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총수인 김승연 회장이 지주사 격인 ㈜한화 보유 지분의 절반(11.32%)을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가 경영권 승계와 관련됐다는 오해를 ‘정면돌파’ 하겠다는 의미라고 한화는 설명했다. 증여가 완료되면 김 회장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화의 실질적 개인 최대주주로서 그룹을 지배한다.
㈜한화는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11.32%를 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증여 후 ㈜한화 지분율은 김 회장 11.33%, 김 부회장 9.77%, 김 사장 5.37%, 김 부사장 5.37로 바뀐다. 3형제가 지분 100%를 보유한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은 22.16% 그대로다.
특히, 김 부회장이 50%를 갖고, 차남·삼남이 각각 25%씩 보유한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을 합쳐서 환산할 경우, 김 부회장의 지분율은 20.85%로 늘어나 ㈜한화의 개인 최대 주주가 된다. 김 회장은 회장직을 유지하며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한화 측은 최근 유상증자 관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증여라는 정공법을 택했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밝혔으나, 금융감독원이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시장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직전 한화임팩트·한화에너지의 한화오션 지분 1조3000억원어치(7.3%)를 매입한 것을 두고 총수 일가의 승계를 위해 일반 주주 이익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당초 재계에서는 한화가 승계 비용 최소화를 위해 ㈜한화와 한화에너지 간 합병 등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 관계자는 “이번 증여로 ‘㈜한화와 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오해가 바로 잡히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증여로 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정확한 과세기준 가격은 증여 한 달 후인 4월 30일 전후 각각 2개월 평균 주가로 결정된다. 3형제는 5년간 증여세를 분할 납부할 계획이다.
㈜한화는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 중 11.32%를 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증여 후 ㈜한화 지분율은 김 회장 11.33%, 김 부회장 9.77%, 김 사장 5.37%, 김 부사장 5.37로 바뀐다. 3형제가 지분 100%를 보유한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은 22.16% 그대로다.
박경민 기자
한화 측은 “이번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 승계가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증여 전 ㈜한화 지분은 김 회장 > 한화에너지 > 세 아들(합계 9.19%) 순이었는데, 이제 한화에너지 > 세 아들(20.51%) > 김 회장 순이 됐다. 앞으로 3형제의 책임경영이 더 강화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김 부회장이 50%를 갖고, 차남·삼남이 각각 25%씩 보유한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을 합쳐서 환산할 경우, 김 부회장의 지분율은 20.85%로 늘어나 ㈜한화의 개인 최대 주주가 된다. 김 회장은 회장직을 유지하며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한화 측은 최근 유상증자 관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증여라는 정공법을 택했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밝혔으나, 금융감독원이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시장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 직전 한화임팩트·한화에너지의 한화오션 지분 1조3000억원어치(7.3%)를 매입한 것을 두고 총수 일가의 승계를 위해 일반 주주 이익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당초 재계에서는 한화가 승계 비용 최소화를 위해 ㈜한화와 한화에너지 간 합병 등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 관계자는 “이번 증여로 ‘㈜한화와 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오해가 바로 잡히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증여로 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정확한 과세기준 가격은 증여 한 달 후인 4월 30일 전후 각각 2개월 평균 주가로 결정된다. 3형제는 5년간 증여세를 분할 납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