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강진이 시작된 진원의 깊이는 지표면 아래 약 10㎞에 불과했습니다.

얕은 곳에서 시작돼 더 큰 충격이 가해진 셈인데, 피해를 키운 최악의 조건들 황현규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이번 강진은 미얀마 중부, 인구 밀집 지역인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했습니다.

지진의 진원은 '사가잉 단층', 미얀마 국토를 남북으로 1,200km 이상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성 단층대입니다.

북쪽 유라시아판과 서쪽 인도판이 충돌하며 지각이 수백 km나 쪼개진 건데, 한 번 지진이 나면 그 피해는 폭발적이었습니다.

사가잉 단층에서는 지금까지 규모 7 이상 강진이 여섯 차례나 발생했습니다.

특히 지진 피해를 키운 건 '진원의 깊이'였습니다.

땅 아래로 70km 이내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피해가 큰데, 특히 진원이 지표면과 가까워질수록 충격이 더 커집니다.

이번 지진의 진원 깊이는 10km.

고스란히 땅 위로 전달된 지진파는 파장이 길어 멀리까지 갈 수 있는 저주파 에너지를 따라 태국 방콕까지 도달했습니다.

그리고 저주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층 건물들을 쉴 새 없이 흔들었습니다.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 : "저주파 에너지에 반응하게 되는, 이 큰 고층 건물만이 반응을 해서 지진 피해가 커지게 된 거고요. 그에 반해서 저층 건물은 거의 반응하지 않아서 피해가 없었던 거죠."]

이런 지질학적 요인 외에도 동남아시아의 높은 인구 밀도, 미비한 내진 설계 등이 피해를 키운 것으로 분석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김지훈 고석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23 권성동, '尹 기각 시 유혈사태' 이재명 경고에 "헌재 협박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22 [속보] 헌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4일 11시에... 당일 생중계 랭크뉴스 2025.04.01
47121 [속보] 헌재 "尹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생중계 예정" 랭크뉴스 2025.04.01
47120 尹탄핵심판, 변론종결 후 35일만에 선고일 발표 랭크뉴스 2025.04.01
47119 헌재, 尹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18 “우리도 출국 좀 하자”… 아이돌 과잉경호에 공항 민폐 논란 랭크뉴스 2025.04.01
47117 [속보] 헌재 "尹 대통령 탄핵심판 4일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16 이번 주 금요일 ‘헌재 선고’…진행 순서 보면 ‘답’ 나온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115 김진 "헌재, 이미 8대0 합의…尹복귀시 레임덕 아닌 데드덕" 랭크뉴스 2025.04.01
47114 “전세사기 무서워” 전국 월세 비중 60% 돌파 랭크뉴스 2025.04.01
47113 상호관세 경계감에 원·달러 환율 1477원 육박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4.01
47112 피해자 기자회견 '급취소'‥장제원의 유서 내용에는 랭크뉴스 2025.04.01
47111 [속보] 헌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10 권성동, '尹기각시 유혈사태' 이재명 경고에 "헌재 협박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09 [속보] 헌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4일 11시에 랭크뉴스 2025.04.01
47108 [속보] "4일 오전 11시 尹 탄핵심판 헌재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07 보수논객 김진 “헌재 이미 8:0 파면 결론…갈등 열기 빼려는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06 [속보] 尹 탄핵심판 선고 "4일 오전 11시"…"생중계·방청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7105 “취업 재수·삼수 이유 있었네”...대기업 연봉 보니 ‘헉’ 랭크뉴스 2025.04.01
47104 [1보] 정청래 "4일 오전 11시 尹 탄핵심판 헌재 선고"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