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빅5' 이어 지방국립대도 복귀대열 속속 합류…40곳 중 19곳 전원 등록
인하대 등 일부 대학 여전히 미등록률 높아…제적 사태 우려도
관건은 '실제 수업 참여' 여부…당국, 이르면 내주 내년 모집인원 발표


의대교육 정상화 '8부능선' 넘었다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각 대학 의대생들이 복귀 마감 시한에 임박해 속속 돌아오면서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
사진은 30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30 [email protected]


(세종=연합뉴스) 고상민 김잔디 권지현 서혜림 기자 =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9개 대학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대학의 경우도 상당수가 복귀 행렬에 동참하면서 작년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하며 집단휴학으로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1년여 만에 정상화 가능성을 높이며 의정 갈등 해결의 단초가 될지 주목된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전원 등록을 마쳤거나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는 총 19곳이다.

이른바 '빅5 대학병원'을 둔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를 비롯해 가천대·경북대·경상국립대·경희대·고려대·부산대·을지대·이화여대·전남대·조선대·중앙대·차의과대·충남대·충북대 등이다.

이날 등록을 마감하는 한양대와 건국대, 단국대, 아주대, 계명대, 가천대, 대구가톨릭대, 원광대 등 8곳 중 일부는 밤 12시까지 접수 시간을 늦췄다.

통상 등록 신청은 마감 시한이 임박해 몰렸던 점을 고려하면 복귀 대열에 합류할 의대 규모는 더 불어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실제로 단국대는 이날 오전부터 다수 학생이 등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대구권 의대인 계명대도 상당수 학생이 복학 신청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양대의 경우 24학번의 등록금은 이월된 상태라 별도 등록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전원 복귀' 여부는 실제 수업 참여율을 따져봐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대 의대
자료사진


수도권 대학이 물꼬를 튼 복귀 대열에 지방 거점국립대학들도 속속 동참하면서 의대생 전원 복귀는 대세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다만 인하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은 여전히 미등록률이 상당히 높아 제적 사태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감지된다.

앞서 인하대는 의대생 자체 조사 결과 97%가 '미등록 투쟁'에 투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8일이 시한이었지만 일단 이날 밤까지 추가 신청을 받기로 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 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면서도 "어떤 대학은 전혀 등록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주요 대학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를 결단한 만큼 내년도 의대 모집정원은 정부가 약속한 대로 증원 전인 3천58명으로 돌아갈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다만 정부는 등록이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어서 관건은 학생들이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강의를 실제로 듣느냐에 달렸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발표는 이르면 다음 주에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구 대변인은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39 윤석열 선고 생중계…“헌재 만장일치 파면 긍정신호” 점치는 야권 랭크뉴스 2025.04.01
47338 의혹 일파만파 "채용 보류"‥코너 몰린 외교부 결국 랭크뉴스 2025.04.01
47337 산불에 무너진 터전, 철거도 하세월…“경로당서 2개월” 랭크뉴스 2025.04.01
47336 고려대 교수·연구진, 윤 대통령 파면 촉구‥"헌법 위반은 국민 상식" 랭크뉴스 2025.04.01
47335 위기의 애경그룹, 기업 모태 '애경산업' 매각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34 ‘무역장벽’ 더 독한 美 리스트… 더 아픈 韓 리스크 랭크뉴스 2025.04.01
47333 李 ‘위증교사’ 항소심, 6월 3일 종결… 선고는 7월 전망 랭크뉴스 2025.04.01
47332 드디어 4일 윤석열 선고…법조계 “탄핵 인용 가능성 높아 보여” 랭크뉴스 2025.04.01
47331 111일 걸린 尹의 운명…'8대0 만장일치' 법조계 해석 갈렸다 랭크뉴스 2025.04.01
47330 외교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채용 의혹 공익감사 청구…실제 감사 착수는? 랭크뉴스 2025.04.01
47329 국민의힘 "'기각 시 불복' 민주당, 위헌정당임 자백하나‥승복 약속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28 아빠는 강했다... 방콕 지진 속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랭크뉴스 2025.04.01
47327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항소심, 6월3일 변론 종결…이르면 7월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326 윤 대통령 파면 여부 가를 쟁점은? 랭크뉴스 2025.04.01
47325 '맥주 효모·비오틴' 탈모 방지에 좋다?... 소비자원 "과학적 근거 없다" 랭크뉴스 2025.04.01
47324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일에 헌재와 가까운 고궁·박물관 휴관 랭크뉴스 2025.04.01
47323 친구들 다 '지브리 프사' 하더니…챗GPT, 역대 최대 이용자 찍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322 서울 여의도 40대 증권맨 직장 건물서 추락… 심정지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321 [영상] “尹 탄핵하자”, “이 빨갱이들아”…4일 선고 앞두고 난장판 된 헌재 주변 랭크뉴스 2025.04.01
47320 [단독] 홈플러스, 신평사에도 '2500억 조기 상환' 숨겼나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