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울산대·고려대 등 당분간 온라인 수업…상황 보며 대면 전환
'수업 참여' 복귀생의 익명성 보장 차원…"출석체크 호명 않기도"


서울대 의대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고상민 김잔디 권지현 기자 = 전국 40개 의대 중 절반가량의 의대생이 31일 '전원 복귀'하면서 1년 넘게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정상화할지 주목된다.

의대생 전원이 등록을 마친 이들 외에 다른 대학에서도 적지 않은 학생들이 속속 복귀하고 있는 만큼 의대 학사일정이 비로소 본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감지된다.

일단 전국 의대들은 이날부터 복귀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곧장 대면 수업을 강행하기보다는 주로 온라인 수업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이날부터 본격화한 의대별 수업 현황을 보면 우선 서울대는 앞으로 1∼2주간은 온라인 수업을 한다.

서울대는 지난 26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31일부터 첫 1∼2주간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예정"이라며 "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를 확인해달라"고 안내했다.

울산대와 고려대, 한림대도 온라인 수업부터 시작했다.

경희대는 그간 온라인 수업을 해왔으며 25학번 신입생과 복학생을 대상으로 다음 달 3일까지 수강신청을 받는다.

경희대는 등록 마감 시한이 임박한 지난 27일 학부모 간담회를 열어 "24·25학번을 위해 110명씩 들어가는 강의실을 만들었다"며 "두 개 반을 한 교수가 강의하고 다른 반에서 미러링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국 의대 가운데 가장 먼저 '전원 복귀' 소식을 알린 연세대(서울)는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다.

이화여대는 조만간 개강 날짜를 정하고 대면수업을 할 방침이다.

거점국립대인 경북대는 "지난 21일 복학원 접수를 마감한 뒤부터 이날까지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학사를 운영했다"며 "이제 전원 복학이 이뤄진 만큼 학사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대면 전환을 검토하는 대학도 있으나 여전히 많은 대학이 온라인 수업으로 첫발을 뗀 것은 무엇보다 '미등록 투쟁'을 주장해 온 일부 강경파 학생들로부터 복귀생 신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이 복귀생 신상 보호를 위해 온라인 수업 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안다"며 "많은 학생이 복귀한 만큼 예전의 집단 따돌림 같은 과격한 행동은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일부 대학의 경우 학생회 차원에서 '등록은 하되 수업 거부' 방침을 정했던 터라 당분간은 익명이 보장되는 온라인 수업으로 실제 참여율을 끌어올리겠다는 판단으로도 보인다.

교육계 관계자는 "대학들로선 우여곡절 끝에 학생들을 복귀시킨 만큼 어떻게든 수업 정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일부 학교에선 당분간 출석을 체크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는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조건으로 '전원 복귀'를 내건 것과 무관치 않다.

단순히 등록률이 아닌 수업 참여율을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 내년도 모집인원을 정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교육부의 공식 입장은 복귀율(에 대한 판단)이나 의대 모집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4 '개인빚 역대 최고' 1인당 가계대출 9,600만원···40대 평균 대출잔액 1억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3 "직 걸겠다"던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금융위원장이 만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2 [속보] 韓대행 "헌재 어떤 결정도 받아들여야…폭력엔 무관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1 [속보] 한 대행 “헌재 결정, 법치주의 원칙 따라 차분히 받아들여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0 EU, 폐차 담합 제조사 15곳 7천억대 과징금…현대차·기아도 190억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9 이복현 "최근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시…상법 거부권 행사는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8 3월 물가 2.1%↑…석달째 2%대에 가공식품·공공서비스 '들썩'(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7 “상법 개정안에 직 걸겠다”던 이복현, 한덕수 거부권에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6 [속보]韓, 尹선고 이틀 앞두고 "사회통합 책임 보여달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5 韓대행 "어떤 헌재결정도 받아들여야…정치인들 자극발언 삼가달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4 “이걸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요?”…헌재 주변 학생들의 질문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3 탄핵심판 선고 D-2, 尹 측 “대통령 출석 여부 아직 결정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2 [속보] 이복현, 금융위원장에게 사의 표명…일단 반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1 ‘상법 반대’ 최태원 저격한 이복현 “SK이노 합병, 주주 목소리 들었어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0 수원 길거리에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오피스텔서 추락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49 “엄마 가게 살리자!” 자녀들이 나섰다…이게 지금, 자영업 현실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48 가격인상 도미노에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3% 훌쩍 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47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46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45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new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