”이라고도 밝혔다.

이를 위해 이번주 중 매각 주관사를 지정할 방침이라고 했다. 최 대표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해 사업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일 것”이라며 “인수자 유치로 파트너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생은 채권자를 버리는 절차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라면서 “앞서 예고한 (입점사) 미팅 일정은 별도 안내할 예정이며 지속적으로 상황을 공유하고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자는 바로 파트너 여러분”이라며 여러차례 입점사 달래기에 나섰지만, 입점사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판매자 800여명이 모인 오픈채팅방에는 “대금 정산이 지연된 지난 24일부터 발란의 모든 공지가 거짓말이었다” “시간 끄는 게 티메프 때와 똑같다”는 등의 격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발란은 미정산 사태가 발생하자 정산금 과다지급 등의 오류가 발견됐다며 28일까지 파트너사별 확정 정산 금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28일이 되자 다시 공지를 보내 구체적 정산 계획 없이 “조금만 기다려달라. 다음주부터 대면 소통을 시작으로 실질적인 변화와 해결을 함께 만들어가겠다”고만 했다.

이 과정에서 판매자들 사이에서는 발란 컴퓨터에서 기업회생 절차 관련 서류 파일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발란 직원들은 지난 26일부터 모두 재택근무 중이다.

지난해 대규모 정산·환불 지연 사태를 초래한 티메프도 당초 정산 지연이 발생하자 시스템 오류라고 했다가 대규모 미정산 사태가 터졌다. 일각에서는 티메프와 발란으로 이어지는 불신이 e커머스 ‘미정산 포비아(공포)’로 확산할 수 있다고 있다고도 우려한다. 발란의 한 판매자는 “티메프 때도 1원도 못 받았다. 다른 플랫폼에 입점하려고 해도 또 미정산될까봐 무서워서 못하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00 “계엄 당시 1만 국민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與 “허위 발언 법적 조치” 랭크뉴스 2025.04.04
43499 천대엽 법원행정처장 “이재명 무죄 파기자판 쉽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04
43498 기아, 다목적 활용 ‘PV5’ 첫선…LG와 협업 ‘차크닉카’ 등 눈길 랭크뉴스 2025.04.04
43497 전국 경찰 '갑호비상' 발령…서울에 기동대 1만4000명 배치 랭크뉴스 2025.04.04
43496 ‘이 관세면 美에 2차 물가파동’…월가기관 스태그플레이션 전망 강화 랭크뉴스 2025.04.04
43495 美 상호관세에 비트코인 5% 하락… 8만2000달러대 랭크뉴스 2025.04.04
43494 尹 탄핵 심판 선고일 밝았다… 경찰, 갑호비상 발령해 '총력 대응' 랭크뉴스 2025.04.04
43493 이재명 '계엄 학살 계획' 주장에…與 "법적조치" 野 "증거 있다" 랭크뉴스 2025.04.04
43492 '트럼프 관세' 직격탄 맞은 빅테크 주가 급락…애플 9%↓ 랭크뉴스 2025.04.04
43491 한덕수 “즉시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추진…대미 협상 총력” 랭크뉴스 2025.04.04
43490 경찰, 전국 ‘갑호비상’ 발령… 서울 기동대 1만4000명 배치 랭크뉴스 2025.04.04
43489 오늘,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04
43488 [사설] 최악의 상호관세 폭탄 맞은 한국경제, 격랑 헤쳐 나가야 랭크뉴스 2025.04.04
43487 헌재·한남동 시위 초비상…수십만명 집결 예고 랭크뉴스 2025.04.04
43486 오늘 서울 전역 비상 경계…경찰 “불법 무관용” 재차 강조 랭크뉴스 2025.04.04
43485 노벨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완전히 미쳤다” 미 상호관세 격한 비판 랭크뉴스 2025.04.04
43484 111일 극한의 여정… 최후 보루, 최후 선택은 랭크뉴스 2025.04.04
43483 최태원 “중국, AI도 제조업도 한국 앞서가…못 쫓아갈 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3482 美부통령 '상호관세發 인플레 우려'에 "하룻밤에 다 해결 안돼" 랭크뉴스 2025.04.04
43481 의협 “박단, 복학생 비난 부적절”…또다시 내부갈등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