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미얀마 지진 소식 알아봅니다.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나흘째, 인명피해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지만 구조 작업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취재진이 어제 미얀마 양곤으로 들어갔는데, 직접 연결해서 자세한 상황 들어보겠습니다.

정윤섭 특파원, 지금 취재진이 있는 곳이 미얀마의 양곤이죠?

그곳도 피해가 적지 않았을 것 같은데, 상황이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은 미얀마 제1의 도시로 불리는 양곤입니다.

규모 7.7의 강진이 덮친 만달레이에서 남쪽으로 60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건물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까지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지만 역시 지진의 여파로 하루에 네다섯 시간씩 전기 공급이 제한되거나 통신망이 자주 끊기는 등 불편이 적지 않습니다.

이곳 시민들, 무엇보다 만달레이 등 지진 피해지역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이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걱정이 많은 상황입니다.

[앵커]

강진 피해 지역은 구조 작업도 잘 안되고 있다고 하던데,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네, 이번 강진이 강타한 지역이 여기서 북쪽에 있는 만달레이인데, 말 그대로 아비규환입니다.

수많은 건물이 무너지고, 또 그 안에 매몰된 사람들이 얼마나 될지 가늠조차 어려운 상황입니다.

주민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잔해 더미에 올라가 맨손으로 돌 더미를 파헤치는 게 최선일 정돕니다.

미얀마 군정이 밝힌 지금까지 인명 피해 규모는 사망 약 천7백 명, 부상 3천 4백여 명입니다.

하지만 구조 작업이 더디고, 통신도 끊긴 상태다 보니까, 정확한 인명피해 집계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제는 오늘이 강진 나흘째인데, 통상 72시간으로 여겨지는 골든타임이 다 돼가는 상황이라 안타까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미얀마 군정도 이례적으로 국제사회 지원을 호소했는데, 실제로 지원이 잇따르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도 2백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고, 유엔은 5백만 달러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결정했습니다.

중국, 러시아, 인도, 태국, 싱가포르 등은 구호물자와 함께 인력을 파견했는데요.

저희 취재진이 방콕에서 이곳으로 올 때도 저희가 탔던 비행기에 중국에서 온 구조대 수십 명이 함께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들 인력이 지진 피해 현장으로 이동하는 게 녹록지 않다는 겁니다.

저희도 이곳 양곤으로 온 이유가, 만달레이 공항이 사실상 완파돼 항공기 운항이 중단된 상태고, 양곤에서 평소 차량으로 8시간 정도 걸리던 곳이 도로가 끊어지고, 건물 잔해 등 때문에 20시간이 걸려도 접근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앵커]

미얀마에도 우리 교민들, 적지 않게 살고 계신 걸로 알고 있는데, 교민들 피해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미얀마의 우리 교민은 약 2천 명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특히 강진 피해가 가장 큰 만달레이에는 약 7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우리 외교부가 밝힌 대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요.

하지만 집 일부가 무너지거나 균열이 가고, 가구 등이 크게 파손되는 등 재산 피해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현지 교민들에게 들은 얘기들을 종합해 보면, 상당수는 도심 외곽으로 대피했고, 또 2~30명의 교민들은 비교적 피해를 덜 본 건물에 한데 모여 대책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역시 문제는 통신과 도로 사정인데, 이곳 양곤의 교민 사회도 현지에 구호 물품 등을 보내기 위해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얀마 양곤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21 재보선 최종투표율 26.27%…서울 구로 25.9%·부산교육감 22.8% 랭크뉴스 2025.04.02
47820 윤 탄핵 선고 이틀 앞으로…최종 결정문 작성 매진 랭크뉴스 2025.04.02
47819 강릉 정박한 선박서 5천억원어치 코카인 1t 적발…'역대 최대'(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2
47818 4·2 재보선 최종 투표율 26.55% 잠정 집계 랭크뉴스 2025.04.02
47817 회계처리 위반한 코스닥 상장사 이렘에 과징금 9.5억원 랭크뉴스 2025.04.02
47816 4·2 재보궐선거 잠정 투표율 26.27%…기초단체장 5곳 합산 37.83% 랭크뉴스 2025.04.02
47815 [단독] “부부젤라 불던데…” “대통령 하고 싶나” 헌재 어르고 달랜 野 랭크뉴스 2025.04.02
47814 하루에만 광주→전북→서울→인천…'30억 횡령' 女경리, 신출귀몰 도주 랭크뉴스 2025.04.02
47813 [속보] 中, 대만포위훈련 종료 발표…"훈련 과제 원만히 완료" 랭크뉴스 2025.04.02
47812 "무력 사용할 의지 없었다"더니‥시민 폭행하고 끌고 간 계엄군 랭크뉴스 2025.04.02
47811 관세청, 외국무역선에 실린 20kg 코카인 의심마약 수십박스 적발 랭크뉴스 2025.04.02
47810 공포탄 아닌 실탄 된 상호관세…백악관 “즉시 발효” 랭크뉴스 2025.04.02
47809 ‘탑건’ 아이스맨·‘배트맨’ 배우 발 킬머 별세…향년 65 랭크뉴스 2025.04.02
47808 치킨값도 줄줄이 인상···지코바, 7일부터 2500원 올려 랭크뉴스 2025.04.02
47807 권성동 “‘줄탄핵’ 대리인 22명 ‘친야 성향’…좌파 카르텔의 ‘탄핵 창조경제’” 랭크뉴스 2025.04.02
47806 검찰총장 딸 외교부 채용 논란 계속…‘아빠 찬스’ 의혹 쟁점은? 랭크뉴스 2025.04.02
47805 "선고 당일 출근하지 마세요"…헌재 인근 대기업 재택근무 전환 랭크뉴스 2025.04.02
47804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랭크뉴스 2025.04.02
47803 김수현 측, '리얼' 노출신 강요 의혹에 "故설리 사전 숙지했다"(종합) 랭크뉴스 2025.04.02
47802 대구 한 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서 간호사가 아기 학대 정황…부모가 병원에 신고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