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진 3시간 만에 진앙지 사가잉 지역에 공습
반군 2주간 부분 휴전 선포에 군부 대응없어
미얀마 군사정권의 수장인 민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이 28일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으로 갈라진 도로를 살피고 있다. AP 연합뉴스

규모 7.7 지진에 강타당한 미얀마에서 군사정권이 구조 활동을 벌이는 지역에도 공습을 가하는 등 전투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28일 오후 3시30분께 북부 샨주의 나웅초에 공습이 가해져, 7명이 사망했다고 비비시가 보도했다. 이 공격은 지진이 발생한 지 불과 3시간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뤄졌다.

반군 단체들은 북서부 사가잉 지역의 창우 및 타이 국경 인근 지역에서도 공습이 가해졌다고 전했다. 사가잉은 이번 미얀마 강진의 진앙지로 피해가 크고, 상당 부분이 반군 세력의 통제 아래에 있다.

미얀마 지진

반군을 대표하는 국민통합정부(NUG)는 29일 2주간의 부분 휴전을 선포했다. 국민통합정부은 자신들의 무장조직인 인민방위군(PDF)이 “오는 3월30일부터 지진 영향 지역에서 방어적 조처를 제외하고는 공격적인 군사작전을 2주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군사정권은 국민통합정부의 이런 휴전 선언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상응하는 조처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유엔의 미얀마 특별보고관 톰 앤드류스는 “구조 작업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폭탄을 투하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군부가 즉각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군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이 압박을 강화하고 이같은 행동이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규모 7.7의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무너진 파고다 유적 앞을 29일 시민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진 발생 이후 미얀마 군사정권은 외국의 구조구호 활동을 허락했다. 하지만, 군사정권이 이번 지진 구호 활동을 정치적으로 악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미얀마 군부는 과거에도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차단한 바 있다. 앤드류스 유엔 특별보고관은 “군부는 과거에도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지원을 차단하고 구호 활동가를 체포했다”며 “가장 도움이 절실한 지역에 지원이 닿지 못하도록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지진의 진앙인 사가잉 지역은 반군 지역이어서 이런 우려는 더욱 크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2021년 민간정부를 다시 쿠데타로 전복시킨 뒤 이에 저항하는 반군들과 내전을 벌이고 있다. 군부는 지난해부터 소수민족 무장세력들이 가세한 반군과 연합한 전투에서 패배하며 영토를 상실하고 있으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공습을 주요 전술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반군 세력은 공군 전력이 부족해 공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9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아바다리가 전날 지진으로 무너진 모습. EPA 연합뉴스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 이후 현재 국토의 25%도 통제하지 못하고 있으나, 미얀마의 다수 민족이 사는 중앙 지역 및 대도시 등을 장악하고 있다. 반면 민족 무장 단체와 민주 저항 세력이 42%를 장악하고 있으나 대부분 주변의 산악 지역이다. 군부의 공습은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사찰, 교회, 병원까지도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공습으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해 170명 이상이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50 한반도 뒤흔들 트럼프의 군축전략, 셈법은?[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4.02
47749 MZ들 옷 어디서 살까… 패션 플랫폼 잘나가는 이유 있었네 랭크뉴스 2025.04.02
47748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747 수원 ‘오피스텔 추락사’ 모녀, 4개월 전 생활고 긴급복지 상담 랭크뉴스 2025.04.02
47746 전 서울대 총장 “하해와 같은 마음으로 용서”…윤석열을? 랭크뉴스 2025.04.02
47745 “4일 20명 예약 취소됐어요”… 尹 선고일, 헌재 인근 상점 줄줄이 휴점 랭크뉴스 2025.04.02
47744 라면 30개·빵 200종 인상…정치공백 틈타 고삐풀린 먹거리 물가 랭크뉴스 2025.04.02
47743 박충권 '공산주의자' 발언으로 여야 격돌…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42 “민주당, 결과 승복해야” “승복은 윤석열이” 여야 헌재 심판 앞두고도 ‘설전’만 랭크뉴스 2025.04.02
47741 "나는 솔로, 대체 언제까지…" 미혼 직원 위해 은행권 뭉쳤다 랭크뉴스 2025.04.02
47740 ‘승복 주체’ 바뀐 국힘…이재명 “윤석열이 헌재 결정 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2
47739 "누구 죽이고 싶다" 개인방송하며 공중협박한 유튜버 현행범체포 랭크뉴스 2025.04.02
47738 “尹선고 볼래” 방청권 20석 신청 폭주…‘경쟁률 3550대 1’ 랭크뉴스 2025.04.02
47737 "김수현 재기 불가능할 듯" 눈물의 회견 본 프로파일러 지적, 왜 랭크뉴스 2025.04.02
47736 “대통령 계셨으면” 이복현에 권성동 “감히 대통령 운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735 "당장 짐 싸야! 감히 어디서!" 이복현 발언에 '벌컥' 랭크뉴스 2025.04.02
47734 괴물 산불에 잿더미 된 돈다발…"보상 어렵다" 시름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02
47733 "장제원 사망" 소식 들은 尹, '두 번' 전화해서 한 말이‥ 랭크뉴스 2025.04.02
47732 ‘승복’ 질문에 이재명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겁니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731 경찰, 헌재 주변 150m '진공상태화' 완료…차벽 요새화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