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국회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선출을 두고 여야가 이견을 보여 재판관 자리가 공석으로 유지된 전례가 없었던 건 아닙니다.

하지만 국회에서 선출을 했는데도 일부러 임명하지 않고 있는 지금 같은 상황은, 헌정사상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13년 전 당시 헌법재판소장은 공개서한을 통해 재판관 1명의 빈자리가 얼마나 무거운 의미인지 설명했는데,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유서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2012년, 이강국 당시 헌법재판소장은 헌법재판관 선출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박희태 국회의장에게 보냈습니다.

당시 헌재는 조대현 재판관 퇴임 이후 8개월째 1명 자리가 비어 있던 상태로, 여당인 새누리당 반대로 국회 선출 논의마저 공전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전 소장은 "국회가 재판관 중 3인을 선출하는 건 국회의 헌법상 권한인 동시에 의무이며 국민에 대한 책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재판관 공석이라는 위헌적 상태의 장기화를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특히 재판관 1명의 공석은, 단순히 자리 하나가 비어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헌재 결정은 재판관 9인의 치열한 논의를 거쳐 도출되는 것"이라며 "재판관 각자가 9분의 1 이상의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겁니다.

또 "재판관 1인의 공석은 심판 결과를 왜곡시킬 수도 있어 국민 기본권을 보장하고 헌법 가치를 수호해야 하는 헌재의 업무 수행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고 걱정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버티는 지금, 13년 전 헌재 소장의 서신은 의미하는 바가 큽니다.

4월 18일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퇴임을 앞두고 헌재의 기능 마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선택 교수/헌정회복을 위한 헌법학자회의 공동대표]
"6명이면 이미 무력화된 거잖아요. 우리가 4월 18일 되면 무력화된다고 말하잖아요. (미임명한 때) 이미 무력화된 거예요."

헌법학자 100여 명이 모인 헌법학자회의, 전국 법학교수와 변호사, 노무사, 연구자 등 1천여 명, 그리고 민변 등 마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는 법률가들의 시국선언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MBC뉴스 유서영입니다.

영상편집 : 이화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77 내가 받는 국민연금 얼마? 소득대체율 43%는 현실서 불가능하다 랭크뉴스 2025.04.02
47476 인용일까 기각일까... 尹 탄핵심판 '8:0, 6:2, 4:4' 시나리오 랭크뉴스 2025.04.02
47475 尹탄핵심판 선고까지 D-2…재판관들 결정문 작성 매진 랭크뉴스 2025.04.02
47474 美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20% 단일세율안 유력? 랭크뉴스 2025.04.02
47473 여야, 여의도 비상대기령…“어떤 결론 나올지 모른다” 긴장 랭크뉴스 2025.04.02
47472 한미 외교차관 통화…'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美의지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2
47471 美, 英 '표현의 자유'에 우려 표시…"무역협상에 연계" 보도도 랭크뉴스 2025.04.02
47470 경찰에 "사람 죽었다, 칼 든 거 봤다" 거짓 신고한 50대男, 결국 랭크뉴스 2025.04.02
47469 전국 의대생 96.9% 복귀 완료…인제의대 370명은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2
47468 러, 美 우크라 해법에 불만…"근본 원인 다루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02
47467 위기의 애경그룹, 핵심 계열사 애경산업 판다 랭크뉴스 2025.04.02
47466 리투아니아서 실종된 미군 4명 모두 사망 랭크뉴스 2025.04.02
47465 EU, 국방비 조달 '영끌'…'경제격차 해소' 예산도 활용 추진 랭크뉴스 2025.04.02
47464 美합참의장 후보자 "미군 주둔 美전략이익 맞춰 평가할 것" 랭크뉴스 2025.04.02
47463 오픈AI, 챗GPT 가입자 5억명 돌파…3개월만에 30% 이상 늘어 랭크뉴스 2025.04.02
47462 尹, 朴과 달리 8차례 직접 출석해 변론… 더 격해진 반탄·찬탄 랭크뉴스 2025.04.02
47461 "이렇게 모였네"…김부겸 부친상서 이재명·김부겸·김동연 '한자리' 랭크뉴스 2025.04.02
47460 산불에 노인들 업고 뛴 외국인… 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459 강의실·도서관에 의대생 발길… 교육부 “복귀율 96.9%” 랭크뉴스 2025.04.02
47458 교육부 "의대생 복귀율 96.9%…인제대 370명은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