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8개 의대 등록·복학신청 종료…조만간 내년 의대 모집인원 결정
의대협, "포기하지 않겠다" 대회원 서신…수업거부 등 불씨 남아


서울대 의대생 등록 오늘 오후 마감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생의 등록 마감일인 27일 서울대 의대 모습. 2025.3.2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도래했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카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포함해 고려대와 국가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이 전원 돌아오면서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도 끝을 맺을 가능성이 커졌다.

31일 각 대학에 따르면 이날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가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한다.

이로써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의대생 등록·복학 신청을 종료하게 됐다.

정부가 지난 7일 '3월 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천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을 이어간다는 기조를 유지하며 '단일대오'를 굳건히 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20일 학생대표 공동 성명서에서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이런 입장을 재확인했다. 당시 성명엔 40개 의대· 의학전문대학원 대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의대교육 정상화 '8부능선' 넘었다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사진은 30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3.30 [email protected]


그러나 의대 학장·교수진의 간곡한 설득과 동시에 올해는 학칙대로 엄정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겹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 기류가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을 맞이한 연세대 의대생들이 '일단 등록'으로 결정한 데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회도 복귀로 선회하면서 학생들의 복학이 속속 이뤄졌다.

여기에 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도 합세하며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고려대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부산대 의대생들도 모두 돌아왔다.

복학 규모가 공개되지 않은 의대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복귀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미복귀를 고수하는 일부 의대 학생들도 결국 돌아올 가능성이 작지 않다.

의대협은 전날 배포한 대회원 서신에서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 또한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실상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어려워진 상황을 인정했다.

하지만 "우리마저 침묵하면, 오늘의 협박은 내일의 기준이 되며 불의는 정당화될 것"이라며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곳으로 또 모인다. 학생들이 모이는 한, 의대협 역시 포기하지 않겠다"고 투쟁 의지는 꺾이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날까지 전국 의대의 복귀율을 취합하고 '전원'으로 볼 수 있을지 판단을 내린 후 조만간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원의 의미는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복귀율이 어느 정도든지 간에 1년여 만에 학생들이 힘들게 돌아온 만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3천58명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학생들이 복귀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거부할 경우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천58명이 될 수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93 마은혁 카드가 자충수 됐다…헌재 지연 부른 민주당의 선택 랭크뉴스 2025.04.01
46992 [속보] 美 "韓자동차시장 접근 확대 미국업계의 우선순위" 랭크뉴스 2025.04.01
46991 [속보] 美정부,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국가별 무역평가 보고서 공개 랭크뉴스 2025.04.01
46990 [단독] 검찰, '명태균·오세훈 대화 전 국민의힘 경선룰 결정' 문건 확보 랭크뉴스 2025.04.01
46989 野 "헌재 재판관 임기 연장", 與 "후임 임명" 맞불... 당리당략만 판친다 랭크뉴스 2025.04.01
46988 머스크 "철밥통 공무원 다 자른다"…예산 1500조 삭감 폭탄 선언 랭크뉴스 2025.04.01
46987 생산·소비·투자 고개 들었지만…식당·호텔은 죽을 맛 랭크뉴스 2025.04.01
46986 젤리 훔친 6살 아이 딱 걸렸는데…"왜 도둑 취급하냐" 되레 폭발한 아빠 랭크뉴스 2025.04.01
46985 美테크기업, 전문직 비자 직원들에 "못들어올라…美 떠나지마라" 랭크뉴스 2025.04.01
46984 관세·공매도·미 침체 ‘삼각파도’…국내 증시 ‘검은 월요일’ 랭크뉴스 2025.04.01
46983 美, 경찰책임자 등 홍콩 고위인사 6명 제재…"자치 훼손" 랭크뉴스 2025.04.01
46982 “2차 국회 봉쇄 때 김봉식이 ‘청장님 지시’라면서 ‘포고령 따르자’ 무전” 랭크뉴스 2025.04.01
46981 “김새론 유족 등에 120억 손배소”…法, 김수현 사건접수 랭크뉴스 2025.04.01
46980 '챗GPT' CEO "GPU 녹아내려 사용 일시 제한" 새 이미지 생성 모델 얼마나 좋길래 랭크뉴스 2025.04.01
46979 초읽기 몰린 ‘헌재의 시간’… 문형배 결심 시선집중 랭크뉴스 2025.04.01
46978 4월로 가는 윤 탄핵심판 결정…‘헌재법 사각 메워라’ 야권 입법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01
46977 의대생 전국 40곳 중 38곳 복귀에… 전공의도 “돌아가자” 술렁 랭크뉴스 2025.04.01
46976 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판매자들 “또 미정산, 망했다” 랭크뉴스 2025.04.01
46975 윤석열 탄핵 정국 속 문재인 기소 앞둔 검찰···계속된 ‘정치보복’ 논란 랭크뉴스 2025.04.01
46974 [And 건강] 여성질환 치료 쓰이는 ‘자궁 내 장치’ 유방암 위험 높인다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