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울산대·고려대 등 당분간 온라인 수업…상황 보며 대면 전환
'수업 참여' 복귀생의 익명성 보장 차원…"출석체크 호명 않기도"


서울대 의대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고상민 김잔디 권지현 기자 = 전국 40개 의대 중 절반가량의 의대생이 31일 '전원 복귀'하면서 1년 넘게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정상화할지 주목된다.

의대생 전원이 등록을 마친 이들 외에 다른 대학에서도 적지 않은 학생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는 만큼 의대 학사일정이 비로소 본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감지된다.

일단 전국 의대들은 이날부터 복귀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곧장 대면 수업을 강행하기보다는 주로 온라인 수업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이날부터 본격화한 의대별 수업 현황을 보면 우선 서울대는 앞으로 1∼2주간은 온라인 수업을 한다.

서울대는 지난 26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31일부터 첫 1∼2주간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예정"이라며 "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를 확인해달라"고 안내했다.

울산대와 고려대, 한림대도 온라인 수업부터 시작했다.

경희대는 그간 온라인 수업을 해왔으며 25학번 신입생과 복학생을 대상으로 다음 달 3일까지 수강신청을 받는다.

경희대는 등록 마감 시한이 임박한 지난 27일 학부모 간담회를 열어 "24·25학번을 위해 110명씩 들어가는 강의실을 만들었다"며 "두 개 반을 한 교수가 강의하고 다른 반에서 미러링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국 의대 가운데 가장 먼저 '전원 복귀' 소식을 알린 연세대(서울)는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다.

이화여대는 조만간 개강 날짜를 정하고 대면수업을 할 방침이다.

거점국립대인 경북대는 "지난 21일 복학원 접수를 마감한 뒤부터 이날까지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학사를 운영했다"며 "이제 전원 복학이 이뤄진 만큼 학사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대면 전환을 검토하는 대학도 있으나 여전히 많은 대학이 온라인 수업으로 첫발을 뗀 것은 무엇보다 '미등록 투쟁'을 주장해 온 일부 강경파 학생들로부터 복귀생 신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이 복귀생 신상 보호를 위해 온라인 수업 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안다"며 "많은 학생이 복귀한 만큼 예전의 집단 따돌림 같은 과격한 행동은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일부 대학의 경우 학생회 차원에서 '등록은 하되 수업 거부' 방침을 정했던 터라 당분간은 익명이 보장되는 온라인 수업으로 실제 참여율을 끌어올리겠다는 판단으로도 보인다.

교육계 관계자는 "대학들로선 우여곡절 끝에 학생들을 복귀시킨 만큼 어떻게든 수업 정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일부 학교에선 당분간 출석을 체크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는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조건으로 '전원 복귀'를 내건 것과 무관치 않다.

단순히 등록률이 아닌 수업 참여율을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 내년도 모집인원을 정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교육부의 공식 입장은 복귀율(에 대한 판단)이나 의대 모집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35 [속보] 뉴욕증시, 하루만에 시총 3.1조달러 증발…팬데믹 이후 최대 랭크뉴스 2025.04.04
43534 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랭크뉴스 2025.04.04
43533 ‘무노동 무임금’ 비웃는 기업은행·신보·캠코… ‘정직’ 직원에 여전히 보수 지급 랭크뉴스 2025.04.04
43532 주먹구구식 관세…美, 韓 상호관세율 결국 26%→25% 재조정 랭크뉴스 2025.04.04
43531 [속보] 트럼프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530 헌재의 주사위 던져졌다…尹, 복귀냐 파면이냐 랭크뉴스 2025.04.04
43529 주왕산 덮친 불길 막아 세웠다…'최후 방어선' 뒤엔 이 나무 랭크뉴스 2025.04.04
43528 美서 애플 아이폰 333만원?…"트럼프 관세 시행되면 현실될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3527 "쌤, 대통령이 잘려요?" 학교서 탄핵심판 생중계··· 교사들 "필요하지만 고민 많아" 랭크뉴스 2025.04.04
43526 관저서 '운명의 날' 맞은 尹…긴장감 감도는 용산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4.04
43525 111일 간의 장고…헌재 尹 탄핵 오늘 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3524 [단독]"열사? 투사? 폭력 절대 안돼" 朴파면날 숨진 시위자 유족 랭크뉴스 2025.04.04
43523 [사설] 위대한 승복 랭크뉴스 2025.04.04
43522 [단독]LH 매입임대주택 늘린다더니 취약계층 물량은 10%도 안돼 랭크뉴스 2025.04.04
43521 尹 선고 뜨거운 관심... "직장 회의실 모여 스크린으로 생중계 시청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520 尹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운명의 날' 정국 격랑 예고 랭크뉴스 2025.04.04
43519 尹대통령 정치적 운명, 오늘 헌재 판가름…11시 탄핵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3518 4개월간 고심한 尹탄핵심판…마지막 결론만 남긴 헌재 랭크뉴스 2025.04.04
43517 이재명 "계엄에 국민 1만명 학살 계획"…尹선고 전날 이런 주장 랭크뉴스 2025.04.04
43516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 초가집 2채 지붕 불…70대 주민 부상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