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0일, 러시아 구조대가 미얀마 만달레이의 스카이 빌라에서 희생자를 수색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얀마에서 지난 28일 발생한 강진 이후 폐허 속에 갇힌 생존자들을 찾기 위한 사투가 이어지고 있으나, 구조 장비 부족과 의료 체계 미비로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미얀마 군부 정권은 강진 뒤에도 지진 피해 지역 등에 공습을 계속하고 있다고 반군들은 비판했다.

미얀마 군부는 사망자 수가 17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지만, 현지 독립 언론인 디브이비(DVB)는 31일 기준 실제 사망자가 최소 2928명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자우 민 툰 정부 대변인은 국영 매체인 엠아르티브이(MRTV)에서 구체적 숫자를 밝히지 않은 채 1700명 이상이 사망하고 부상자는 3400명, 300명 이상이 실종됐다고만 말했다고 에이피(AP)통신이 전했다. 미얀마 군부는 물, 전기, 숙박시설 등 부족을 이유로 재해 현장을 취재하겠다는 외신 기자들의 요청도 거절했다.

디브이비와 이라와디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진앙이었던 사가잉 지역을 비롯한 피해 지역 곳곳에서 생존자들이 건물 잔해에 갇혀 있지만 필요한 구조 장비가 없어 진입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사가잉의 미얏싸이타나 사립 유치원에는 30명 이상의 유아와 교사들이 갇혀 있으며, 인근 투카카리 사원에도 30명의 아동이 고립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구조대원은 “30일까지 당국으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국제 구조대가 일부 현장에 도착했지만, 통신 두절, 파괴된 도로와 다리 등으로 인해 최악의 피해 지역에는 접근조차 못 하고 있다. 주민들은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치며 구조 활동에 나서는 실정이다. 사가잉 지역과 인근 대도시인 만달레이를 연결하는 주요 다리 중 하나는 붕괴됐고, 다른 하나는 균열로 접근이 어려운 상태다. 현지 언론은 사가잉 지역 구조 작업에 코끼리까지 동원됐다고 전했다. 한편 상당수 지역은 통신이 차단된 상태여서 피해 상황 업데이트가 늦어지고 있다.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인구 150만 명 규모의 이 도시는 인근 마을에서만 300여채의 건물이 무너졌고, 이 가운데 최소 200구의 시신이 30일 수습됐다. 하루 전인 29일에는 만달레이 내 콘도 건물과 사사나 베이크만 사원에서 시신 15구가 발견됐고, 98명이 구조됐다. 미얀마 중부 지역의 50여개 모스크에서 300구가 넘는 시신이 수습됐다. 한 주민은 “금요일 기도 중에 예배자들이 안에 있는 상태로 모스크가 무너졌다”고 전했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도 다수 포함돼 있다. 만달레이 인근 유치원 건물 아래에서는 미취학 아동 12명과 교사 1명의 시신이 발견됐다. 한 구조대원은 비비시(BBC)와의 인터뷰에서 “장비 부족으로 구조가 심각하게 지연되고 있으며, 무너진 학교 잔해 속에 갇힌 소녀를 구하기 위해 몇 시간째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통신망 붕괴도 구조 작업을 크게 지연시키고 있다. 인터넷과 전화 모두 끊긴 상태에서 구조팀은 어디로 가야 할지조차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주민은 “구조를 총괄하는 사람도 없고, 시신을 어디로 옮겨야 할지도 모른다. 병원은 이미 수용 한계를 넘었다”고 말했다. 물 펌프나 부상자 수송에 필요한 연료조차 부족하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지난 2024년 2월 군부의 징병제 시행 이후 많은 청년들이 탈영하거나 저항 단체에 합류하면서 구조 일손 자체도 부족한 편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국제기구들은 시간이 지체될수록 피해가 악화할 수 있다며 긴급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국제적십자연맹은 “기온 상승에 더해 몇 주 안에 몬순 우기까지 다가오고 있다”며 “2차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긴급 구호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한편, 소수민족 반군인 카렌민족동맹(KNU)은 성명을 내어 “지진으로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는데 군부는 민간인 거주 지역에 대한 공습을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고 31일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미얀마는 지난 2021년 2월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아웅산 수치가 이끄는 민간 정부를 전복한 이후, 군부와 민주화 세력 그리고 소수민족 반군 사이 내전이 계속되고 있다. 민주화 세력들이 꾸린 임시 정부 성격의 국민통합정부(NUG)는 지진 발생 하루 만인 29일 2주간의 부분 휴전을 선언했지만 내전은 그치지 않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053 국민연금 月 500만원 넘게 받는 '부부 수급자' 처음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03
43052 [속보]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발표…중국 34%, 일본 24% 랭크뉴스 2025.04.03
43051 [속보]트럼프, 韓에 상호관세 25% 부과…日·EU보다 높아 랭크뉴스 2025.04.03
43050 [속보]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랭크뉴스 2025.04.03
43049 [3보]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발표…한국에 25%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048 [속보] 트럼프 "한국 제품에 25% 관세 부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4.03
43047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관세전쟁 격화 랭크뉴스 2025.04.03
43046 트럼프 “한국 판매 자동차 81% 한국서 생산…적보다 우방이 더 나빠” 랭크뉴스 2025.04.03
43045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韓 25% 日 24% 中 34%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044 [속보] 트럼프 “한국에 상호관세 25% 부과” 일본 24%·중국 34%·EU 20%·대만 32% 랭크뉴스 2025.04.03
43043 PK도 '윤심' 철퇴... 담양 안방 내준 민주당, 이재명 '호남 빨간불' 랭크뉴스 2025.04.03
43042 [더버터] 세상에 죽고 싶은 아이는 없다 랭크뉴스 2025.04.03
43041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발표…韓 25%·日 24%·中 34%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040 [속보] 트럼프 “한국에 상호 관세 25%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039 [단독]교육청 "尹선고 생중계, 교실서 봐도 된다"…교사는 난감 랭크뉴스 2025.04.03
43038 관세 '둠스데이'…세계경제 1.4조弗 폭탄 터진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03
43037 국가 재도약, 개헌이 길이다…"尹선고 직후 여야 특위 만들자" [본지 헌정개혁포럼 제언] 랭크뉴스 2025.04.03
43036 NC파크 참사 이후…노후 야구장 '불안한 관람' 랭크뉴스 2025.04.03
43035 한국어 늦게 배운 애플 AI, 쓰기는 편하네 랭크뉴스 2025.04.03
43034 소비자물가, 3개월 연속 2%대 상승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