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9일(현지시각) 규모 7.7 강진 피해를 겪은 미얀마에 항공기 편으로 급파된 러시아 구조대가 도착했다. 양곤/타스 연합뉴스

규모 7.7 지진이 강타해 수천명의 인명을 비롯해 큰 피해를 입은 미얀마에 도움의 손길과 구호물품이 여러 나라에서 속속 전해졌다. 미얀마 군부 정권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온 중국, 러시아뿐만 아니라 대립각을 세우던 미국과 유럽연합 등도 구호활동 지원에 서둘러 나섰다.

2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등은 급파된 37명의 중국 응급구조팀 1진이 생명탐지 장치와 구조장비 등을 가지고 이날 아침 미얀마 양곤국제공항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구호물품의 긴급 원조도 결정됐다. 리밍 중국 국제발전협력서 대변인은 “미얀마 정부 요청으로 1억위안(약 203억원) 규모의 인도적 구호 긴급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 사령관에게 “중국 정부와 국민을 대표해 깊은 애도를 표한다”며 “중국은 미얀마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피해 지역 주민들이 재해를 빨리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위로 전문을 보냈다. 역시 미얀마 군정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도 구조대와 의료진을 미얀마에 급파했다고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은 전했다.

미국 등 국가들도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에 지원을 약속했다고 시엔엔(CNN), 로이터, 아에프페(AFP) 통신 등은 보도했다. 해외원조 업무를 담당하던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폐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얀마 군정의 도움 요청에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며 “우리는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강진 피해자에 대한 애도의 뜻을 밝히고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고 적었다.

한국 외교부도 이날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국제기구를 통해 200만달러(약 30억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며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얀마에 이웃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도 항공편으로 구조 인력과 구호물자를 보내고 있다. 인도는 15톤의 구호품을 전달하고, 100여명의 의료진과 함께 인도적 지원 물품을 실은 선박도 급파했다고 알려졌다.

29일(현지시각)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에서 인명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급파된 중국 홍콩특별행정구 소속 구조대원과 인명수색견들이 양곤에 도착했다. 양곤/신화 연합뉴스

유엔(UN)은 500만달러(73억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에 나선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미얀마 정부가 국제사회 지원을 요청했다”라며 “미얀마 국민을 돕기 위해 현지 (유엔의) 자원을 최대한 동원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제기구들은 피해 지역에 심각한 의료용품 부족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미얀마의 병원과 의료시설이 지진으로 파괴된 실상을 전하며 “외상 처치 도구, 마취제, 필수 의약품 등이 부족하다”고 전했다고 아에프페통신은 보도했다. 또 통신 두절로 구호 및 응급처지 용품의 수요 조사가 거의 불가능하고, 도로가 파괴되면서 구조대와 구호품의 피해 지역 접근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와 진앙지와 가까운 도시 만달레이 등 의료시설엔 수천명의 부상자들이 밀려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에 외상 처치 키트와 다목적 텐트 등 구호품을 이들 도시에 보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23 [속보]외교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 공익감사 청구…채용은 보류 랭크뉴스 2025.04.01
47222 “1만30원vs1만 2600원” 택배·배달기사 최저임금 확대적용 될까 랭크뉴스 2025.04.01
47221 '폭싹 속았수다' 리뷰 수익금에 사비 보태 4·3재단에 기부한 유튜버 랭크뉴스 2025.04.01
47220 입주 끝났는데 시공사에 100억 공사비 더 주겠다는 강남 아파트…이유는 “재산 증식에 이바지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19 "집 현관 비번이 생각 안나요"…괴물 산불이 남긴 '충격 후유증' 랭크뉴스 2025.04.01
47218 39개大 전원 복귀에 멈췄던 의대수업 재개…24·25학번 분리수업 랭크뉴스 2025.04.01
47217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 박해일·김성수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랭크뉴스 2025.04.01
47216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하고 희망퇴직 추진 랭크뉴스 2025.04.01
47215 '부산 지역구' 국힘 대변인 "다시 총선 하면 與 과반"? 랭크뉴스 2025.04.01
47214 외교부 "검찰총장 자녀 채용 관련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01
47213 탄핵심판 결정문 읽는 순서만 봐도 ‘전원일치’ 여부 알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12 롯데리아 새우버거 수입 패티 ‘전량 폐기’…‘이 성분’ 검출돼 랭크뉴스 2025.04.01
47211 공정위, 가짜 일감 미끼로 52억 뜯은 디디비코리아 검찰 고발 랭크뉴스 2025.04.01
47210 윤 탄핵 선고기일 잡히자 코스피 상승·환율 하락…‘이재명 테마주’는? 랭크뉴스 2025.04.01
47209 스마트워치도 못 막았다...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한 30대 랭크뉴스 2025.04.01
47208 한화에어로, 임원 50명 90억 원 자사주 매입…"40명 추가 매수 예정" 랭크뉴스 2025.04.01
47207 새벽 1시 전처 일하는 편의점 찾아가 살해…국가는 또 늦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06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갑호 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205 박찬대 "최고의 판결은 내란수괴 尹 파면뿐… 만장일치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204 헌재 “尹 탄핵 선고 4일 오전 11시”…방송사 생중계·일반인 방청 허용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