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0일, 러시아 구조대가 미얀마 만달레이의 스카이 빌라에서 희생자를 수색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 이후 폐허 속에 갇힌 생존자들을 찾기 위한 사투가 이어지고 있으나, 구조 장비 부족과 의료 체계 미비로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미얀마 군부가 29일 발표한 공식 사망자는 1644명이지만, 현지 독립 언론인 디브이비(DVB)는 31일 기준 실제 사망자가 최소 2,928명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디브이비와 이라와디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진앙이었던 사가잉 지역을 비롯한 피해 지역 곳곳에서 생존자들이 건물 잔해에 갇혀 있지만 필요한 구조 장비가 없어 진입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사가잉의 미얏싸이타나 사립 유치원에는 30명 이상의 유아와 교사들이 갇혀 있으며, 인근 투카카리 사원에도 30명의 아동이 고립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구조대원은 “30일까지 당국으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국제 구조대가 일부 현장에 도착했지만, 통신 두절, 파괴된 도로와 다리 등으로 인해 최악의 피해 지역에는 접근조차 못 하고 있다. 주민들은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치며 구조 활동에 나서는 실정이다. 사가잉 지역과 인근 대도시인 만달레이를 연결하는 주요 다리 중 하나는 붕괴됐고, 다른 하나는 균열로 접근이 어려운 상태다. 현지 언론은 사가잉 지역 구조 작업에 코끼리까지 동원됐다고 전했다. 한편 상당수 지역은 통신이 차단된 상태여서 피해 상황 업데이트가 늦어지고 있다. 29일 기준 미얀마 당국은 사망 1,644명, 부상 3,408명, 실종 139명으로 집계했다.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인구 150만 명 규모의 이 도시는 인근 마을에서만 300여채의 건물이 무너졌고, 이 가운데 최소 200구의 시신이 30일 수습됐다. 하루 전인 29일에는 만달레이 내 콘도 건물과 사사나 베이크만 사원에서 시신 15구가 발견됐고, 98명이 구조됐다. 미얀마 중부 지역의 50여개 모스크에서 300구가 넘는 시신이 수습됐다. 한 주민은 “금요일 기도 중에 예배자들이 안에 있는 상태로 모스크가 무너졌다”고 전했다. 사망자 중에는 어린이도 다수 포함돼 있다. 만달레이 인근 유치원 건물 아래에서는 미취학 아동 12명과 교사 1명의 시신이 발견됐다. 한 구조대원은 비비시(BBC)와의 인터뷰에서 “장비 부족으로 구조가 심각하게 지연되고 있으며, 무너진 학교 잔해 속에 갇힌 소녀를 구하기 위해 몇 시간째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통신망 붕괴도 구조 작업을 크게 지연시키고 있다. 인터넷과 전화 모두 끊긴 상태에서 구조팀은 어디로 가야 할지조차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주민은 “구조를 총괄하는 사람도 없고, 시신을 어디로 옮겨야 할지도 모른다. 병원은 이미 수용 한계를 넘었다”고 말했다. 물 펌프나 부상자 수송에 필요한 연료조차 부족하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지난 2024년 2월 군부의 징병제 시행 이후 많은 청년들이 탈영하거나 저항 단체에 합류하면서 구조 일손 자체도 부족한 편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국제기구들은 시간이 지체될수록 피해가 악화할 수 있다며 긴급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국제적십자연맹은 “기온 상승에 더해 몇 주 안에 몬순 우기까지 다가오고 있다”며 “2차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긴급 구호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55 尹탄핵심판 전 소득세 또 띄운 이재명, “월급쟁이가 봉인가” 랭크뉴스 2025.04.02
47754 "5만원이 곧 30만원 된다"…'부자아빠', 비트코인 대신 강력 추천한 '이것' 랭크뉴스 2025.04.02
47753 권성동 "이복현, 사표 냈으면 짐 싸라… 대통령 운운은 오만" 랭크뉴스 2025.04.02
47752 계엄·포고령·체포 지시…하나라도 중대 위법·위헌 판단 땐 윤 파면 랭크뉴스 2025.04.02
47751 문소리 "'폭싹 속았수다' 찍고서 '만날 봄인 듯' 살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4.02
47750 한반도 뒤흔들 트럼프의 군축전략, 셈법은?[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4.02
47749 MZ들 옷 어디서 살까… 패션 플랫폼 잘나가는 이유 있었네 랭크뉴스 2025.04.02
47748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747 수원 ‘오피스텔 추락사’ 모녀, 4개월 전 생활고 긴급복지 상담 랭크뉴스 2025.04.02
47746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랭크뉴스 2025.04.02
47745 “4일 20명 예약 취소됐어요”… 尹 선고일, 헌재 인근 상점 줄줄이 휴점 랭크뉴스 2025.04.02
47744 라면 30개·빵 200종 인상…정치공백 틈타 고삐풀린 먹거리 물가 랭크뉴스 2025.04.02
47743 박충권 '공산주의자' 발언으로 여야 격돌…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42 “민주당, 결과 승복해야” “승복은 윤석열이” 여야 헌재 심판 앞두고도 ‘설전’만 랭크뉴스 2025.04.02
47741 "나는 솔로, 대체 언제까지…" 미혼 직원 위해 은행권 뭉쳤다 랭크뉴스 2025.04.02
47740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2
47739 "누구 죽이고 싶다" 개인방송하며 공중협박한 유튜버 현행범체포 랭크뉴스 2025.04.02
47738 “尹선고 볼래” 방청권 20석 신청 폭주…‘경쟁률 3550대 1’ 랭크뉴스 2025.04.02
47737 "김수현 재기 불가능할 듯" 눈물의 회견 본 프로파일러 지적, 왜 랭크뉴스 2025.04.02
47736 “대통령 계셨으면” 이복현에 권성동 “감히 대통령 운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