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울산대·고려대 등 당분간 온라인 수업…상황 보며 대면 전환
'수업 참여' 복귀생의 익명성 보장 차원…"출석체크 호명 않기도"


서울대 의대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고상민 김잔디 권지현 기자 = 전국 40개 의대 중 절반가량의 의대생이 31일 '전원 복귀'하면서 1년 넘게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정상화할지 주목된다.

의대생 전원이 등록을 마친 이들 외에 다른 대학에서도 적지 않은 학생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는 만큼 의대 학사일정이 비로소 본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감지된다.

일단 전국 의대들은 이날부터 복귀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곧장 대면 수업을 강행하기보다는 주로 온라인 수업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이날부터 본격화한 의대별 수업 현황을 보면 우선 서울대는 앞으로 1∼2주간은 온라인 수업을 한다.

서울대는 지난 26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31일부터 첫 1∼2주간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예정"이라며 "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를 확인해달라"고 안내했다.

울산대와 고려대, 한림대도 온라인 수업부터 시작했다.

경희대는 그간 온라인 수업을 해왔으며 25학번 신입생과 복학생을 대상으로 다음 달 3일까지 수강신청을 받는다.

경희대는 등록 마감 시한이 임박한 지난 27일 학부모 간담회를 열어 "24·25학번을 위해 110명씩 들어가는 강의실을 만들었다"며 "두 개 반을 한 교수가 강의하고 다른 반에서 미러링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국 의대 가운데 가장 먼저 '전원 복귀' 소식을 알린 연세대(서울)는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다.

이화여대는 조만간 개강 날짜를 정하고 대면수업을 할 방침이다.

거점국립대인 경북대는 "지난 21일 복학원 접수를 마감한 뒤부터 이날까지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학사를 운영했다"며 "이제 전원 복학이 이뤄진 만큼 학사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대면 전환을 검토하는 대학도 있으나 여전히 많은 대학이 온라인 수업으로 첫발을 뗀 것은 무엇보다 '미등록 투쟁'을 주장해 온 일부 강경파 학생들로부터 복귀생 신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이 복귀생 신상 보호를 위해 온라인 수업 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안다"며 "많은 학생이 복귀한 만큼 예전의 집단 따돌림 같은 과격한 행동은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일부 대학의 경우 학생회 차원에서 '등록은 하되 수업 거부' 방침을 정했던 터라 당분간은 익명이 보장되는 온라인 수업으로 실제 참여율을 끌어올리겠다는 판단으로도 보인다.

교육계 관계자는 "대학들로선 우여곡절 끝에 학생들을 복귀시킨 만큼 어떻게든 수업 정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일부 학교에선 당분간 출석을 체크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는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조건으로 '전원 복귀'를 내건 것과 무관치 않다.

단순히 등록률이 아닌 수업 참여율을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 내년도 모집인원을 정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교육부의 공식 입장은 복귀율(에 대한 판단)이나 의대 모집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18 “왜 이리 느리지”… ‘지브리 프사’ 인기에 몸살 난 챗GPT 랭크뉴스 2025.04.02
47717 [단독] 발전사 탄소배출 비용 3배로 늘린다… 지역난방업계 '반발' 랭크뉴스 2025.04.02
47716 코로나19 백신 피해 보상 특별법·의사추계위법,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15 “팔레스타인 지지했나?”…美, 학생 비자 신청자 ‘SNS 사찰’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7714 장제원 빈소 찾은 정진석 "尹 '가슴 아프다' 여러번 말씀하셨다" 랭크뉴스 2025.04.02
47713 부친에게 30억 빌려 47억 아파트 산 30대… 국토부 “증여 의심” 랭크뉴스 2025.04.02
47712 "尹 파면, 결론은 내렸다"‥"기각되면 MBC 출연 마지막?" [맞수다] 랭크뉴스 2025.04.02
47711 [마켓뷰] 美 상호관세 앞두고 외국인 자금 ‘썰물’… 코스피·코스닥↓ 랭크뉴스 2025.04.02
47710 尹 탄핵 방청 경쟁률 ‘3550대 1′… 역대 최고 기록 랭크뉴스 2025.04.02
47709 [속보] ‘헌법재판소 재판관 마은혁 임명촉구 결의안’, 야당 주도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08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국힘 요구에 “그건 윤석열이 해야” 랭크뉴스 2025.04.02
47707 故 장제원 전 의원 빈소 조문 행렬… “윤 대통령, ‘가슴 아프다’ 말해” 랭크뉴스 2025.04.02
47706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겁니다", 질문에 프레임 있다는 듯‥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2
47705 "배달음식 시켜 먹었다가 그만"…팔팔 끓여도 안 죽는 '이 식중독균' 비상 랭크뉴스 2025.04.02
47704 "김수현 기자회견은 '맹탕', 재기 불가능"... '명예훼손 전문' 변호사의 평가 랭크뉴스 2025.04.02
47703 "직관 못 가겠어요"…사망사고에 야구팬, 불안 호소·트럭 시위(종합) 랭크뉴스 2025.04.02
47702 스포츠마사지 받던 40대男 사망…"지병 없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2
47701 유튜브 정치뉴스 보던 할아버지, 이러다 쇼핑왕 되겠네 랭크뉴스 2025.04.02
47700 "尹선고날 '뚱뚱한 패딩' 보이면 무조건 피하라"…경찰의 당부,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99 경북 산불 사망자 27명으로 늘어... 중상자 3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