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역사적 큰 지진 발생해 온 사가잉 단층 따라 일어나
지표면 10㎞ 떨어진 진원 발생·지속 시간도 길어
‘5년째 내전’ 컨트롤타워 부재에 내진설계 건물 적어
지진 발생 이틀째인 29일 미얀마 제2도시 만델레이의 지진 현장에 대형 탑이 쓰러져있다. 로이터 통신

미얀마에서 28일 발생한 지진의 최종 사망자 규모가 1만명을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왜 이토록 피해 규모가 커졌는지 전문가들의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번 지진은 1912년 미얀마 타웅지에서 7.9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113년만에 최대 규모라고 미 시엔엔(CNN)은 전했다. 지진은 미얀마와 국경을 맞댄 타이에선 드문 일이지만 미얀마에선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해왔다. 미얀마는 유라시아판, 인도판, 순다판, 버마판 등 네 개의 지각판이 합쳐진 지점에 위치해 세계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활동적인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레베카 벨 박사는 영국 비비시(BBC)에 “지난 한 세기 동안 이 지역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여섯 번이나 발생했다”고 말했다.

특히 미얀마는 길이가 1200㎞에 이르는 대규모 단층인 사가잉 단층이 국토 남북을 가로지르고 있다. 싱가포르 지구관측소(EOS) 수석 연구원 성지 웨이는 “예상치 못한 사건이 아니었다”며 “사가잉 단층은 역사적으로 큰 지진이 발생한 주요 지질 단층선이며, 이번 지진도 이곳을 따라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지진은 지표면에서 불과 10㎞ 떨어진 진원에서 발생해 지표면의 거리가 가깝다 보니 흔들림이 더 컸다. 진원과 지표면이 만나는 곳인 진앙도 인구 120만명이 거주하는 미얀마 제2도시 만델레이에서 17.2㎞ 떨어진 곳이라 인명 피해가 컸다.

지진이 지속된 시간도 길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진학자 제임스 잭슨은 지진이 1분 동안 지속돼 지반을 갈라 피해가 컸다고 말했다. 그는 시엔엔에 “종이 조각이 찢어진다고 생각해보자. 1초당 2㎞ 속도로 찢어진다”고 설명했다.

지진이 잦은 미얀마이지만 대비책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5년째 내전을 겪고 있는 미얀마에선 정책 컨트롤 타워가 사라진 지 오래이며, 주요 인프라에는 내진 설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국 지질연구소(BGS) 지진학자 브라이언 뱁티는 이번 지진이 발생한 주요 지역의 주민들이 목재와 철근 없이 지어진 건물에 거주하고 있어 피해 규모가 컸다고 말했다. 그는 에이피(AP) 통신에 “대규모 지진이 인구 백만 명이 넘는 지역에서 발생했을 때 그리고 그 지역 사람들이 취약한 건물에 살고 있을 때 그 결과는 종종 재앙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는 특히 2021년 이후 군사 쿠데타와 내전으로 경제 상황이 황폐화 됐고, 국제 사회와 교류마저 끊긴 가운데 이번 자연재해가 덮쳐 타격을 크게 입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시엔엔(CNN)은 “(이번 지진의) 피해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재난 발생 타이밍이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다”고 전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77 마은혁 뺀 '8인 체제' 결정‥"'5 대 3' 가능성 낮아" 랭크뉴스 2025.04.01
47376 尹 선고일 지정에 쏟아진 “승복” 메시지… 野선 “불복” 주장도 랭크뉴스 2025.04.01
47375 용산 “차분히 기다려” 여 “기각 희망” 야 “8 대 0 파면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374 중·러 대사관 “윤 선고일 극단적 사건 가능성” 자국민 유의 당부 랭크뉴스 2025.04.01
47373 도수치료 받고 실손 못 받는다…윤곽 드러낸 '5세대 실손보험' 랭크뉴스 2025.04.01
47372 장제원 前 의원 유서, 가족·지역구민에 메시지 랭크뉴스 2025.04.01
47371 외신 '만우절 기사' 찾기 어려워졌다…"가짜뉴스의 시대라서" 랭크뉴스 2025.04.01
47370 "새우버거 참 즐겨먹었는데"…롯데리아 패티 베트남서 '전량폐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1
47369 산불에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 선원…법무부, 장기거주자격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68 경찰 “헌재 반경 100m 진공상태로”… 당일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367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는 370명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1
47366 운명의 날, 윤 대통령 직접 나올까? 랭크뉴스 2025.04.01
47365 마침내 고지된 윤석열 ‘운명의 날’···선고 당일 절차는 어떻게? 랭크뉴스 2025.04.01
47364 "올리브영·다이소에 다 뺏겼다"…현대면세점 동대문점 결국 폐점 랭크뉴스 2025.04.01
47363 [크랩] ‘급신호’올 때 사실 배 아프면 안 되는 거라고? 랭크뉴스 2025.04.01
47362 미국, 감자 등 무역장벽 지적…정부 "미국 협상 요청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361 최태원 SK 회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협력·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60 작전명도 없앴다, 중국의 대만 포위작전…"밥먹듯 반복될 것" 랭크뉴스 2025.04.01
47359 "부산시장 출마 준비했었다"…'원조 윤핵관' 불리던 그의 죽음 랭크뉴스 2025.04.01
47358 산불 피해 할머니 업고 구한 인도네시아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추진”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