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이어서 대지진 사흘째를 맞은 미얀마 소식입니다.
지진으로 인한 미얀마의 사망자는 이제 1천6백 명을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오랜 내전 탓에 사태 파악도, 구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민들이 맨손으로 구조에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허유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무너진 건물 잔해 밑으로 들어갔던 남성이 뒷걸음질치며 콘크리트 더미를 빠져 나옵니다.
그 옆으로 여러 사람이 붙어 힘을 보태자, 깔려 있던 한 여성이 극적으로 구조됩니다.
미얀마 두 번째 도시 만달레이.
오늘 공개된 위성 사진을 보면, 인근 사가잉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가 마디마디 무너져 내렸고, 흰색 사리탑도 완전히 자취를 감췄습니다.
폐허 속에서 가까스로 구조된 사람들의 사연이 SNS 등에 일부 전해지고 있지만, 도로와 전기, 통신이 대부분 끊겨 본격 구조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처럼 쌓인 잔해 더미에 올라가 맨손으로 벽돌을 집어내는 주민들.
한 남성이 겨우 삐져나온 누군가의 손을 붙잡고 울먹입니다.
이미 손에서 온기가 사라진 매몰자는 그의 어머니.
현지시각 어제 저녁, 미얀마 군사정부는 사망자가 1천644명, 부상자는 3천4백여 명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군부 쿠데타에 따른 오랜 내전으로 신속한 피해 규모 파악이 어려운 데다,
언제 여진이 닥칠지 몰라 공포가 커집니다.
[제스 피닉스/지질학자]
"이런 지진은 원자폭탄 334개의 위력과 맞먹습니다. 이번 지진의 직접적인 여진이 몇 달 동안 계속될 수 있고, 이미 수십 건의 (추가) 지진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군부 정권은 민주 진영 측 반군을 공습해 최소 7명이 숨졌다고 외신들이 전했습니다.
해외에서 답지하기 시작한 원조와 구호 물품들이 제대로 전달되지도 의문인 겁니다.
[톰 앤드루스/유엔 특별조사위원]
"과거 이와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미얀마의 군사정권이 원조를 무기화하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야당 국민연합 정부와 협력해 지금 절박한 지역에도 지원이 전달되도록 해야 합니다."
역시 강진의 피해가 컸던 태국 방콕에선, 옥상 수영장 물이 흘러 넘치던 순간 필사적으로 매달렸던 외벽 청소 작업자의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또, 신축 중이던 33층 건물이 무너져 발생한 사망자는 17명으로 늘었습니다.
MBC뉴스 허유신입니다.
영상편집 : 권시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