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사흘째인 24일 의성군 옥산면 전흥리에서 강풍을 타고 번진 산불이 민가를 덮치고 있다. 연합뉴스

역대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킨 경남·경북 초대형 산불의 주불이 30일 진화됐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약 4만8238㏊(여의도 면적 166배), 사상자 70여명에 달한다.

이번 산불 기간에는 영남 지역 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많은 산불이 동시에 일어났다. 하지만 기상 조건의 차이가 영남 산불을 키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30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경북과 경남에선 각각 9건, 12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에선 18건, 전북과 전남에선 각각 10건, 7건의 산불이 일어났다. 광역시까지 포함해 권역별로 집계해보면 영남 27건, 호남 20건, 수도권 20건, 충청권 10건, 강원 2건이다. 면적 대비 산불 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 곳은 수도권이었다.
신재민 기자

올 겨울 눈·비 없던 영남…3월 건조 특보

전국에서 동시에 많은 산불이 발생했지만 경북과 경남에서만 초대형으로 번진 이유는 기상 조건이 달랐기 때문이다. 경북과 경남은 지난 겨울철에 다른 지역보다 눈과 비가 적게 왔다. 경북의 겨울철 누적 강수량은 21㎜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경남도 29.1㎜로 가물었다. 전국 기상 관측망이 깔린 1973년 이래 경북은 역대 세번째, 경남은 다섯번째로 적은 양이다. 겨울철 산지에 눈이 내리지 않으면, 산림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며 낙엽이 마른다. 산불 땔감이 쌓인 셈이다.

지난 26일 오전 10시 기준 영남권에 내려진 건조특보 현황. 정근영 디자이너
여기에 3월 하순부터 건조한 바람이 영남권에 불었다. 남고북저(남쪽 고기압 북쪽 저기압) 기압계가 만든 서풍이 소백산맥을 넘으며 건조하고 뜨거워진 탓이다. 이는 4월 초 동해안에 대형 산불을 부르는 '양간지풍'과 같은 성질을 가졌다. 양간지풍도 남고북저 기압계가 만드는 서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건조하고 뜨거워진다.



눈 쌓였던 무주, 대형 산불 하루 만에 진화
26일 오후 9시 21분께 전북 무주군 부남면의 한 주택에서 난 불이 산으로 번져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 전북자치도
영남권과 달리 겨울철에 눈이 많이 쌓인 호남권에선 산불이 상대적으로 크게 확산하지 않았다. 지난 겨울철 전북과 전남 강수량은 86.9㎜, 57.5㎜로 영남권의 두 배 이상이었다. 이는 지난 겨울, 주로 서해에서 만들어진 비구름이 서쪽 지방에 눈을 뿌렸기 때문이다. 전북 무주는 지난 겨울부터 많은 눈이 쌓여, 3월 초까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적설을 기록했다. 실제 이번 산불 기간 무주에서도 한밤 중에 산불대응 2단계 수준의 큰 산불이 발생했지만, 하루 만에 진화됐다.

큰 산불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강원 지역은 겨울철 강수량이 26.7㎜로 매우 적었지만, 3월 초·중순에 동풍(동해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눈과 비가 많이 내린 덕에 3월 하순에 산불이 크게 번지지 않았다.
전국 곳곳에 폭설이 내린 18일 강원 춘천시 소양강 일원에 눈이 쌓여 겨울 풍경을 빚어내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근 산림청 대변인은 “이번 영남 지역은 겨울철에 건조한 데다 산맥을 넘은 건조하고 뜨거운 바람까지 불어 산불이 크게 번졌다”며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눈과 비가 많이 내린 다른 지역도 점차 건조해지고 있어 4~5월 산불 예방과 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86 김승연, ㈜한화 지분 일부 증여…“경영승계 완료, 유상증자는 방산 투자 목적” 랭크뉴스 2025.03.31
46885 [르포] 초고압 변압기 증설 LS일렉… “파워솔루션과 美 공략” 랭크뉴스 2025.03.31
46884 [단독] 10명 중 4명 붙잡는데…솜방망이 처벌에 실형 1%↓ 랭크뉴스 2025.03.31
46883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랭크뉴스 2025.03.31
46882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니었다”···고 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81 野 '한덕수 재탄핵' 경고…與, 문형배·이미선 후임 카드 꺼냈다 랭크뉴스 2025.03.31
46880 그녀는 키스하다 혀 잘렸다…'을사오적' 매국노 아내 이야기 랭크뉴스 2025.03.31
46879 이재명, 한덕수에 수차례 회동 제안…총리실 “경제·민생 우선” 답신 안 해 랭크뉴스 2025.03.31
46878 "일본 놀러 가면 꼭 먹었는데"…유명 덮밥집, '쥐' 이어 '바퀴벌레' 나오자 결국 랭크뉴스 2025.03.31
46877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자 때 교제 안해…수사기관 통해 검증"(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1
46876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거론하며 "韓,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75 역대 최악의 산불…피해 규모 1조 원 넘을 듯 랭크뉴스 2025.03.31
46874 "불신 소용돌이에 빠진 미국과 동맹…종합격투기가 된 국제질서" 랭크뉴스 2025.03.31
46873 "전복죽 800인분 싣고 300km"…안유성, 이번엔 산불 현장 찾아 랭크뉴스 2025.03.31
46872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콕 짚어 "韓대행, 기어이 상법 거부할 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71 "탄핵 각오한 것 같다"…한덕수, 상법 거부권 서두르고 돌연 이천행 랭크뉴스 2025.03.31
46870 증권사 요즘 왜 이래… 신한證, 멀쩡한 ‘캐시우드 ETF’ 상폐 안내 후 정정 랭크뉴스 2025.03.31
46869 김수현 눈물의 회견 후 반격…"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68 40분 울먹인 김수현 "김새론과 1년 교제... 유족 측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67 헌재가 돌려보낸 한덕수, 침묵하며 '헌재 무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