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취임 후 발표 관세만 10가지
한국 영향은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반도체 관세도 추가되면 부담 더 커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수준을 마지막으로 저울질하고 있는 가운데, 최종적으로 한국에는 품목별로 최대 45%에 달하는 관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의 연구 싱크탱크 '텍스 파운데이션'에 따르면, 올해 1월 20일 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까지 총 10여 차례에 걸쳐 관세 부과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임기 시작과 동시에 꺼내든 "보편적 관세부터 국가별 관세까지 다양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협박을 착실히 이행하고 있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관세 종류는 △국가별 관세(중국, 캐나다, 멕시코) △품목별 관세(철강 및 알루미늄, 자동차, 목재, 농산물 등) △2차 관세(베네수엘라) △보복관세 △상호관세 등으로 다양하다. 시행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관세 정책은 중국과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국가별 관세와 일부 품목별 관세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한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관세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부과된 25% 관세(3월 12일 발효)와 자동차 관세 25%(4월 2일 발효 예정) 정도다. 특히 자동차 부문 타격이 크다. 2024년 기준 한국 자동차 수출의 절반가량을 미국이 차지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31조 원을 투자해 미국에 생산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지만, 당장 몇 년간의 수출에는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수출된 현대차 차량들이 27일 미국 필라델피아 자동차 터미널에 주차돼 있다. 필라델피아=AP 연합뉴스


관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4월 2일 시행하겠다고 못 박은 상호관세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범위와 방법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미국의 무역 적자국 '톱10' 안에 들어가는 한국은 대상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대부분 항목이 무관세이지만, 미국 정부는 부가가치세나 수입품에 대한 규제까지 '비관세 장벽'으로 지칭하며 불공정하다고 주장하고 있어 상호관세 수준이 어느 정도일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심지어 최근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관세 대신 모든 국가의 모든 품목에 최대 20%의 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보편관세 카드까지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선 철강 및 알루미늄과 자동차 항목에 대해 최대 45%에 달하는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 중인 반도체 및 제약 품목에 대한 관세까지 현실화한다면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다만 품목별 관세와 달리 상호관세와 관련해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꾸준히 '협상의 여지'를 언급하고 있는 만큼, 향후 각국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워싱턴포스트는 "월가에서는 상호관세 발표 직후부터 국가별 양자회담이 잇따라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도 "미국 정부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짚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86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결론 이미 내렸다…선고 전까지 평의는 계속 랭크뉴스 2025.04.01
47285 논란의 ‘김수현 카톡 반격’ 전문가들에게 물었더니 랭크뉴스 2025.04.01
47284 尹 탄핵심판 선고 당일 경복궁·창덕궁·덕수궁 문닫는다…주변 박물관도 휴관 랭크뉴스 2025.04.01
47283 진짜야, 만우절 장난이야? '비비고 통오이 만두'에 '왕뚜껑 짬짜면'도 등장 랭크뉴스 2025.04.01
47282 금감원 “MBK, 홈플러스 신용강등 미리 알고 채권 팔았을 가능성 크다" 랭크뉴스 2025.04.01
47281 헌재, 尹선고 사실상 결론냈다…오늘 평결 마무리 랭크뉴스 2025.04.01
47280 연예인 세금탈루 논란… “가족법인 부동산 투자도 조사 대상 우려” 랭크뉴스 2025.04.01
47279 외교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01
47278 일반인 방청도 허용한다? "이건 헌재의 자신감" 랭크뉴스 2025.04.01
47277 외교부, 심우정 자녀 특혜 채용 의혹 공익감사 청구…감사 착수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4.01
47276 尹 탄핵심판 선고일 방청신청 폭주…20석에 수만명 몰려 랭크뉴스 2025.04.01
47275 미얀마 지진에 방콕 고층 빌딩 왜 무너졌나… 불량 철근 사용 확인 랭크뉴스 2025.04.01
47274 미얀마 강진 사망자 2700명 넘어…실종 440명 랭크뉴스 2025.04.01
47273 탄핵 선고 임박, 헌재 앞 ‘진공상태’ 준비 돌입…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천막 철수 랭크뉴스 2025.04.01
47272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후임에 노태문 사장 임명 랭크뉴스 2025.04.01
47271 尹선고일 정해지자 아전인수 여론전…"4:4 기각" "8:0 인용" 랭크뉴스 2025.04.01
47270 ‘두 학번 같은 수업’ 돌아온 의대생… 일부 ‘재휴학’ 조짐도 랭크뉴스 2025.04.01
47269 유승준, 데뷔 28년 자축 "팬 실망시킬 줄 몰라…참 어리석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68 한덕수 권한대행 “적 도발하면 압도적으로 대응해 도발 의지 분쇄” 랭크뉴스 2025.04.01
47267 지진 붕괴 직전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딸 구해야 한다는 생각만”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