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열흘간 이어진 산불, 전문가들 “전형적 인재”
홍석환 교수 “소나무는 기름에 젖은 종이”지적
“전문성 떨어지는 산림청 주도 진화체계 개선해야”
지난 29일 경북 지역 산불진화 지원작전 중인 50사단 장병이 잔불을 제거 하고 있다. 육군 제공


전문가들은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열흘간 발생한 이번 대형산불을 ‘전형적인 인재’라고 지적했다. 산림청의 산림관리 실패와 이원화된 산불대응 태세가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것이다.

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30일 전화 인터뷰에서 “산불은 작은 불꽃이나 불똥, 성냥불, 라이터 불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시작될 수 있다”며 “하지만 발화가 대형산불로 이어지는 것은 결국 산림 관리방식이 잘못돼 벌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산림청은 경제성이 높다는 이유로 곳곳에 소나무를 심고 활엽수 등 다른 나무를 솎아내는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그런 사업이 산을 더욱더 메마르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침엽수는 목재로서의 경제성이 떨어지고, 산불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십수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개선되지 않으면서 이번 대형 산불로 이어지게 됐다는 얘기다.

소나무 위주의 침엽수림이 대형 산불에 취약하며, 산불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것은 이미 강릉, 삼척, 경북 울진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홍 교수는 “산림청은 ‘침엽수는 햇빛이 바닥에 도달하는 양을 늘리고, 바람을 잘 통하게 한다’며 숲가꾸기의 효과를 홍보하고 있는데 이는 다르게 말하면 숲을 빠르게 건조하게 만들어 산불에 취약한 형태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활엽수를 ‘물에 젖은 종이’, 소나무를 ‘기름에 젖은 종이’로 비유했다. 활엽수는 잎이 물을 머금고 있어 불이 붙어도 금세 꺼지지만, 송진 등 정유 물질이 있는 소나무는 불이 붙으면 지속시간이 일반 나무들보다 2.4배 길다는 것이다. 소나무는 특히 나무의 가지나 무성한 잎을 태우며 빠르게 번지는 지나가는 산불인 수관화(樹冠火)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는 “물에 젖은 종이와 기름에 젖은 종이가 골고루 분포돼 있다면 불은 금세 꺼졌겠지만 우리나라 산림은 기름에 젖은 종이인 소나무만 가득하다”며 “건조한 산림에 기름 역할을 하는 소나무까지 있어 한 번 불이 나면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돼 있다”고 지적했다.

산림청이 주도하는 신불 진화 체계 역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표적인 환경운동가인 최병성 목사는 “2022년 울진 산불, 2000년 고성 산불 등 대형 산불이 발생할 때마다 산림청은 매번 진화에 애를 먹었다. 불길을 잡지 못하다가 비가 내려야 진압하는 상황이 매번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 목사는 “산림청에는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지만 정작 산림청은 화재진압과 관련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대형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서는 산림 산불에 관한 예산과 산불 헬기 등 진화 장비, 인력 등 모든 것을 소방청으로 일원화해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최 목사는 화재복구를 위해 인공조림사업을 서둘러 실시하기 보다는 자연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시간을 둘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산을 복구한다는 명목으로 타버린 나무를 벌목하고 그 자리에 어린나무를 심으면 자칫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며 “과거 산불피해를 입은 강릉 옥계 등의 일부 산은 인공조림을 하지 않고 놔뒀더니 참나무가 자라 숲을 이뤘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56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55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여당 불참 랭크뉴스 2025.03.31
46754 헌법재판소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53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2 헌재 사무처장 "尹사건 신중 검토…재판관 임기연장 입장 없다" 랭크뉴스 2025.03.31
46751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내란=위헌 판단이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0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공매도 여파에 상호관세 경계감이 키운 환율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3.31
46749 벌써 딥시크 '짝퉁' 논란…쏟아지는 유사상표에 '화들짝' 랭크뉴스 2025.03.31
46748 [속보] 김승연 한화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747 "尹 사건 젤 먼저 한댔잖아요!" 묻자 헌재 관계자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