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진 3시간 만에 진앙지 사가잉 지역에 공습
반군 2주간 부분 휴전 선포에 군부 대응없어
미얀마 군사정권의 수장인 민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이 28일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으로 갈라진 도로를 살피고 있다. AP 연합뉴스

규모 7.7 지진에 강타당한 미얀마에서 군사정권이 구조 활동을 벌이는 지역에도 공습을 가하는 등 전투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28일 오후 3시30분께 북부 샨주의 나웅초에 공습이 가해져, 7명이 사망했다고 비비시가 보도했다. 이 공격은 지진이 발생한 지 불과 3시간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뤄졌다.

반군 단체들은 북서부 사가잉 지역의 창우 및 타이 국경 인근 지역에서도 공습이 가해졌다고 전했다. 사가잉은 이번 미얀마 강진의 진앙지로 피해가 크고, 상당 부분이 반군 세력의 통제 아래에 있다.

미얀마 지진

반군을 대표하는 국민통합정부(NUG)는 29일 2주간의 부분 휴전을 선포했다. 국민통합정부은 자신들의 무장조직인 인민방위군(PDF)이 “오는 3월30일부터 지진 영향 지역에서 방어적 조처를 제외하고는 공격적인 군사작전을 2주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군사정권은 국민통합정부의 이런 휴전 선언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상응하는 조처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유엔의 미얀마 특별보고관 톰 앤드류스는 “구조 작업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폭탄을 투하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군부가 즉각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군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이 압박을 강화하고 이같은 행동이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규모 7.7의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무너진 파고다 유적 앞을 29일 시민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진 발생 이후 미얀마 군사정권은 외국의 구조구호 활동을 허락했다. 하지만, 군사정권이 이번 지진 구호 활동을 정치적으로 악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미얀마 군부는 과거에도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차단한 바 있다. 앤드류스 유엔 특별보고관은 “군부는 과거에도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지원을 차단하고 구호 활동가를 체포했다”며 “가장 도움이 절실한 지역에 지원이 닿지 못하도록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지진의 진앙인 사가잉 지역은 반군 지역이어서 이런 우려는 더욱 크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2021년 민간정부를 다시 쿠데타로 전복시킨 뒤 이에 저항하는 반군들과 내전을 벌이고 있다. 군부는 지난해부터 소수민족 무장세력들이 가세한 반군과 연합한 전투에서 패배하며 영토를 상실하고 있으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공습을 주요 전술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반군 세력은 공군 전력이 부족해 공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9일 미얀마 만달레이의 아바다리가 전날 지진으로 무너진 모습. EPA 연합뉴스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 이후 현재 국토의 25%도 통제하지 못하고 있으나, 미얀마의 다수 민족이 사는 중앙 지역 및 대도시 등을 장악하고 있다. 반면 민족 무장 단체와 민주 저항 세력이 42%를 장악하고 있으나 대부분 주변의 산악 지역이다. 군부의 공습은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사찰, 교회, 병원까지도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공습으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해 170명 이상이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19 서툰 한국어로 "할매" 외친 외국인 선원…산불속 60명 살렸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8 성폭력 혐의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유서엔 가족 관련 내용만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7 미국은 왜 무역장벽으로 ‘절충교역’을 지적했을까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6 헌재, 尹 탄핵선고 대략적 결론 도출한 듯‥결정문 등 후속 작업 집중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5 尹 선고 당일 헌재 주변 100m '진공'… 지하철 무정차, 학교도 임시 휴업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4 중국대사관, 윤석열 탄핵선고 앞두고 “집회 구경도 마라” 자국민에 공지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3 재동교차로 일대 차량통제…집회 확대시 광화문 등까지 new 랭크뉴스 2025.04.01
47312 故 장제원 아들 노엘 “어떻게 괜찮겠냐만, 무너질 일 없다” 심경 밝혀 랭크뉴스 2025.04.01
47311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구조지도’ 나온 자영업 상황 [박대기의 핫클립] 랭크뉴스 2025.04.01
47310 "저쪽 당이 헌재와 내통"... 사법 불신 가중시키는 정치권 랭크뉴스 2025.04.01
47309 ‘억’소리나는 연예인 기부…‘사회적 영향력’ 원하는 팬덤 랭크뉴스 2025.04.01
47308 MS, 中 상하이 AI 연구소 폐쇄…“美 기업 연쇄 철수 조짐" 랭크뉴스 2025.04.01
47307 한국 자동차가 봉인가...미국인들 현대차 더 비싸게 사도 상관없다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01
47306 尹 운명, 111일만에 결론…'8대0 만장일치' 법조계 해석 갈렸다 랭크뉴스 2025.04.01
47305 "기일 지정하자 환율 떨어지고 주가 반등" 외신 시선은 랭크뉴스 2025.04.01
47304 전두환 장남 아들 출판 도매업체 북플러스, 결국 파산 랭크뉴스 2025.04.01
47303 尹탄핵 선고 방청 신청 폭주… '796대1' 朴때 경쟁률 넘어설듯 랭크뉴스 2025.04.01
47302 장제원 전 의원 유서에 가족 향한 내용…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301 돌아온 ‘대국민 티케팅’…윤석열 탄핵 선고 방청 신청 폭주, 경쟁률이 벌써 랭크뉴스 2025.04.01
47300 그래서, 조작이라고? 김수현 카톡 검증 믿을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