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이 자국 항구를 오가는 중국산 선박, 선사에 수백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중국산 선박 주문을 취소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요가 줄면 한국 조선산업에 호재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3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은 중국에 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선박(LNGBV·Liquefied Natural Gas Bunkering Vessel) 2척을 맡기기로 했다가 취소했다. 선박을 건조할 슬롯까지 확보해 둔 상태였는데 최종 주문을 넣지 않아 계약이 파기됐다. 지난 24일(현지시각) 열린 미국 무역대표부(USTR·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공청회 이후 중국산 선박 건조 주문이 취소된 첫 사례다.

한국형 화물창 기술(KC-2)을 적용한 국내 최초 LNG(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전용 선박 '블루 웨일호'(Blue Whale)./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미국 정부는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 선사의 선박에 100만달러(약 15억원), 중국산 선박에 150만달러(약 22억원) 등 총 100만~300만달러(약 15억~44억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USTR은 정책 시행을 앞두고 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가졌다. 공청회에선 중국산 선박, 선사에 수수료를 부과하면 물류비용이 늘고 에너지·농산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목소리가 나왔다. 미국의 해양 산업 육성을 기대하며 수수료 부과를 지지하는 의견도 있었다.

조선업계에서는 향후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요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엑손모빌이 선박 건조를 취소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대(對)중국 수수료 부과 정책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이 수백만달러의 수수료를 실제로 부과하면 중국산 선박을 선택할 요인이 없어진다.

현재 중국산 선박 보유 비중이 높은 회사는 선박 다변화 전략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선박의 약 70%는 중국이 수주했다.

미 의회조사국(CRS)이 집계한 2023년 기준 전 세계 선박 인도량/코트라 보고서 발췌

중국산 선박 수요가 줄면 한국, 일본 조선소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 미 의회조사국에 따르면(CRS·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3년 기준 전 세계 선박 인도량은 중국이 51%로 가장 많았고 한국(28.3%), 일본(15.4%) 순이었다. 중국 선사, 선박에 수수료 부과 가능성이 커지면서 비(非)중국산 선박에 대한 프리미엄도 붙는 분위기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엑손모빌이 수주를 취소한 대형 LNGBV는 중국과 한국 조선소에서만 만들 수 있어 한국으로 물량이 올 수 있다. 현재 한국 조선소는 수년 치 일감이 쌓여 있어 슬롯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USTR은 다음 달 2일까지 추가 의견을 받고 대중국 항만 수수료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는 지난달 29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조선업의 경쟁력은 중국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져 한국 조선업의 대미 수출 활성화가 기대된다”며 “미국 군함 유지·보수·정비(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 사업, 신규 건조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미국 함정, 해안 경비대 선박 건조 계약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59 '진보4 중도2 보수2' 재판관 성향, 尹선고에 의미없다…왜 랭크뉴스 2025.04.03
48258 동시접속 9만명…콘서트장 방불케한 '尹선고' 방청 신청 랭크뉴스 2025.04.03
48257 “나경원·전한길 유세 마이너스”…‘재보선 참패’ 국힘 내부서 쓴소리 랭크뉴스 2025.04.03
48256 민주당 "'공산주의자' 발언 박충권, 사과 않으면 제명 추진" 랭크뉴스 2025.04.03
48255 尹측, '계엄때 1만명 학살계획' 李발언에 "허위사실…법적책임" 랭크뉴스 2025.04.03
48254 송금 보류 요청에도 강행…신한은행, 고객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4.03
48253 광화문 교차로·안국역 일대 통제…150개 버스노선 우회 랭크뉴스 2025.04.03
48252 ‘베트남 46% 관세’ 삼성 스마트폰 직격타···불닭볶음면도 영향권 랭크뉴스 2025.04.03
48251 [단독] 헌재, 윤석열 선고 날 오전에도 재판관 평의 랭크뉴스 2025.04.03
48250 백종원 ‘노랑통닭’ 인수?...“사실은” 랭크뉴스 2025.04.03
48249 검찰, ‘경비함정 비리 혐의’ 김홍희 전 해경청장 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4.03
48248 ‘대미 협상 총력’ 한덕수…야당 “트럼프와 통화 한 번 못해” 랭크뉴스 2025.04.03
48247 ‘집에서 임종’ 14%뿐…“삶의 끝은 가족 품이어야” 랭크뉴스 2025.04.03
48246 ‘가짜 임신’ 사진 찍는 중국 Z세대… “날씬할 때 미리” 랭크뉴스 2025.04.03
48245 [속보] 尹 탄핵심판 선고 방청권 경쟁률 4818.5대 1 랭크뉴스 2025.04.03
48244 "산불이야" 고령 주민들 대피시키고 마지막에 탈출한 청년 농부 랭크뉴스 2025.04.03
48243 [단독]지난해 단 120만원…나경원 일가 운영 고교가 ‘찔끔’ 낸 이것 랭크뉴스 2025.04.03
48242 [단독] 명동 화교학교도 탄핵 선고일 휴업…16→27곳 문닫는 학교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8241 “美, 사람 0명인 남극 섬에도 관세 부과” BBC 등 보도 랭크뉴스 2025.04.03
48240 경쟁률 4818 대 1…‘윤석열 탄핵 선고’ 방청에 9만6370명 몰려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