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위클리옵션 매도 늘자… ‘매수’ 개인은 진입·청산 수월
옵션 프리미엄 감소… ETF 투자자 손실 위험 커져

40대 투자자 A씨는 지난해 말부터 위클리옵션 매매에 뛰어들었다. 옵션은 미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코스피200 등의 상품을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파생상품인데, 위클리 옵션은 만기가 1주일로 짧은 상품이다.

A씨는 최근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응해 스캘핑(분·초 단위 매매) 전략을 익히고 있다. 한 거래당 수익은 적어도 여러 번 거래해 누적 수익률을 올리는 데 집중하는 것이다. 최근 그는 콜옵션 매수 포지션을 잡은 후 16초 만에 청산해 20만원을 벌었다. A씨는 “요즘 콜옵션 매도 물량이 많아지니 옵션 진입과 청산이 더 수월해졌다”며 “말 그대로 도파민 투자”라고 말했다.

위클리 콜옵션 매도 물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를 노리고 옵션 투자에 나서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등장한 위클리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에 막대한 자금이 쏠린 영향이다. 시장 규모에 비해 많은 콜옵션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위클리 옵션 가격이 떨어지는 등 시장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단기 차익을 노린 일부 투자자들이 위클리 옵션 시장에 등장한 이유다.

일러스트=챗GPT 달리3

위클리 커버드콜 ETF 시장이 커지며 위클리옵션 매도거래도 덩달아 늘었다. 지난 26일 기준 월간 위클리옵션 매도거래는 총 1452만7324계약으로, 전년 동기(1262만3355계약) 대비 15%가량 늘었다. 그중 기관이 685만5120계약을 체결해 절반을 차지한다.

매도 물량은 많은데 이를 받아줄 수요자는 적다 보니 위클리 콜옵션 프리미엄은 크게 떨어졌다. 위클리옵션 프리미엄은 작년 8월 월평균 0.8%대에서 올해 들어 0.4%대로 줄었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콜옵션 프리미엄이 반등할 수 있는 환경이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거래의 절반을 차지하는 기관의 매매가 한 방향(매도)에 쏠려있다는 점이다. 위클리옵션 시장 내 매수 포지션을 잡는 투자자는 한정적인데, 운용사의 매도 물량이 갑자기 많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프리미엄은 저렴해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위클리 옵션 시장은 일반(먼슬리) 옵션 시장에 비해 비교적 최근 조성돼 거래 규모나 참여자 기반 측면에서 성숙도가 낮다는 평가다.

옵션을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단타(단기 투자)’에 나서기에 쉬운 환경인 셈이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옵션 투자가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월간 위클리옵션 매수거래 내 개인 비중은 석 달 새 26%에서 30%로 늘었다. 개인들은 매수 포지션을 매도보다 더 많이 잡는데, 주로 기관 물량을 받는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커버드콜 ETF 구조상 콜옵션을 팔아 프리미엄을 확보하면서 포지션도 구축해야 하고, 들어온 자금으로 분배금도 줘야 하니 운용사 입장에선 반강제적으로 거래를 할 수밖에 없다”며 “개인들은 기관 물량을 많이 받는데, 물량이 많아지니 파는 쪽에서 싸게 팔 수밖에 없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을 보유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을 기초로 한 콜옵션(주식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해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갖는 전략이다. 국내 위클리옵션은 코스피200을 기초지수로 하고,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만기로 상장되는 상품이 있다.

지난해 3월 KB자산운용에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ETF를 처음 출시한 후 같은 해 8월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12월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이 잇달아 나왔다. 이달 5일엔 ‘PLUS 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도 상장됐다. 이 상품들의 순자산은 총 1조원에 달한다.

위클리 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수익을 내는 커버드콜 ETF에는 계속 자금이 들어오고 있는데, 옵션 시장이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자, 결국 커버드콜 ETF 투자자들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프리미엄이 줄어들면 연 12~15%를 목표로 한 분배금을 지급하기 위해 결국 원금을 내줘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추종하는 지수까지 떨어지면 ETF 가격이 더 하락할 수 있다. 이달 들어 코스피200지수는 2.60% 상승했지만, 위클리 커버드콜 ETF 상품 5종은 이보다 낮은 마이너스(-) 1.15~1.76% 등락률을 보였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옵션 매도 물량이 많아졌다고 해서 당장 시세 왜곡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니지만, 매수하려는 단타 투자자들이 거래하기 좋은 장에서 운용사들의 옵션 매도 전략이 더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옵션은 만기 시점까지 행사 가격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투자금 전액 손실을 볼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라 개인 투자자들은 충분히 공부한 후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06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갑호 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205 박찬대 "최고의 판결은 내란수괴 尹 파면뿐… 만장일치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204 헌재 “尹 탄핵 선고 4일 오전 11시”…방송사 생중계·일반인 방청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7203 전원일치면 '이유 먼저' 낭독?…헌재 관례로 살펴 본 尹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02 검찰, ‘880억원 규모 부당대출 적발’ IBK기업은행 본점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1
47201 여의도 증권사 건물서 40대 직원 추락해 숨져 랭크뉴스 2025.04.01
47200 한덕수, 미 상호관세 앞두고 4대 그룹 총수 만났다…“전방위적으로 도울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99 [단독] 이진숙 ‘4억 예금’ 재산신고 또 누락…“도덕성 문제” 랭크뉴스 2025.04.01
47198 최종 변론 뒤 38일…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왜 이렇게 늦어졌나 랭크뉴스 2025.04.01
47197 믿을건 실적뿐… 2분기 눈높이 올라간 종목은 랭크뉴스 2025.04.01
47196 ‘비트코인 사랑’ 트럼프...장·차남 ‘채굴 사업’ 뛰어들어 논란 랭크뉴스 2025.04.01
47195 "원희룡, 닷새째 새벽 6시에 나와…짬 버리더라" 산불 봉사 목격담 랭크뉴스 2025.04.01
47194 ‘서울의 봄’ 김성수 감독, 배우 박해일 등 ‘윤 파면 촉구’ 영상성명서 공개 랭크뉴스 2025.04.01
47193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무역센터점 축소…경영 효율화(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192 제주 유튜버, '폭싹 속았수다' 리뷰 수익금 4·3재단에 기부 랭크뉴스 2025.04.01
47191 변론 종결 35일 만에, 윤석열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90 [속보]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갑호 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189 “가족들에 미안하다” 장제원, 유서 발견…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88 구조물 떨어져 20대 관중 사망… 프로야구, 안전 점검 조치로 오늘 전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87 野 박홍근 “헌재, 불의한 선고하면 불복”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