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한덕수에 “만나자” 연락했지만 실패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 둘째),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 둘째)가 31일 오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여야 원내대표단이 31일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 본회의 일정을 논의하기 위해 세 차례나 만났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소추를 시도하기 위해 본회의 일정을 무리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본다. 반면 민주당은 산불피해 대책 등을 살피기 위한 긴급현안질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추가경정예산(추경)안과 관련해서도 규모와 논의 방식 등을 놓고 견해차를 드러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한 권한대행에게 여러 차례 회동을 제안했지만 이 또한 성사되지 못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우 의장 주재로 오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논의를 이어갔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첫 번째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 정부에서 주장하는 추경에 대한 논의와 산불피해 대책, 외교적으로는 민감국가 문제, 최 부총리가 경제위기 시에도 미국 국채를 사는 태도에 대한 문제, 더 나아가 헌정질서가 유린되는 문제 등이 큰 현안”이라며 “(회동에서) 4월1일부터 상시 본회의를 열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의장에게 드렸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와 관련해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다음달 1일부터 4일까지 본회의를 개최하는 의사 일정을 국민의힘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의결했다. 2일부터 4일까지는 본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을 하자고 주장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3월 임시회는 4월3일까지이고, 지난달 27일 열기로 한 본회의가 산불 때문에 순연됐으니 3일 본회의를 열고 그 이후 4월 임시국회 일정을 합의하면서 필요하다면 긴급현안질문을 하루 정도는 할 수 있다고 의장에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한 권한대행과 최 부총리 탄핵소추 일정을 잡기 위해 매일 본회의를 열자고 주장한다고 본다. 국민의힘은 4월 4일과 7일, 8일 대정부질문을 하자고 역제안했고, 민주당은 1일 이를 논의하기로 했다.

추경을 놓고도 여야는 충돌했다. 박성준 원내수석은 “우리는 10조원이 너무 부족하다고 한 것이고, 그런 것들을 현안질의를 통해 그런 것들을 알려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정책위원회도 이날 정부의 10조원 규모 추경 추진 방침에 유감을 표명하며 충분한 규모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하라고 재차 요구했다.

박형수 원내수석은 이에 “추경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서 논의할 것도 아니고 논의된 바도 없다”며 “추경 문제는 각 상임위에서 다루고 예산결산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 오는데, 이를 뛰어넘고 본회의를 열자는 건 국회 관례에 맞지 않고 법리에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대화 경로도 꽉 막힌 모양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이 대표가 이날 오전부터 한 권한대행에게 여러 차례 회동을 제안했다”며 “그러나 지금까지 한 권한대행은 답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 대표는 이날 한 권한대행에게 전화 2번, 문자메시지 1번을 보냈지만 한 권한대행은 회신하지 않았다. 이어 이해식 당대표 비서실장이 방기선 국무조정실장과 손영택 총리비서실장에게 전화와 문자로 연락했지만 역시 닿지 않았다고 한 대변인은 전했다. 민주당 측은 이날 오전 무렵 한 권한대행 수행과장과 통화가 성사돼 이 대표가 회동하고 싶어한다는 의사를 전했지만 답신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총리실 관계자는 “현재 권한대행은 임박한 관세 부과 등 통상전쟁 대응, 다수의 고령 어르신이 포함된 이재민 지원 대책 지휘를 국정의 최우선에 놓고 있다”며 “야당 관계자들의 면담 요청 등에 대해서는 국가 경제 및 민생과 직결되는 위 현안에 우선 대응한 뒤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46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2
47545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544 낮 수도권부터 천둥·번개 동반 요란한 봄비…강수량은 적어 랭크뉴스 2025.04.02
47543 '유기견과 여행'이 동물복지 인식 개선? "마당개 복지 고민이 먼저" 랭크뉴스 2025.04.02
47542 보편·개별관세? 제3의 길?…뭐가 됐든 韓은 비상[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2
47541 이복현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명했으나 만류…내일 F4 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40 남극서 분리된 거대 빙산…그 아래 숨겨진 미지의 생태계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2
47539 5세대 실손, 도수치료 이젠 안된다···자기부담률 50%로 높여 랭크뉴스 2025.04.02
47538 [속보]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37 “유아·초등이라도 사교육에서 해방을…국민투표로 정해보자” 랭크뉴스 2025.04.02
47536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535 이준석 "탄핵선고 결과에 이변 없을 것"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2
47534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랭크뉴스 2025.04.02
47533 [속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 3개월 연속 2%대 상승 랭크뉴스 2025.04.02
47532 탄핵선고 D-2…헌재 인근 밤샘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랭크뉴스 2025.04.02
47531 [속보] 3월 소비자 물가 2.1% 올라… 석 달째 2%대 상승세 랭크뉴스 2025.04.02
47530 [속보] 3월 소비자물가 2.1% 상승…석달째 2%대 랭크뉴스 2025.04.02
47529 헬기도 못 끈 '좀비불씨' 잡았다…천왕봉 지켜낸 '7.5억 벤츠' 랭크뉴스 2025.04.02
47528 낸드 값 또 10% 올라…메모리 바닥 찍었나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02
47527 가벼운 뇌진탕?…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