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편 어제 경북 안동에선 강한 바람에 불씨가 되살아나면서 주민들이 또다시 대피하기도 했는데요.
경찰은 의성 야산에서 불을 낸 것으로 추정되는 50대 남성을 입건해 수사 중입니다.
이도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아직 덜 꺼진 잔불은 강풍을 타고 곳곳에서 재발화했습니다.
급기야 청송에선 2개 마을에 주민 대피령이 다시 발령되기도 했고, 영양군 석보면 일대에선 헬기를 동원한 잔불 진화작업이 이틀째 숨 가쁘게 이어졌습니다.
[이강혁/영양군 산불전문진화대 조장]
"<여기에 몇 번 오셨어요?> 7번째… 여기 어제 헬기가 하루 종일 부었어요. 그런데도 (진화가) 안 돼…"
돌아갈 곳이 사라진 할머니는 속이 상해 며칠째 눈물만 납니다.
다 타버린 집을 확인해 보고 싶다가도, 차마 볼 용기가 나질 않습니다.
체육관에서 호텔로, 다시 안동의 한 연수원 시설로 옮겨 다니며 숙식을 해결한 지도 어느덧 일주일.
[김필희/경북 안동시 길안면]
"제가 이런 일을 겪을 줄은 몰랐어."
할머니처럼 돌아갈 집이 없는 경북 북동부 주민은 모두 3천7백여 명에 이릅니다.
전소된 주택만 3천5백 채.
경상북도는 재작년 예천 수해 당시 활용된 임시 조립식 주택 1천5백 동을 긴급주거시설로 지원하기로 하고 안동에 처음으로 40개 동을 설치했습니다.
또 정부, 지자체 및 기업 연수시설도 이재민들의 임시 주거시설로 제공하기 위해 해당 기관과 협의 중입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이번 산불로) 지방 소멸이 안 그래도 빨리 오고 있는데 더 빨리 가속화될 것 같아서 이번에 특별법 만들어서 집이 탄 곳은 집으로 보답해 주는 그런 제도를…"
역대 최악의 산불을 낸 실화자에 대한 경찰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경북경찰청은 경북 의성군 야산에서 조부모 묘소를 정리하다 불을 낸 56세 남성을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MBC뉴스 이도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