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왼쪽)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지난해 12월7일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장 앞에서 웃으며 인사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계엄 당일 ‘KBS에 간첩죄 관련 보도 소스를 줘야한다’는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의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도 여인형 전 사령관에게 이를 묻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일부 언론사에 대한 봉쇄, 단전·단수 등을 지시한 사실이 드러난 상황에서 계엄 전 언론 작업이 의심되는 정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31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여 전 사령관의 기소 전 여섯 차례의 검찰 조서 등을 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가 여 전 사령관을 불러 조사하면서 방첩사의 ‘KBS 간첩죄 보도 지원 지시’와 관련해 묻거나 관련 진술을 받은 기록은 없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31일 여 전 사령관을 구속기소 하기 전 여섯 차례 소환해 조사했고 기소 이후로도 박헌수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등의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참고인 조사 때도 여 전 사령관에게 관련 질문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해 12월11일에는 한 방첩사 간부를 불러 조사하면서 “지난해 12월3일 여 전 사령관이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KBS에서 간첩죄 관련 보도를 할 건데 우리가 소스를 줘야한다’고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 간부는 “KBS 보도 관련 간첩 외사 사건 기소 사례를 정리한 것을 여 전 사령관이 당일 저녁 보고 받았다”고 진술했다.

법조계 전문가들은 이런 작업이 계엄을 염두에 두고 실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이 정당했다”고 말하면서 야당이 간첩죄 확대에 반대한 점을 든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한 고검장 출신 변호사는 “하필 그 시점에 계엄을 정당화하는 작업이 있었던 것은 내란 혐의에 대한 직·간접적 증거”라며 “적어도 양형에 참작할 만한 사유로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검찰이 여 전 사령관에게 이를 캐묻지 않은 것은 검찰 수사가 미진했다는 근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윤 대통령이 경향신문과 한겨레, MBC 등 일부 언론사를 봉쇄·단전·단수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이미 드러났는데도 군이 추가로 언론사 대상 작업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안일하게 수사했다는 것이다. 서채완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변호사는 “간단히 확인할 수 있었던 단서를 발견하고도 충분한 진술을 받지 않은 점은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제기된 의혹은 충분히 수사했다고 밝혔다. 특수본 관계자는 “조서에 담기지 않았다고 수사 과정에서 확인 안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 측은 “평시에도 방첩사 차원에서 국회나 언론과 긴밀하게 소통한다”며 “계엄과 상관없는 일”라고 말했다. KBS 역시 “KBS가 간첩죄 보도를 할 예정이었다거나 방첩사에서 간첩 사건을 전달받았을 수도 있다는 보도는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단독]여인형 “KBS서 나올 간첩죄 보도에 소스 줘야”…비상계엄 직전 언론작업 정황12·3 비상계엄에 가담해 재판을받고 있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계엄 당일 부하 간부에게 “KBS에서 간첩죄 관련 보도를 할 것”이라며 “방첩사 차원에서 기사 자료를 준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 선포 배경으로 언급했던 ‘야당의 간첩죄 법률 개정 방해’ 등과 관련해 군이 나서서 ‘언론작업’을 하려 한 것 아니냐는 분석...https://www.khan.co.kr/article/202503191559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520 "양육비 37억 줬는데…" 머스크 '13번째 자녀' 법정 싸움, 뭔 일 랭크뉴스 2025.04.02
42519 尹탄핵 인용 시 '6·3 대선' 유력…기각·각하땐 직무 복귀 랭크뉴스 2025.04.02
42518 최장 기간 숙고한 헌재… 법 위반 중대성 여부가 尹 파면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02
42517 인용되면 줄수사‥기각되면 모든 권한 회복 랭크뉴스 2025.04.01
42516 [단독]올해 신입 의대생 30%는 삼수 이상…"졸업 급한데 찍힐까 눈치" 랭크뉴스 2025.04.01
42515 개도국 넘어 미국 노린다…‘함정+공급망’ 전략 필요 랭크뉴스 2025.04.01
42514 탄핵 인용·기각·각하 경우의 수는? 랭크뉴스 2025.04.01
42513 경찰, 4일 최고 비상령 ‘갑호비상’ 발동…헌재·대통령 관저 주변 학교 임시휴업 랭크뉴스 2025.04.01
42512 도심행진하던 탄핵 찬반 충돌할 뻔…200m 떨어져 철야농성(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2511 美합참의장 후보 "北은 즉각적 안보도전…한미일 안보협력 지지" 랭크뉴스 2025.04.01
42510 "한국이 우리 문화 베꼈다" 中 유명 마술사 망언에…서경덕 "열등감 폭발이냐" 랭크뉴스 2025.04.01
42509 '탄핵 선고' 4일 헌재 일대 차량 통제·광화문 대형 집회... 교통 혼잡 예상 랭크뉴스 2025.04.01
42508 與 "기각" 강조하며 "승복" 주장…"5대3 데드락 풀렸나" 불안감도 랭크뉴스 2025.04.01
42507 [속보] 美합참의장 후보 "北 장거리 미사일·핵 즉각적 안보 도전 야기" 랭크뉴스 2025.04.01
42506 숙의는 끝났다…쟁점 중 하나라도 ‘중대한 위헌’ 인정 땐 파면 랭크뉴스 2025.04.01
42505 등산 갈 때마다 봤던 '이 나무' 알고보니 비만치료제?…"식욕 억제 효능" 랭크뉴스 2025.04.01
42504 동서·브이티 등 7개 종목, 2일 하루 동안 공매도 금지 랭크뉴스 2025.04.01
42503 선고 직전 시계를 본다‥노무현·박근혜 때는 20분 만에 랭크뉴스 2025.04.01
42502 산불에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 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2501 계엄군, 케이블타이로 민간인 묶으려 했다…‘윤석열 거짓말’ 증거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